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도덕수업에서 실시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사회정서학습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도덕수업에서 실시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사회정서학습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Emotional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n Moral Classes on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Authors
최미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2019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의하면 통합 환경에 배치된 장애학생의 비율이 전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71%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의 사회적 통합은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학생에게 적절한 사회성 기술 교수가 필요하며 현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70퍼센트 이상이 통합학급에 소속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교수는 통합 환경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사회정서학습인데, 사회정서학습은 이미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효과가 입증된 프로그램으로서 사회정서학습을 실시하는 방식은 구조화된 프로그램으로 실시하는 것과 교과에 통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교과에 사회정서학습을 통합하여 실시할 때 방법적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은 많은 연구들에서 사회성 기술 지도 및 장애학생 대상 중재에서 효과성이 입증된 교수방법이다. 현재까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에게 긍정적 성과가 있다고 알려진 사회정서학습을 통합학급 교과시간에 실시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특히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사회정서학습을 통합학급에서 실시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덕수업에서 스토리텔링 기반의 사회정서학습을 실시하고 이것이 초등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인천 소재 J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2명의 지적장애학생과 그 장애학생이 포함된 2개 통합학급의 비장애학생 48명(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4명)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회정서학습으로, 주 1회 도덕시간에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중재 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중재 시작 전과 종료 후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사회성 기술 검사는 자기보고용 검사와 교사용 검사의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측정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를 토대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측정한 검사는 사전-사후 검사 평균의 변화추이를 산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용 사회성 기술 검사는 실험집단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비장애학생 대상 검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종속변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장애학생 대상 검사는 사전-사후 검사 평균의 변화추이를 산술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수업에서 실시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사회정서학습은 초등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보고용 사회성 기술 검사 총점은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높아졌지만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 교사용 사회성 기술 검사 결과는 사전-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든 하위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실험집단의 교우관계 점수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높아졌으며, 이는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 중 친구의 유무와 신의 영역과 교제의 지속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점수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높아졌고, 이는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친구만족도 영역과 긍정적 자아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도덕수업에서 실시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사회정서학습은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에 비해서 사회성 기술에 점수 향상을 보였으며 모든 영역에서 점수 유지 및 향상을 보였다. 이는 자기보고용 사회성 기술 검사와 교사용 사회성 기술 검사 모두 마찬가지였다. 또한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에 비해서 교우관계에 점수 향상을 보였으며 총 4개의 하위 영역 중 3개의 영역(친구의 유무와 신의, 교제의 지속성, 친구와의 공동생활)에서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 장애학생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에 비해서 학교생활만족도에 점수향상을 보였으며 총 5개의 하위영역 중 4개의 영역(학교만족도, 친구만족도, 긍정적 자아감, 자기효능감)에서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도덕수업에서 실시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사회정서학습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회정서학습을 실시하여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통합교육 경험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제의 예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emotional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n moral classes on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The participants were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fif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nd 48 students in two integrated classrooms to which they belong(24 experimental group, 24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conducted social-emotional learning using storytell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sessions in moral classes once a week.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emotional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n moral classes on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lso, the comparison with change-aspect of score was used to see if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Finally, the social skills measured by the teachers were conducted by dependent t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only for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degree of social skills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mproved over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social skills test conducted by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students' social skil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 and post-examina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sub-regions. Third, comparing the degree of change in peer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of the four sub-domain areas. Fourth, comparing the degree of change in school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of the four sub-domain areas. Fifth, comparing the degree of social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scores of the test group stud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maintaining or increasing the scores in all sub-domain areas. Sixth, the social skills test conducted by teacher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total score and all sub-domain areas of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seventh, comparing the peer rel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ed in highe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maintaining or increasing scores in three of four sub-domain areas. eighth, comparing the school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ed in highe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maintaining or increasing scores in four of five sub-domain areas. In conclusion, social-emotional learning using storytelling in moral classes was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skill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lementary integrated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