View : 9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김수지-
dc.creator김수지-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5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5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4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4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938-
dc.description.abstract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bling-mediated interaction intervention in the home on sibling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n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across three young children with ASD under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ach ASD infant's older sibling or twin without disability participated as a mediator. They received education for their sibling with ASD which includes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kills. They also received feedback on their use of social skills by watching video clips of playing with a sibling with ASD. The researcher offered the sibling a reinforcement of every session, and played the game they wanted at the end of each session to reduce the burden of intervention. The sibling education 6 sessions and video feedback 11-13 sessions were conducted. Generalization measured sibling interactions in snack situations after the intervention. The maintenance effects were assess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increased each participant's interaction with their sibling.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Although these effects were generalized lower than the latter of intervention, but the middle level of intervention in the snack situation. Their parent also reported the intervention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siblings and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intervention. Implications of sibling mediated interaction intervention to enhance sibling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SD are discussed.;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실시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중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향상 및 유지,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정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가장 친숙한 자연적인 환경이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는 가족 구성원 중 수평적 관계의 특성을 지닌 형제자매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통하여 향후 사회성 발달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쌓을 수 있다.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증가를 위한 방법으로는 형제자매가 중재자로 참여하는 형제자매 주도 중재가 있다. 형제자매 주도 중재의 상호작용 중재에서는 형제자매에게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발달을 위한 특정 기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중재자로 참여한 형제자매는 교육을 통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적절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모델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적절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에게 상호작용 중재를 제공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이들의 형제자매에게 자연적인 환경인 가정에서 실시되었으며, 형제자매에게 장애이해와 사회적 기술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형제자매 교육 6회기와 형제자매의 사회적 기술 활용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비디오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형제자매 교육에서는 형제자매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10가지 사회적 기술 ‘대화 시작하기’, ‘인내하기’, ‘공유하기’, ‘반응 보이기’, ‘도움 제공’, ‘도움 요청하기’, ‘놀이 확장하기’, ‘칭찬하기’, ‘애정 표현하기’를 선정하였고, 이를 주제로 형제자매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형제자매 교육 이후에는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비디오 피드백은 형제자매가 교육을 통해 습득한 사회적 기술을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의 놀이에서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자는 관찰 구간에서 촬영한 형제자매 간의 놀이 영상을 형제자매와 함께 시청하며 피드백 및 강화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진단전문기관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로 진단을 받았으며, 부모 보고에 의해 상호작용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만 3-5세 사이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과 이들의 3세 이하의 손위 또는 동일연령 형제자매였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측정을 위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을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명의 형제자매 모두에게 6회기의 형제자매 교육과 10-12회기의 비디오 피드백이 중재로 제공되었다. 중재 종료 직후 간식상황에서의 일반화를 측정하였으며, 중재 종료 4주 후에 중재효과의 유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에 참여한 3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모두 형제자매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를 통해 증가된 상호작용 발생률은 놀이 상황이 아닌 간식상황에서는 세 명의 참여유아 모두 중재 종료 시점 보다는 낮은 발생률이 나타났으나, 중재 중반 수준의 일반화가 이루어졌다. 셋째,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를 통해 증가된 형제자매 상호작용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 유지기간에서는 중재 종료시점보다 소폭 감소되었지만, 유지기간 3회기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손위·동일연령 형제자매와의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되었으며, 간식상황에서는 중재 중반 수준의 일반화가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중재 종료 4주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 증가를 위하여 가정에서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를 실시하여 중재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행 방법을 제시하고 검증하여 가정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직접 중재를 시행하지 않고 이들의 장애가 없는 형제자매에게 중재를 시행함으로써 참여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 발생률을 증가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불어 형제자매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 대한 이해도 및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상호작용 중재 7 1.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특성 6 2.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중재 9 B.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관계 12 1. 유아기 형제자매 관계의 중요성 12 2.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 특성 13 C.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형제자매 주도 상호작용 중재 15 1.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상호작용 중재에 있어 형제자매 참여의 필요성 15 2. 가정에서 실행하는 형제자매 주도 중재 16 3.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형제자매 주도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 18 Ⅲ. 연구방법 22 A. 연구참여자 22 B. 실험기간 29 C. 실험환경 29 D. 실험설계 및 조건 30 E. 관찰 및 측정 40 F. 관찰자간 신뢰도 43 G. 중재 충실도 44 H. 사회적 타당도 45 Ⅳ. 연구결과 47 A.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47 B.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53 C.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 유지에 미치는 영향 54 Ⅴ. 논의 및 제언 55 A. 논의 56 B. 제한점 61 C. 제언 62 참고문헌 63 부록 73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9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형제자매 주도의 상호작용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형제자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ibling Mediated Interaction Intervention on Sibling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c.format.pagev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