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7 Download: 0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Title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Other Titles
A Survey on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of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hors
김정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오늘날 시대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지적기능과 적응행동이 현저하게 제한되어 있는 발달장애인이 학령기만의 교육으로 이 시대에 적응하여 살아가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발달장애인들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 성인생활 적응에 필요한 고등교육, 성인교육, 평생교육과 같은 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education)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분야에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 기회에 대한 논의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학령기 또는 학령전기의 유아특수교육 대상 아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면, 이제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기 장애인에게까지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 및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교 2학년 또는 3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하여 발달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경기 및 인천)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8년 10월 기준 서울 및 수도권 지역 특수학교 44개교,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 고등학교 95개교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에게 총 38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수합된 238부의 질문지가 통계처리에 활용되었다.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로 3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 및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을 알아본 결과, 발달장애 자녀의 고등학교 졸업 직후 희망 진로는 직업훈련기관의 직업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45.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대학의 일반학과에 진학(2.5%)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녀에게 고등학교 졸업 직후 중등이후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고등학교 졸업 직후 바로 취업하기 어려운 자녀에게 심리·정서적 안정과 만족을 주기 때문에(특수학교 학부모 집단 M=4.39,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 M=4.17)와 학위 또는 수료증 취득이 필요하기 때문에(특수학교 학부모 집단 M=2.38,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 M=2.97)에서 발달장애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유형(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결정 시 어려운 점은 교육적 수준에 알맞은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부족(M=4.4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녀의 참여 의지 부족(M=2.5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양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발달장애 학생 본인을 대상으로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요구를 조사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둘째,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요구를 알아본 결과,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운영 주체는 국가·지자체(93.7%)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가 선호하는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실시 장소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직업훈련기관,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교육 강사는 특수교사 혹은 특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가장 높게 나타나 발달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담당인력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이해여부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유형에 따른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수학교 학부모 집단은 ‘4년 이상’을 가장 선호하고,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은 ‘2-3년 미만’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적어도 2년 이상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특수학교 학부모 집단은 자녀가 오랜 기간 동안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가 원하는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대인관계기술 영역(M=4.4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적 학업기술 영역(M=4.0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녀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참여 시 희망하는 추가적 지원에서 특수학교 학부모 집단은 통학 지원을, 특수학급 학부모 집단은 경제적 지원과 상담 지원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발달장애 학생의 학부모는 자녀에게 중등이후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적 수준에 알맞은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중등이후교육 기관도 사실상 미흡한 실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다양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중등이후교육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며, 이는 발달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활성화에 관심을 환기시키며,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후속 연구의 촉진제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of society have made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se intellectual performance and adaptative behaviors are severely limited difficult to adapt to the society only by school-aged education. Though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quire continuing education opportunities after high school, most of the them in Korea have no furt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 discussion on educational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has focused on school-aged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or special education for preschool age. It is now necessary to discuss post-secondary education for adults who have graduated from high school. In this study, post-secondary education refers to the educational programs required for adulthood, which are available after secondary education, and suited to the age at which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aduate from high schools(e.g. higher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adul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post-secondary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arents regarding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ho are in the second or third grades at special high schools or the special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 This questionnaire survey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the parents regarding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As of October 2018,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80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44 special school and the special classes in 95 general high schools and the 238 questionnaire responses collected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three stage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chi-square test, and the t-test according to the study quest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on the parents' perception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career of their children after high school was 'Being enrolled in vocation-related program of vocational training center' and the least preferred one was 'Entering a general department of general university'.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mfort and satisfaction of their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job immediately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and 'For required academic degree or certifi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the difficulties in determining post-secondary education, 'Lack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ppropriate for child's educational level'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Absence of willingness of child to participate i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lowest score. Secondly, concerning the parents' need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teacher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those certificated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followed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ructor or vocation-related specialist, lifelong educator, social worker, professor specialized in special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ppropriate education period where special school parents preferred 'over four years' while special classes parents preferred 'under 2-3 years'. All the parents wante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o be the administration host of post-secondary education. Concerning the most needed additional support for post-secondary education, special school parents answered 'support for attendance' while special classes parents answered 'economic support' and 'support for counseling'. The most preferred environment by paren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was loc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llowed by vocation training center, college, and university. The most preferred contents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technical learning skill was least preferred. All the domains of contents showed mean of over 4.00, indicating that the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ct various contents.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practitioners related to post-secondary education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lifelong educator,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ructor) by providing them with fundamental data needed to implement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 the cont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