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3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Title
초등학교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uthors
김승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changing at a rapid pace, 'media literacy' is gaining global attention as one of the core competence of the future.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th digital native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change, as to apply a competency-based approach in all aspects of th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practi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media literacy education of the teacher, who is the final decision maker and practitioner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dentify a media literacy education model of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lief and will of teachers that are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questionnaire that was used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media literacy efficacy,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outcome expectation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fficac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f educators, and identify the gauge the level of external factor recogni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carried through a nation-wide surve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between April and May 2018. A total of 323 respon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through four method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group them by background variables. Seco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s an internal consistenc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Thir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verifi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urth,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ere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while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did not have any media literacy training experience exceeded that of those who had media literacy training experience, the number of teachers who replied that they have taught lessons related to media literacy surpassed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replied that they did not have. In addition, teachers spent an average time of 2 to 3 hours on browsing media for non-business purposes, which is similar to that of non-teacher users. The purpose of browsing media was for education related purpose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as opposed to recreational use. Second, the overall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high level. Among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efficacy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and outcome expectation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ere higher than average. On the other hand,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efficacy and external factor recogni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 Third, an examination of the detailed factors of the media literacy efficacy showed that competence for ‘Understanding and conveying the meaning' which is the low-level competence was the highest, while competence for 'Creation and production' and 'Media technology application' were relatively low. Amo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ry, there was a high level of perception for 'Responsible media u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utcome expectation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cted students to improve more basic and ethical areas such a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meaning', 'Using responsible media', and 'Search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Regard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fficac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respondents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goals that the students must achieve through media literacy education, but they had difficulty in reaching the goal. La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students as the biggest external factor that acts as an obstacl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s the biggest obstacles. Fourth, the variable tha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as prior teaching experience. Prior teaching experience had a great influence on almost every sub-domai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fficac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external factor recogni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ifth, the difference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are as follows: Gender influenced media literacy competence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fficac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hile age influenced media literacy efficacy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The time spent on media use for non-teaching purposes among teachers influenc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fficac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hile the purpose of media use influenced the media literacy 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fficac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f teachers. Results underlin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 networks, and the value of enhancing expertise through basic practice and execution of media literacy lessons.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framework and improvement of external factors of media literacy education.;정보와 지식이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래 사회의 핵심 역량이다. 본 연구는 특히 초등학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주목하는데, 그 이유는 초등학교는 중등 교육기관에 비해 비교적 범교과적으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성인 및 청소년에 비해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으며,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서 어렸을 때부터 디지털 기기를 생활처럼 사용하였기 때문에 오늘날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띤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지는 초등학교의 실제 교육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과정의 최종 결정자이자 실행자인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떠한지 분석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현 상황을 살펴보고 양질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교사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교사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시행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교사의 내용 지식 및 교수적 지식, 그리고 신념과 의지를 조사하고자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효능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 인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수 지식 효능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사 외적 요인 인식을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23개의 설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배경변인별 집단 구분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합치도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별 인식 차이를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또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는 교사가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많았다. 하지만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수업을 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더 많았다. 또한 교사들이 업무 외 목적으로 평소에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은 평균 2시간 이상 3시간 이하로 일반인 사용자와 비슷한 양상이었으며, 사용 목적은 여가나 친교 목적보다 정보 획득과 같은 학습적인 목적이 다소 많았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인식은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효능감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 인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 기대 인식은 평균 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수 지식 효능감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사 외적 요인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각 인식의 세부 요인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효능감에서는 낮은 수준의 내용 영역인 ‘의미 이해와 전달’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나 ‘창작과 제작’ 및 ‘미디어 기술 활용’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에서는 ‘책임 있는 미디어 이용’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 기대 인식에 대하여 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은 학교 교육을 통해 ‘의미 이해와 전달’, ‘책임 있는 미디어 이용’, ‘정보 검색과 선택’ 등 기초적이고 윤리적인 영역이 더 크게 향상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수 지식 효능감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해야 하는 목표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알고 있으나, 그 목표에 어떻게 도달시킬 것인지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사 외적 요인 중 학생들 간 개인차를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대부분의 인식에 가장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변인은 수업 실행 경험의 유무이다. 수업 실행 경험의 유무는 미디어 리터러시 효능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 인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수 지식 효능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교사 외적 요인의 대부분의 하위 영역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그 외 배경변인별 집단 간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효능감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수 지식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연령은 미디어 리터러시 효능감과 미디어 리터러시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교사들이 업무 외 목적으로 평소에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수 지식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미디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효능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 기대 인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수 지식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강조와 함께 초등학교 교사 집단의 협력 및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의 기본적인 실행을 통한 전문성 신장,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합의를 통한 국가적인 틀 마련, 교사 외적 요인의 개선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