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3 Download: 0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스마트 정보역량과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스마트 정보역량과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on smart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임자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4차 산업 시대가 다가오고 있고 우리는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나에게 맞는 정보를 찾아내고 나의 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창출해 내는 시대다. 미디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매체가 전하는 정보의 내용을 분석, 선택하고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과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김아미, 2015)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맞게 학령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련한 정책이나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장애인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한 국내 연구는 실제적인 중재를 제공하는 연구보다는 실태조사나 현황 파악 등과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성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장애인은 여전히 정보소외계층으로 분류되며 디지털 정보격차가 존재한다. 국가에서 장애인의 정보화 교육을 위해 노력한 결과 장애인의 스마트기기 보급률은 일반국민 대비 75%대로 높아졌지만, 스마트기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여전히 미흡하여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격차를 줄이고 이들도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혜택을 누리고, 사회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함으로써 지적장애 성인의 스마트 정보역량과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A주간센터를 이용하는 11명의 지적장애 성인으로 단일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미디어 접근하기’, ‘일상생활 활용하기’, ‘소통하기’로 구성되었으며 총 14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정보역량, 정보화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성인의 사전·사후 스마트 정보역량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사후에 스마트 정보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스마트기기 기본 이용능력인 스마트 정보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성인의 사전·사후 정보화 생활만족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사후에 정보화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대한 하위영역인 심리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문화적 만족도에서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정보화 생활만족도 하위영역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보소외계층인 지적장애 성인에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갖출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Fourth Industrial Age is approaching and we are living in a media flood. It's an era of finding information that fits me in a flood of information, managing my information, protecting and creating new media. Media literacy is required to be able to read and write media, Media literacy education (Kim Ah-mi, 2015) is being emphasized to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and select the contents of information delivered by various types of media outlets and communicate with social media. In line with the trend of this age, policies and researches related to media literac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school-age adolescents. However, domestic research on media literacy for the disabled has been focused on surveys and current status rather than actual researches. In particular, experimental studies on adult disabled people are rarely found. In addition, the disabled are still classified as an out-of-information class and there is a digital divide. While the government's efforts to educate the disabled in information services have resulted in the penetration of smart devices by the disabled rising to 75 percent of the general public, the ability to properly utilize smart devices is still insufficient to reduce digital divide among the disabled, and they need to benefit from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the Internet.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impact on smart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 single group of 11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who used the A Day Center in Seongnam, Gyeonggi-do. This study’s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consisted largely of ‘Accessing Media’, ‘Using Daily Life’ and ‘Communicating’ and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14 sessions. In this study, a single group pre- and post-test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and the difference between smart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hange in pre- and post- smart information capabilitie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smart information capabilities have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ince the post-test. This means that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smart information capabilities, which is the basic abil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use smart devices. Second, comparing the degree of change in pre- and post-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t- 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examin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ub-area of 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cultura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the informatization life satisfaction sub-area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full potential to eventually have media literacy by providing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to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out-of-information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