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8 Download: 0

일상 공유 브이로그(VLOG) 시청동기가 시청 만족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일상 공유 브이로그(VLOG) 시청동기가 시청 만족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Explication of viewing motivation behind Daily life VLOG, and its effect on viewer satisfaction and persistent-viewing intention: with a focus on Love-life VLOG
Authors
YAO, HUI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1인 미디어 중 연애 일상 브이로그 장르를 중심으로 연애 일상 브이로그의 시청 동기가 시청 만족도와 지속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총 504명의 중국 연애 일상 브이로그 시청 경험이 있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연애 일상 브이로그에 대한 시청 동기로는 관음증, 간접 경험, 현실감, 사회적 상호작용, 시청 편의성 총 다섯 가지가 있다. 이 다섯 가지의 동기가 각각의 시청 만족도와 지속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연애 일상 브이로그 시청하는 동기는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현실감 요인”, “시청 편의성 요인”,“간접 경험 요인”, 그리고“관음증 요인”순으로 시청 동기는 시청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현실감 요인”, “간접 경험 요인”, 그리고 “관음증 요인” 순으로 지속 시청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청 편의성 요인”에 대한 시청 동기는 지속시청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애 일상 브이로그에 시청 만족도가 지속 시청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성별로 시청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남성은 “현실감 요인”, “간접 경험 요인”,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관음증 요인”, “시청 편의성 요인”순으로 시청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현실감 요인”, “시청 편의성 요인”, “간접 경험 요인”순으로 다섯 가지 요인에 대한 시청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음증 요인” 에 대한 시청 동기는 시청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성별로 시청 동기가 지속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남성은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현실감 요인”, “관음증 요인”, “간접 경험 요인”순으로 시청 동기가 시청 지속 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청 평의성 요인”은 지속 시청 의도에 주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현실감 요인”,“간접 경험 요인”순으로 시청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청 동기중“시청 편의성 요인”과 “관음증 요인”은 지속 시청 의도에 주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등장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장르인 연애 일상 브이로그 콘텐츠를 이용자 측면에서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중국에서 브이로그 장르는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현재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중국 내에는 많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중국의 시청자들이 연애 일상 브이로그를 이용하는 동기가 시청 만족도와 지속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일상 공유 브이로그 장르를 떠나서 1인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과 사업적 측면에서 도움이 되는 학문적 연구가 될 수 있다라는 생각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on viewer satisfaction and persistent-viewing intention, focusing on love-life vlog amongst me-media, a recently- developed media contents. Total of 504 viewers, who previously experienced Chinese love-life vlog were surveyed, and the motivation behind watching love-life vlog is classified into five parts: Voyeurism, indirect experience, sense of reality, 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convenience. The effects of each five motivations on viewer satisfaction and persistent-viewing intention were targeted for examin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 Firstly, viewing motiva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iewer satisfaction in a love-life vlog, in the order of “social interaction factor”, “sense of reality factor”, “viewing convenience factor”, “indirect experience factor”, and “voyeurism factor”. Secondly, a positive(+) effect on persistent-viewing intention was shown from in the order of “social interaction factor”, “sense of reality factor”, “indirect experience factor”, and “voyeurism factor”, but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from “viewing convenience factor”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relevant. Thirdly, viewer satisfaction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sistent-viewing intention in a love-life vlog. Fourthly, in examining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on viewer satisfaction by gender, all five factors of viewing motiva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iewer satisfaction for males in the order of “sense of reality factor”, “indirect experience factor”, “social interaction factor”, “voyeurism factor”, and “viewing convenience factor”. For females, viewing motiva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iewer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social interaction factor”, “sense of reality factor”, “viewing convenience factor”, and “indirect experience factor”, but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from “voyeurism factor” on viewer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relevant. Lastly,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on persistent-viewing intention by gender, a positive(+) effect was shown for males from in the order of “social interaction factor”, “sense of reality factor”, “voyeurism factor”, and “indirect experience factor”, but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from “viewing convenience factor” on persistent-viewing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relevant. For females, viewing motiva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sistent-viewing intention in the order of “social interaction factor”, “sense of reality factor”, and “indirect experience factor”, but the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from “viewing convenience factor” and “voyeurism factor” on persistent-viewing intention were not statistically relevant. This study utilized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during the research process, in examining love-life vlog, a newly blooming genre in new media. Vlog genre is fairly recently introduced in China, but has become extremely popular. Because China still lacks relevant research despite vlog genre’s popular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 on viewer satisfaction and persistent-viewing intention in the scope of Chinese vlog-viewers. This academic research aims to reach beyond daily life vlog genre and contribute to me-media content production and overall me-media indus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