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대학생 진로준비의 영향요인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Title
대학생 진로준비의 영향요인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Other Titles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 Focusing on the Growth Trajectory of the Student Engagement
Authors
나혜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가 대학 재학 기간 동안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고, 학생참여 초기값(intercept)과 변화율(slope)이 대학생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배경 특성 및 대학 특성, 학생참여, 그리고 대학생 진로준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잠재성장모형(LGM)을 통해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차(2011년), 8차(2012년), 9차(2014년)의 반복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일반 4년제 대학생으로 그 가운데 7차년도~9차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응답자만을 선별하였고 최종 분석에 활용된 표본의 크기는 695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재학 중 학생참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참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조건 선형성장 모형(unconditional linear growth model)으로 검증한 결과 5점 척도로 측정한 대학교 1학년 시점의 학생참여의 평균은 3.191이었고, 이는 시간이 1년 경과할 때마다 평균적으로 0.028 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대학교 1학년 시점의 학생참여의 수준은 학생들마다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생참여의 초기값(intercept)과 변화율(slope)이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참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대학생의 진로의식과 진로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진로결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의 경우 진로결정의 변수가 결정과 미결정이라는 이분변수(binary variable)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학생참여가 실질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결정과 미결정을 양극단으로 한 상대적 위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단정하기 어려우며, 진로결정 변수의 성격을 보완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 개인배경 특성 및 대학 특성이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전공, 학점, 교육계획, 가구소득,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대학 규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 규모의 경우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규모가 큰 대학에 다니는 학생일수록 진로의식 수준이 낮고 진로결정 가능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학생 개인배경 특성 및 대학 특성이 학생참여의 초기값(intercept)과 변화율(slop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 개인배경의 경우 성별, 고교 내신, 전공, 학점, 교육계획, 어머니의 교육수준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 특성의 경우 대학의 지원적 환경, 대학 소재지, 대학 규모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일수록, 고교 내신 등급이 높을수록, 예체능 전공일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학생참여 초기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계획을 정한 학생일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학생참여 변화율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학 중인 대학을 지원적 환경이라고 인식할수록 학생참여 초기값이 높고 학생참여 증가 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규모가 큰 대학에 다니는 학생일수록 학생참여 초기값이 낮고 학생참여의 변화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도권 대학에 비해 비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학생참여 변화율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생참여는 학생 개인배경 특성 및 대학 특성이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 고교 내신, 학점, 어머니 교육수준, 대학의 지원적 환경, 대학 규모 등이 학생참여 초기값에 의해 완전매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참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속성을 가졌는데 이것이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즉 학생참여의 초기값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대학교 재학 기간 동안 매년 평균적으로 0.028 만큼 증가한다. 특히 대학교 1학년 시점에 학생참여 초기값이 높았던 학생들은 대학교 4학년 시점에 진로의식이 높았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탐색활동도 더욱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준비와 같은 대학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참여 요인에 보다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먼저 진로탐색의 경우 여학생이 보다 적극적인 반면, 진로결정에서는 남학생이 진로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의 성별 특성에 따른 차이나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의 차별적 구조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은 성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등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적합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있어서 전공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 전공 계열의 경우 이공의약 계열의 학생들은 인문사회사범 계열과 비교했을 때 진로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예체능 계열의 학생들은 인문사회사범 계열과 비교했을 때 진로의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전공계열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준비 수준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그것이 교육과정에 따른 차이인지 혹은 해당 전공 계열에 분포되어 있는 성별이나 기타 요인에 따른 차이인지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보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계획을 정한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교육계획을 정했는지의 여부는 최종 희망학위를 결정했는지의 여부를 측정한 문항인데 교육계획을 아직 정하지 않은 대학생들에 비해 교육계획을 정한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진로포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일지에 관해 숙고하고, 교육계획이나 진로계획 등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 시기에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는 것의 중요성과 구체적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가정배경이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대학의 지원적 환경이 진로준비에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크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가정배경이 불리한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진로성과 불평등을 대학 차원에서 보완해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진로성과의 불평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적합한 교육과정과 지원적 환경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대학의 구조적 특성 가운데 대학 규모가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부적(-)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규모가 큰 대학일수록 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이 낮고 진로를 결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규모 대학일수록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상담을 받거나 정보를 이용할 만한 물리적 여건이 제한되고 학과의 교수나 관련 교직원들에게 진로에 관한 정보나 고민 등을 상담하고 교류할 기회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진로의식과 진로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규모의 차이라는 것을 바꿀 수 없는 요인으로 치부하기보다는 보다 해결 가능한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대학생의 학생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대학의 지원적 환경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즉 자신이 재학 중인 대학을 지원적 환경이라고 인식하는 학생일수록 수업활동에 적극적이고 자신의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대학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이 높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리적, 심리적 환경 등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여덟째, 비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일수록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학생참여의 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비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참여 변화 속도가 빠르게 증가한 반면,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참여 변화 속도가 완만하게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비수도권 대학에서 학생참여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곧 대학을 그만두거나 다른 대학으로의 편입 등을 계획함으로써 해당 대학을 떠나고, 오히려 4학년까지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 해당 대학에서 다양한 학업적, 사회적 경험들을 축적함으로써 대학에 대한 자부심이나 참여수준 등이 향상되었을 것이라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비수도권 대학의 학생들의 경우 캠퍼스에 인접한 기숙사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러한 거주 형태로 인해 재학 기간 동안 다양한 교육적 활동들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짐으로써 학생참여의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career readiness. In particular, it was verified how student engagement chang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and analyzed the effect of intercept and slope on college students’career readiness. In additio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personal background traits,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student engagement, and college students’career readiness was systematically verified through Latent Growth Modeling(LGM). This study applies the repeatedly measured data from the 7th(2011), 8th(2012) and 9th(2014)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ypical four-year-course college students, and only the respondents who engaged in the 7th to 9th annual surveys were selected, and the sample siz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consists of 695 students.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tudent engagement during college changed over time. To verify this, the verification result of unconditional linear growth model indicated that the average of student engagement at the time of the first year is 3.191 and increased by 0.028 on average as time increases by 1 year,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during the first year turned out to differ from student to stude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tudent engagement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exploration, while it did not on career decision. However, since th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s consist of binary variables of decision and non-decis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actical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relative position between decision and non-decision at extreme ends), thus the result must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further study by complem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decision variables. Thir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personal background traits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showed that gender, major, college GPA, education plan, family income, and the level of mother's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on college students’career readiness showed that the size of college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negative. That is, among the variables of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the size of college had a negative impact on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decision, which means that the larger the size of college that a number of students are enrolled, the lower the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career decision. Fifth,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personal background traits on student engagement showed that gender, high school GPA, major, college GPA, education plan and mother's level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Sixth,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on student engagement showed that the supportive environment, location of college and size of college have significant effect. That is, as a student recognizes the college as supportive environment, a large university, the intercept of student engagement shows higher result. In addition, among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supportive environment of college turned out to indicate negative effect on the slope of student engagement. Also a large college and college in non-metropolitan area show positive effect on the slope of student engagement. Seventh,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showed that student engagemen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when the personal background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In particular, gender, high school GPA, college GPA, the level of mother's education, supportive environment, and the size of college were completely mediated by intercept of student engagement.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engagement is a variable that changes over time and plays a key role i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Therefore, academic interest and practical efforts at the college level in what kinds of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features of college cause changes in student engagement are needed. Second, there was a gender gap i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These results can be found in gender differences or in the differential opportunity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for women.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design customized curricula and programs based on gender and reflect them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major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s.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design customized curricula and programs based on majors and reflect them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urth, College students who set up education plans have a higher level of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provide education on the importance and specific methods of planning their careers during college years for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education plans or career plans. Fifth, family background h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but this is not greater than that of supportive environment of college on career readiness.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curricula and supportive environments to compensate for the inequalities in career outcome that stude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can experience. Sixth, among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size of college had a negative impact on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That is, the larger a college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the lower the level of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and more likely they would not decide their career path. This is likely to limit physical conditions in which students can get counseling or use information about their career path, and reduc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consult and exchange information on their career path with professors or faculty members of the department. Thus, such methods as forming learning communities or a small-scale gathering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 expand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with members of the college will complement the constraints that big universities have. Seventh, Among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 engagement, the impact of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is the greatest. The more students who perceive their college as an supportive environment, the more active they are in class activities, their learning process.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pay atten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affect student engagement. Eighth, Students attending college in non-metropolitan have a higher slope in student engagement over time. Students with low levels of student engagement at non-metropolitan college can quit college. So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remain until the fourth grad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evel of attachment to the college or student engagement may have improved by accumulating various academic and social experiences at the colle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