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를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철자인식 특성

Title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를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철자인식 특성
Other Titles
Orthographic Awareness through Orthographic Fast-mapping task of Children with Low-reading-achievement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김아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읽기와 쓰기는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수단인 동시에, 학습에 밑바탕이 되는 언어 능력이다. 특히 문어(written word)에 대한 영향력이 커지는 학령초기 아동들에게는 더욱 중요한 능력이다. 최근 읽기와 쓰기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메타언어인식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메타언어인식(metalinguistic awareness)이란 언어구조를 고려하고 조작하는 능력을 의미하는데(정부자, 2016), 메타언어인식에 속하는 여러 능력 중 철자인식은 철자 발달의 예측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Wolter et al., 2009). 철자인식(orthographic awareness)은 우리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구어를 문어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패턴이나 방법에 관한 정보이다(Apel, 2011). 제시되는 글자 자극을 보고, 우리는 우선 글자 전체를 인식한 후(Ehri & Snowling, 2004) 기억 속에 있는 글자 패턴 정보를 가지고 단어를 해독하게 된다. 이때 패턴이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의식적이고 인지적인 시각적 스캔 과정을 통한 해독과정을 겪게 된다(Johnson, 1986). 이런 과정을 통해 글을 더 쉽고 빠르게 읽어나갈 수 있다. 쓰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글자와 대응하는 소리와의 관계를 알고, 해당하는 소리를 글자 형태로 바꾸는 과정을 통해 자동적인 글자 쓰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용되는 개념이 바로 철자인식인 것이다. 최근 연구들은 문해 초기 아동의 철자 표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메터언어인식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달해야 한다고 보고하며, 각 지식의 영향력이 발달 단계마다 다를 수 있다고 설명한다(Apel et al., 2012; Barber, 2013; Berninger et al., 2010). 음운인식과 철자인식은 유치원 혹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급속도로 발전하며, 초등학교 중학년에 이르렀을 때 형태인식과 어휘력의 증진을 보인다고 보고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들의 불완전한 습득은 학습장애나 읽기 부진의 아동들 경우 학습의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와 조기 중재가 중요할 것이다. Apel(2018)은 아동의 문어에 대한 빠른의미연결 능력이 읽기와 쓰기 수행력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아동은 단어와 글자에 대한 표상을 재빨리 연결하면서 철자인식을 발달시키고, 이렇게 발달된 철자인식 능력은 단어를 읽거나 쓸 때 별도의 어려움 없이 가능하게 만든다(Wolter et al., 2010). 이 과정에서 언어적인 어려움을 가진 아동들은 시간적인 지연과 인지적인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에 더 낮은 수행력을 보인다고 보고된다(Gray, 2005). 또한, 빠른의미연결 과제는 아동의 다른 언어 지식의 영향을 줄이고자 비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비단어를 사용한 과제가 비단어의 특성에 의해 과제 수행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배경란 외, 2018). 그 중 단어유사성 정도에 따라 과제 수행력이 달라진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는데(Vitevitch et al., 2004), 이는 비단어가 실제 단어와 유사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는 이유가 비단어와 음운 구조가 유사한 어휘를 생각해내기 위하여 자신의 어휘 지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빠른의미연결을 통해 철자인식 능력을 측정하고, 단어유사성의 변인에 따른 일반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의 철자인식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철자인식 발달이 급속도로 발달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일반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를 통해 철자인식 특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집단 간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비단어 철자 쓰기, 비단어 철자 확인)에서 단어유사성 정도(높음, 낮음)에 따른 철자인식 능력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고, 측정된 철자인식 능력과 상관을 보이는 요인(음운인식, 어휘력, 읽기, 쓰기)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 중 비단어 철자 확인 과제에서 집단 별로 오류유형 양상(시각적 유사성, 음운적 유사성, 혼합)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2학년 일반 아동 16명, 읽기부진 아동 16명, 총 32명이다. 기초 검사도구로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제2판(K-CTONI-2, 박혜원, 2014)과 한국어 읽기검사(KOLRA, 배소영 외, 2015)를 사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 과제로는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Apel et al., 2018)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김영태 외, 2009), 간편 읽기 및 쓰기 발달 검사(김영태 외, 개발 중)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집단 간 단어유사성 정도에 따른 철자인식 능력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별로 철자인식과 여러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별로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에서 오류유형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오류유형별 오류 비율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집단 간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를 통한 철자인식 능력을 분석한 결과, 비단어 철자 쓰기와 비단어 철자 확인 두 과제 모두 집단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읽기부진 아동 집단의 수행력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유사성 정도에 따른 주효과는 비단어 철자 쓰기 과제에서만 유의하였다. 그리고 두 과제 모두 단어유사성 정도와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집단 간 과제에 따른 철자인식 능력과 음운인식, 어휘력, 읽기, 쓰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 쓰기 능력에서만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읽기부진 아동 집단의 경우, 어휘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세 번째, 집단 간 철자 빠른의미연결 과제 중 철자 비단어 확인 과제의 오류유형 양상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유사성, 음운적 유사성, 혼합 순으로 오류 비율을 나타냈으며, 두 집단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타언어인식에 속하는 철자인식 능력을 평가하여 일반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의 특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다양한 메타언어인식과 읽기 및 쓰기 능력과의 관련성을 발견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문어 형식의 빠른의미연결을 활용한 과제를 사용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철자인식을 다양하게 평가해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어유사성이라는 요인과 과제에서 나타난 오류유형 양상을 통해 읽기부진 아동의 철자인식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ading and writing are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and it is a language ability that underlies learning. It is especially important for young children who are just growing influence on written word. Recent research shows that reading and writing is related metalinguistic awareness. Metalinguistic awareness is the ability to consider and manipulate language structures (Chung, 2016), orthographic awareness as a part of metalinguistic awareness is reported to be a predictive indicator of spelling development(Wolter et al., 2009). Orthographic awareness refers to the information about a pattern or method which tells us how to represent spoken language in written language (Apel, 2011). By looking at the letter, we first recognize the entire letter (Ehri & Snowling, 2004) and then decode the word with letter patterns in the memory. In this case, if the pattern is not stored in memory, the decoding process is experienced through conscious and cognitive visual scanning (Johnson, 1986). This process makes reading easier and faster. The same goes for writing. Automatic letter writing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kn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tter and a corresponding sound and changing that sound into a letter form. The concept that can be applied here is orthographic awareness. Recent studies report that in order to develop early childhood literal representational skills, metalinguistic awareness needs to develop whil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lso they explain that the influence of each knowledge can differ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Apel et al., 2012; Barber, 2013; Berninger et al., 2010). It is repor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nd orthographic awareness develop rapidly in kindergarten or early years of elementary school, and by middle years in elementary school they show improvement in form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However, incomplete acquisition of these knowledge can even cause difficulties in learn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or poor reading. Therefore, assessment and an early intervention is essential. In addition, Apel (2018) explains that the ability to connect quickly to the written word in preschool-age children i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Therefore, a child develops orthographic awareness, quickly linking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letters and this advanced orthographic awareness makes reading or writing possible without difficulty (Wolter et al., 2010). In this process, children with language difficulties are reported to have lower performance due to increased time delay and cognitive burden (Gray, 2005). In addition, fast-mapping task is often uses non-word to reduce the impact of children’s knowledge of other language. And studies have recently shown that a task using non-word may be affected by character of non-word (Bae, 2018). Among them, studies have shown that task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wordlikeness (Vitevitch et al., 2004). Wordlikeness is how much the sound composing a word is similar to the real sound. The more similar a word is to a real word, performance increase by using their vocabulary since the phonological structure is similar to an actual wor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ask of measuring the ability of orthographic awareness through fast mapping was used. By using this task we will see the difference in orthographic awareness in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and normal children based on the degree of wordlikeness. To sum up, this study compared the ability of orthographic awareness through fast mapping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in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en orthographic awareness development in rapi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at the orthographic awarenes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degree of wordlikeness (high or low) through the orthographic fast-mapping task (orthographic production and orthographic identification) of measuring the ability to orthographic awareness and to examine factors (phon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reading, and writing) that correlate with measured orthographic awareness ability. In addition, to compare the patterns of error types (visual similarity, phonetic similarity and mixing) in the non word orthographic identification task among orthographic fast-mapping task.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6 normal children from grades 1-2 in elementary school, 16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a total of 32.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second edition of the Korean non-verbal intelligence test (K-CTONI-2, Park Hye-won, 2014), and the Korean language reading test (KOLRA, Bae So-young et al, 2015) which is a basic assessment tool. For this research task, we performed the orthographic fast-mapping task(Apel et al., 2018), th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et al., 2009), and Korean convenient reading & writing assessment (tentative name; Kim et al., 2019). Statistical analyses was conducted with a two-way mixed ANOVA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thographic awareness abilit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wordlikeness between group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orthographic awareness and various factors in groups. Finally, to look at error type patterns in the orthographic fast-mapping task, the error rate by error typ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ability of orthographic awareness through the task of orthographic fast-mapping among groups, both the main effects of the group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The main effects of the degree of wordlikeness were only significant in the orthographic production task. However,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wordlikeness typ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thographic awareness and phon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group-to-group tasks,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only in writing abilities for the normal children's group. For a group of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static correlations appeared in all areas except vocabulary. Third, the analysis of the error type pattern of orthographic identification task among groups showed the error rate in the order of visual similarity, phonetic similarity and mixing. And Both groups showed similar aspects. This study was a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by evaluating their orthographic awareness ability belonging to metalinguistic awareness. There is also significance in discovering the relevance of various metalinguistic awareness to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addition, the task of using fast-mapping in the form of written words was checked for the possibility of various evaluation of orthographic awareness among school-age children. Finally, the factors of wordlikeness degree and error type pattern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ediation of orthographic awareness abilities of children with children who are reading in low-achiev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