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8 Download: 0

프로티언 커리어 인재의 진로발달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프로티언 커리어 인재의 진로발달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tean Career People : Centered on Social Beginners through Early Admission Officer System
Authors
권희원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현대사회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사회, 경제 전반에 많은 변화를 예상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이자, 의학의 발달과 늘어난 인간 수명으로 펼쳐진 평생학습시대이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역사보다 더 많은 변화를 예상하고 있고, 이미 그 변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개인의 진로와 교육은 삶의 주축을 이루는 만큼 아주 중요한 부분으로 개인의 삶의 질, 행복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사회와 미래를 만들어갈 이 시대의 인재를 양성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우리나라 교육에도 많은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고, 특히 입학사정관제는 정량적 평가 중심의 수능체제 대입 제도에서, 전공 적합성, 성장 가능성, 잠재성 등을 고려한 정성평가로 자기 주도적 인재 선발을 표방한 획기적인 입시 제도로 등장하였다. 대한민국의 대학입시 역사에서 가장 큰 파장을 일으켰던 제도였고, 시행 후 1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많은 논란을 양산하고 있으며, 자기 주도적 인재로 선발한 이들의 현 주소나 진로에 대한 추적 조사 또한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초년생이 된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의 현 주소를 조망하고 진로발달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진로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초년생이 된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의 진로발달과정을 탐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최근에 학교교육 시기를 지나온 이들의 목소리로 삶의 총체적 맥락에서 진로 이야기를 담아내는 것은 현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초년생이 된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삶의 맥락에서 진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사회초년생이 된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진로발달과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체적 개인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진로를 구성해나가는 지 살펴보고, 현 진로에 비추어 이들의 진로발달과정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여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진로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입학사정관제의 취지에 부합하여 제도를 운영하였던 A대학의 B입학사정관전형 출신 연구 참여자 5인을 선정하여, 2018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연구참여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현장텍스트를 구성하고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해당 연구참여자들은 학창시절 수능 중심 문화에서 주체적으로 진로 탐색을 하였고, 자기 주도적 인재로 인정받아 그 자격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진로를 발달시켜, 현재 프로티언 커리어 태도를 가지고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주체적 개인으로서 자신의 진로 선택과 진로 경험에 능동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5인의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환경에 영향 받기도, 그 환경을 적극적으로 구성해나가기도 하면서 각자의 색채를 담아 진로를 구성하였다. 이들의 진로발달과정의 의미는 첫째, 생애주제를 통한 자기 인식의 과정이다. 온전히 자신에게 집중하여 탐색해볼 수 있는 시간을 삶에 둘 수 있었고, 수능중심의 정형화된 학교 문화에서 주체적 진로탐색 활동을 한다는 것은 주변에 나를 이야기해야했던 시간의 연속이었다. 자신을 표현해야했던 삶의 순간들은 성찰과 의미 부여를 통해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명확한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둘째, 계획된 우연 속의 주체적 성장이다.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우연을 긍정적 기회로 삼고 다양한 경험을 통한 배움의 시간을 지속하였다. 초기 경험의 성찰과 성취는 새로운 경험의 도전과 용기를 이끌었고, 삶에 긍정적 기회를 더욱 많이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개성 있는 프로티언 커리어 인재로 나아가는 길이다.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을 추구하고 자신만의 가치를 담아 주관적, 심리적 성공을 그리는 이들은 사회에서 제공하는 내러티브가 아닌 자신만의 내러티브로 현재에도 진로 여정을 나아가고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는 대학 입학 이후 다채로운 경험의 과정을 통해 명확한 자기 인식과 환경에 대한 적응성으로 더욱 확장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신을 이야기하며 생애주제를 찾고, 풍부한 경험 자본을 바탕으로 환경에 대한 유연성을 고양시킬 수 있었던 경험이, 곧 프로티언 커리어 태도 함양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프로티언 커리어에서 메타역량으로 제시하는 ‘자기 인식’, ‘적응성’은 진로구성주의에서 이야기하는 ‘생애주제’, ‘진로적응도’와 연결되고 있음을 사회초년생이 된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진로발달과정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과 진로가 생애 설계의 관점에서 논의되어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을 통감할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생애주제를 탐색하는 진로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평생학습의 맥락에서 가정교육 및 부모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져야 한다. 셋째, 자기 주도적 성취 기회가 제도교육 안에서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 위험감수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 입시제도의 근본적인 점검을 통한 재정비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현 주소와 진로를 어느 한 지점이 아닌 총체적 삶의 맥락에서 탐구했다는 점,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이나 진로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사회초년생이 된 초기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을 추적 조사하여, 프로티언 커리어 태도에 주목한 연구를 수행한 부분에서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입학사정관제와 진로의 영역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이를 바탕으로 현 입시 제도를 점검하고 바로 세우는데 기능하길 바란다. 프로티언 커리어 태도와 관련하여서도 다채로운 연구가 수행되어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교육에 대한 논의가 풍부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With the daw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society is predicted to experienc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is becoming a reality with the increased life expectancy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medicine. More change than ever before is expected, and in some areas, the process of change is a part of our lives. The area of education and career is of an importance in such change, for they are the crucial factors that are not only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to the foundation of prosperous future of the society. To adequately adapt to the evolving modern society, changes in education system are t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quantitative evaluation-based SAT system, a groundbreaking qualitativ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calle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as introduce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cus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selection process, such as the major sui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aptitude. It has been 13 years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that caused greatest repercussion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in Korea, but it is still under great controversy. The lack of follow-up studies on the current state and the career path of those who were selected as self-directed is also amplifying the dispute. In this study, observations on the current state and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of the recently-graduated students from college (the social beginners) who were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System are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beginners selec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constituent. It is expected that presenting the career story in the overall context of life with the voices of those who have recently passed the aforementioned college entrance system will provide implications to consider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areer development composed in the context of the students’ life, who were selected in the early year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hen they became social beginners? Second, what are the implications derivable from those students’ career developments? In detail, examinations and analysis are performed on how a subjective individual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and construct their career paths, and what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imply in the light of their current career paths. This research use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inquiry method to describe the career experience of the students from early years of Admission Officer System.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University that operated the admissions system in accordance Admission Officer System. From May 2018 to May 2019, field texts were composed and research texts were written from interviewing research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made active efforts in career searching in the midst of the conventional SAT system, who were then recognized as ha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they were admitted to the university through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developed their career aggressively even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and are currently playing a role in society with the attitude of a Protean Career talented.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took an active attitude toward their career choice and career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The five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ither were stimulated by or actively reshaped the environment and created their own career path with their own colors. Such career development proces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identity awareness through their life’s theme was performed.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on themselves and have had time to explore. Doing a subjective career search in the conventional SAT-centered high school culture meant that they had to express themselves repeatedly over the time. Through the moments of life which the participants had to express themselves granted a chance for them to form a clear identity by allowing construction of their own narratives through reflection and search for life’s meaning. Second, participants had grown up subjectively in planned coincidences. They continued to learn from various experiences by taking coincidences that had a great impact on their lives as positive opportunities. The reflections and accomplishments from the early experiences led to courage of stepping toward new challenges. This also allowed them to go through more positive opportunities encountered in their lives. Third, this is a path to become a unique Protean Career talented. Those who pursue continuous learning and growth, and draw subjective, psychological success with their own values progress their career paths with their own narratives rather than with the narratives provided by the society. Their attitudes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were able to further extend to clear awareness of their identity and the adaptability to the environmen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experiences of talking about themselves and finding life themes were found to enhance their environmental flexibility based on the capital of rich experience. These experiences lead to the cultivation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Through observation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cent social beginner students selec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Identity awareness' and ‘Adaptability' presented in the meta-competence of the protean career are understood to be linked to the ‘life theme' and ‘career adaptability' discussed in career constructivism.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career to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design and suggest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the theme of student’s life. Second, discussions on home education and parental role should be active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Third, education on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should be done in institutional level. Fourth, the education culture should become that tolerates failure, and can raise the risk-taking capacity of the students. Fifth, the reorganization of current education system sh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fundamental inspection of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udents’ current position and their career course, who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the context of their overall life rather than at one poi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ollow up on such students who now became a social beginners and focus on their Protean Career attitude in the absence of previous research on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or career-related. It is hoped that this approach can aid in investigating and re-establishing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Korea, with future researches on the field of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 students’ career paths. Also, further abundant discussions and various studies o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corresponding required education capacity for the upcoming future are anticip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