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5 Download: 0

공간 업사이클링을 위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Title
공간 업사이클링을 위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Other Titles
A study on place brand identity design for space upcycling
Authors
이혜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The industrial structure of Korea has changed dramatically with repeated growth, decline and dissolution. As the Information Age began,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facilities, which were the symbol of modernization became an idle space. Idle space was not compatible with the city's landscape and could caus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ising crime rat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s a result, urban regeneration measures have become an important topic. However,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e proper use of idle space can also be a valuable and useful resource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generation of a declining area. Space upcycling is drawing attention in Korea as a way to recycle idle space to build a new space. Space upcycling is a concept in which upcycling is extended to buildings and spaces. This refers to the use of a space for new functions and applications while maintaining the unique identity of an underutilized building or region. Space upcycling was first started in Europe in 1990s when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and long-term neglected buildings were being. There are representative success stories.  First, the Tate Museum in London, England, which has become a tourist attraction for more than 4 million tourists a year, has upgraded a thermal power plant that has been neglected for more than 20 years to become an art gallery. Zollverein of Essen, Germany, became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by using the abandoned mining area as a cultural facility for museums, libraries and more. And The High line Park in New York Cit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ocal attraction by turning the scrapped high-altitude railway into a park for citizens. What these examples have in common is that the process of reusing a place or space has evolved into a brand identity, seeking not only changes in physical form, such as variations in space or form, but also the unique identity of a place, environment, tradition, culture, etc. It also visualized this advanced identity through design, giving it new value and recreating it as a tourist attraction with differentiating appeal from others. Noting these examples, this study selected the Mullae Art Village in Mullae-dong, Yeongdeungpo-gu, Seoul, which is a mix of iron-making factory complexes and residential areas, and proposed a place brand design. Mullae Art Village is a self-developed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with a clear historical, environmental and spatial identity. However, the lack of branding for place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uch as guides and printouts has caused confusion among tourists visiting the sites. For this reason, we felt the need for place branding research in the Mullae Art Village, and to solve this problem, we derived identity into three types: type based on historical resources, type based on environmental resources and type based on spati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for deriving place brand identity. By reflecting this as a design motif, each brand identity design was developed for each type. The image survey of brand identity of the Mullae Art Village developed in the previous chapter was conducted, an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brand identity was most suitable for the target. At the e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mpleted by developing the place brand identity design system and application of the Mullae Art Village.  Through the brand of Mullae Art Village developed i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value of the place will be rediscovered, which will arouse people's interest in the Mullae Art Village, deliver positiv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place to visitors of the Mullae Art Village, and further, be reborn as a cultural space and tourism resource representing Seoul.;한국의 산업 구조는 성장과 쇠퇴, 해체를 반복하며 급격하게 변화되어왔다. 특히 20세기 후반 근대화에 따른 산업화 시대가 저물고 정보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근대 도시의 상징이었던 제조·산업시설이 유휴공간으로 남게 되었는데 유휴공간은 도시의 경관을 해치고 범죄율 증가, 환경오염과 같은 각종 사회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기에 그에 따른 도시재생 대책이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다. 하지만 관점을 달리하여 보면 유휴공간의 적절한 활용은 쇠퇴한 지역의 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유용한 자원이 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최근 유휴공간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으로 구축하는 활용방안으로 공간 업사이클링이 주목받고 있다. 공간 업사이클링은 업사이클링이 건축물과 공간으로 확장된 개념으로 사용되지 않거나 활용성이 낮아진 건축물 또는 공간의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능과 용도로 활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 업사이클링은 1990년대 산업구조의 변화로 장기간 방치된 건축물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던 유럽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대표적인 성공사례로는 20여 년간 버려져 방치되어 있던 화력발전소를 미술관으로 리모델링하여 한해 4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관광 명소로 변모한 영국 런던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폐광 지역을 박물관·도서관 등 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오른 독일 에센의 졸페라인, 폐기된 고가철도를 철거하는 대신 시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명소로 자리 잡은 뉴욕의 하이라인파크 등이 있다. 이 사례들의 공통점은 장소가 새로이 활용되는 과정을 단순히 공간의 변용이나 형태적 변형이라는 물리적 측면에서의 관점을 넘어서서 장소만이 가진 역사, 환경, 전통, 문화 등의 공간 고유의 정체성을 찾아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이렇게 창출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디자인함에 따라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다른 장소와는 차별화된 매력을 가진 관광명소로 재탄생시켰다. 이런 사실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는 철재공장단지와 주거지가 혼재하고 있는 서울시 영등포구 문래동 문래창작촌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장소 브랜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문래창작촌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문화예술 단지로써 역사적·환경적·공간적으로 명확한 정체성을 갖춘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장소에 대한 브랜딩이 결여되어 있으며 사인 시스템과 인쇄 매체 등의 정보가 미흡하여 장소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장소의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에 장소 브랜딩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도출 기준에 따라 역사자원에 기반을 둔 유형, 환경자원에 기반을 둔 유형, 공간자원에 기반을 둔 유형 총 3가지 유형으로 아이덴티티를 도출하였다. 이를 디자인 모티프로 반영하여 유형별로 각각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앞 장에서 개발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 선정 대상에 가장 적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래창작촌의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해봄으로써 연구를 마쳤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장소 브랜드의 적용으로 장소의 가치가 재발견되어 문래창작촌을 찾게 될 방문자들에게 관심을 유발할 수 있고, 방문객들에게는 긍정적인 장소의 경험과 기억을 전달하며, 더 나아가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 공간, 관광자원으로써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