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9 Download: 0
말더듬 성인의 언어단위별 말더듬 예측 평정점수와 구어반응시간(verbal response time, VRT)의 상관관계
- Title
- 말더듬 성인의 언어단위별 말더듬 예측 평정점수와 구어반응시간(verbal response time, VRT)의 상관관계
- Other Titles
- The relationship between stuttering anticipation in linguistic units and verbal response time in adults who stutter
- Authors
- 하나
- Issue Date
- 2019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심현섭
- Abstract
- 말더듬는 사람의 말더듬 예측에 관한 주제는 말더듬과 관련된 주요 주제 중 하나이며, 끊임없이 연구되어 왔다. 말더듬의 예측이 왜 일어나며, 말더듬 예측이 일관성이 있는지, 말더듬 예측이 실제 반응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것들이 주요 연구주제였다. 말더듬 예측의 원인, 일관성, 말더듬이 예측될 때 나타나는 반응들을 알게 된다면 말더듬 성인의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으로 특정단서(어휘, 상황 등)가 있을 때, 동일하게 말더듬을 경험하면 그 단서를 학습하고 단서에 부정적인 감정을 동반하게 되어 말을 더 더듬게 된다는 것에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몇몇 연구에서 예측이 비교적 일관된다는 결과를 얻었으나 예측의 일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그 수가 적고, 예측과 반응에 대한 관계는 연구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내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예측관련 연구는 영어권 국가에서 시행되었고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연구는 없다. 영어권 국가와 우리나라는 언어적 문화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영어권 국가에서 예측의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서와 우리나라에서 예측의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서가 다를 것 가정하였다. 특히, 한국어는 음절 경계가 뚜렷하다. 그래서 이런 언어적 차이를 고려하여 음소보다는 음절을 주요 고려요인으로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1)말더듬 예측 정도 점수와 말더듬 중증도, 구어반응시간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2)시간 경과에 따른 음소, 음절, 단어 단위의 말더듬 예측 평정이 일관성이 있는지, (3)말더듬 예측과 구어반응시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평균연령 37세인, 말더듬을 제외한 다른 문제가 없는 고등학교 재학 이상의 말더듬는 남성 16명이었으며, 말더듬 중증도는 약함 3명, 중간 6명, 심함 7명이었다. 대상자의 말더듬 정도는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Ⅱ로 평가하였다.
실험은 2번의 방문으로 이루어졌으며 평균 방문 주기는 7.2일이었다. 실험과제는 말더듬 예측 정도 평정은 말더듬 예측과 예측의 일관성, 말더듬예측이 나타나는 상황, 음소, 단어, 자기예측, 말더듬 일관성에 관련된 6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Visual Analog Scale(VAS) 형식의 평정지로 시행하였다. 음소, 음절, 단어 단위의 말더듬 예측 평정은 2번의 방문에서 2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말더듬 예측의 일관성을 보기 위함이었다. 음소, 음절, 단어 단위의 자극을 VAS 형식의 평정지로 평정하였다. 구어반응시간을 측정하기위하여 문장읽기 과제를 시행하였으며, 문장이 화면에 나타나고 발화가 일어난 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예측 정도와 말더듬 중증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특정한 단어에 말더듬을 일관성있게 예측한다’는 문항2와 말더듬 중증도(r=.594, p<.05), 말더듬 중증도와 구어반응시간(r=.565, p<.05), 문항2와 구어반응시간(r=.576, p<.05)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15명 중 13명(86.6%)이 1주일 간격의 음소, 음절, 단어 단위의 말더듬 예측 평정에서 1개 이상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말더듬는 사람들의 말더듬 예측에 일관성이 있었다. 셋째, 말더듬 예측 평정과 구어반응시간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을 때, 음절 단위에서 15명 중 4명이, 단어 단위에서 16명 중 6명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본인이 평가한 더듬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한 단어에서 더 긴 구어반응시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말더듬는 사람들이 말더듬을 예측한다, 말더듬 중증도와 말더듬 예측 정도에 상관관계가 있다, 단어단위 말더듬 예측에 일관성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구어반응시간에서는 선행연구보다 더 많은 대상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구어반응시간을 위한 문장읽기 과제 자극에 Praat으로 분석이 어려운 음소가 포함된 점, 일부 대상자들이 문장에서 2번째 위치한 단어에서 비유창성을 보인 점, 측정시 소음 및 발화겹침 등의 문제점이 있었기때문에 더 기술적인 방법으로 실제 구어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Adults who stutter (AWS) predict a moment that they will stutter. It is very common phenomenon for many AW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1)the relationship between self-belief about stuttering anticipation across the contexts (e.g. speaking to specific people, speaking particular speech syllables or words, and so on), verbal response time(VRT) and stuttering severity, (2) consistency in phoneme, syllable, word level anticipation,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stuttering anticipation and VRT.
Sixteen AWS aged from 16 to 5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WS rated their self-belief about stuttering anticipation across the context used a visual analog scale, and their degree of stuttering anticipation on phoneme, syllable, and word level at two separate visits. The average visits’ interval was 7.2days. Participants performed an oral sentence reading task on the computer screen at second visit to measure VRT. The reading task started with the words which they rated at the word level anticipation task at second visit. Within-subject and group level correlation analysis (wit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were us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tuttering anticipation, VRT, and stuttering seve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ttering severity, VRT and the self-belief questionnaire NO.2(I consistently anticipate stuttering on particular words). Secondly, thirteen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honeme, syllable and word level anticipation rating at least one or more across the two visits.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ion rating and VR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in four participants on syllable level and six participants on word leve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tuttering severity, the consistency of the anticipation, and self-belief in the anticipation that they stutter on particular wor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ion and VRT within seven participants may suggest that anticipation influences the speech production system.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