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1 Download: 0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을 위한 종교적 영성교육 연구

Title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을 위한 종교적 영성교육 연구
Other Titles
Religion, Spirituality, and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 Based on T. H. Groome’s Theory on Religious Education
Authors
이미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토마스 그룸(T. H. Groome)에 근거한 종교적 영성교육이 한국 가톨릭학교의 종교교육을 위한 새로운 방향으로 타당한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서구 교육의 역사에서 가톨릭은 오래 기간 광범위하게 교육을 주도해 왔다는 점에서 보편적 교육이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국가가 교육을 주도적으로 관장하는 공교육제도가 자리 잡는 과정에서 교육은 종교로부터 자유로와야 한다는 것이 강조되었고 종교는 점차 공교육과 분리되었다. 한국에서도 가톨릭 학교가 다수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공교육 안에서 특정 신앙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교육은 지양해 온 경향이 있다. 특히 교육의 평등과 공공성을 강조하는 평준화 정책 이후 국가 교육과정은 종교의 객관적이고 중립적 가치를 중시하는 ‘종교학 교육’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은 가톨릭학교가 원래의 설립 이념이자 존립 의의라고 할 수 있는 종교교육에 있어서나 국가교육과정의 종교학 교육을 실행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웃종교의 존재를 감안할 때, 그리고 종교의 자유를 원하는 학생들의 존재를 감안할 때 공교육 제도라는 틀 안에서 가톨릭학교가 추구할 종교교육의 방향은 과연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신학자이자 교육학자인 그룸의 교육론에 주목하고 그가 오늘날 한국의 가톨릭학교를 위한 요구되는 보편성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는 데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가를 논하고자 한다. 그룸은 실천적 앎을 강조하는 가톨릭 종교교육학자로서 앎과 삶의 통합적 종교 교육을 제안하였다. 그의 교육론은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흥미를 느끼는 주제에서 시작하여 그들의 삶을 바라보게 하는‘삶에서 신앙으로 다시 삶으로’의 교육을 강조한다. 그의 종교교육론은 가톨릭 신학을 바탕으로 하지만 가톨릭 신앙 공동체 안에서의 교육에 국한하지 않고, 이웃종교의 교리와 전통을 존중하며 종교적, 혹은 비종교적인 상황에서도 모두 활용 가능한 유연성 있는 교육으로 평가받는다. 이 점에서 그룸의 종교교육론은 현재 종교교육현장에서 논의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한 한국 가톨릭학교의 종교교육에 적합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종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해야만 하는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이 당면한 쟁점은 무엇인가? 둘째, 토마스 그룸의 종교론과 교육론이 가톨릭 종교교육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셋째, 토마스 그룸의 교육론을 토대로 한 종교적 영성교육을 가톨릭학교의 종교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을 위한 ‘종교적 영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제Ⅱ장은 첫 번째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한 장으로서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의 목적과 종교교육의 주요 쟁점의 흐름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종교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쟁점들이 잘 드러나 있는 유형인 신앙고백적인 종파교육,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종교학 교육, 종교가 중시하는 가치와 영성의 종교적 교육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가톨릭 입장에서 현재 종교교육현장에서 논의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해 가톨릭교회 문헌들을 통해 검토하였다. 제Ⅲ장은 두 번째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한 장으로서 그룸의 가톨릭교육론에 근거한 종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후마니타스 인간관과 ‘공동체 내의 인간’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삶에서 신앙으로 다시 삶으로’의 목적과 praxis, 그리고 교육 ‘활동(movement)’을 살펴본 후 영성과 교육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룸의 종교교육은 교육의 공공성 안에서 신앙의 자유와 이웃종교의 교리를 존중하는 교육으로 지(知)·정(情)·의(意)·영(靈)의 조화로운 영성교육이다. 제Ⅳ장은 세 번째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한 장으로서 그룸의 가톨릭 교육론을 기반으로 가톨릭학교의 종교교육을 위한 ‘종교적 영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인의 선뿐만 아니라 공동선을 지향하는 인간화 교육으로서의 종교적 영성교육, 비판적 성찰과 대화를 기반으로 하여 가치교육을 지향하는 종교적 영성교육, 지·정·의·영의 균형 잡힌 ‘삶-종교적 앎-삶’의 종교적 영성교육이다. 제Ⅴ장에서는 연구문제를 토대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요약하고, 교육자 관점, 교육과정, 교육환경, 그리고 교육자 양성 영역에서 ‘종교적 영성교육’을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제언은 교육의 목적인 전인교육과 맥락을 같이하면서 가톨릭 학교 종교교육의 특수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현재 종교교육현장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religious spiritual-education based on T. H. Groome is appropriate as a new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at Catholic schools in Korea. Education in the Western world began as a religious endeavor. The Catholic churches led education for common people for a long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education was not a big issue until the late medieval. However, since the modern age the government has begun to take charge of teaching their citizens emphasizing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religion. It was the same with Korean Catholic Schools. Although lots of Catholic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 the Korean public education has had a tendency to reject religiou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n and politics separation principle. Especially, after the equalization policy that emphasizes the equity and publicity of educatio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specifically has specified religious education as ‘education about religion’ which emphasizes the objective and neutral value of religion. Regarding the existence of other neighboring religions and the fact that there are students that want their religious freedom, it is an important task to exploring what the futur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s.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 theory of Groome, a pedagogist and Catholic scholar, and discusses how to make Catholic schools in Korea be Catholic as well as public. Groome suggested the integration of religious knowledge and life. His theory highlights starting with topics that learners are interested in and make learners reflect on their own lives. In other words, it emphasizes ‘life to faith and to life’ education. His religious education theory is based on the Catholic theology but it is not only limited in Catholic community. His theory is well known to respect other neighboring religious theories and tradition and to be practical and flexible as it can be applied to non-religious circumstance as well. In short, Groome’s religion education theory is an approach that can give significant ideas in dealing with issues related to Korean Catholic schools. This study’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ssues related to Catholics schools in Korea? Second, what does Groom’s religious education theory suggest on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Third, how can the education theory based on Groom’s religious spiritual-education be applied into the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Chapter Ⅱ examined historically the purpose of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and some important issues of religious education. Furthermore, this chapter also dealt with the confessional ‘education of religion’, the subjective and neutral ‘education about religion’ and the ‘religious education’ that treats the value and spirituality which are important in religion. Moreover, controversial issues in the current religious education field were explored through some Catholic Documents. Chapter III reviewed the concept of ‘Humanitas anthropology’ and ‘Person in the Community’ as a spadework in order to research the future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based on Groome’s Catholic education theory. Next, I examined the purpose, praxis and educational ‘movement’ of ‘life to faith to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education. Groome’s religion education turned out to be a ‘religious spiritual-education’ that harmonizes cognition, affection, conation and spirituality and respects freedom of faith and other neighboring religions’ doctrines in the publicity of education.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directions of ‘religious spiritual-education’ in Catholic school based on Groome’s Catholic education theory. Religious spiritual-education is the human education which aims the common good as well as individual’s good. Also, it is an education oriented to the value education based on critical reflection and dialogue. In addition, it is an ‘life-religious knowing-life’ education where cognition, affection, conation and spirituality are well harmonized. Chapter Ⅴ summarized what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and lastly 0suggested ‘religious spiritual-education’ in various aspects such as educator’s perspective, curriculum, educational circumstance and educator training. While these suggestions ar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fostering the whole person, it also includes the distinctiveness of religiou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controversial issues in the current religious education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