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SNS 유형에 따른 사회자본 형성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효과

Title
SNS 유형에 따른 사회자본 형성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orm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SNS type
Authors
WANG, DANQING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지향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SNS에서 형성되는 사회자본의 종류에 따라 중국인들의 정치참여 행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사회자본과 정치참여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정치적 사회자본’ 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SNS 이용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시민참여와 표현적 정치참여를 이끄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우선 두 가지 다른 유형의 SNS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정치적 관심, 정치적 토론의 정도 등이 정치적으로 유용한 사회적 자본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다음으로, 중국의 젊은 SNS이용자들 중 특히 개방형 SNS를 사용은 사회 자본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중국 젊은이들이 개방형 SNS를 사용하면 인맥을 다지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SNS 유형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해서는 개별 사용자의 사회적 자본 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특히 시민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SNS유형별로 정치적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크기와 정치적 전문성)의 역할을 조절하는 것도 정치 참여 증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로운 SNS상황에서 정치적인 사회자본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사회자본을 재조명하였으며, 특히 SNS 규모의 크기와 정치적 전문성이라는 2가지 다른 정치적자본의 역할을 실천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자는 정치적 사회자본이 기존 사회자본과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미디어 환경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나, 정치토론, 정치적 관심과 정치 효능감 등 다방면에 걸친 연구에서 미래연구자는 사회자본의 다양한 유형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중국 같은 특수사회체제에 기반을 둔 국가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SNS가 정치 참여 연구로는 부족하다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새로운 인터넷 환경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검증하고 정치적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밝혀냄으로써, 더욱 복잡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 최근 시작된 정치적 사회자본에 대한 별도 연구로 인터넷 크기나 정치적 전문성 등 두 가지 정치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비교함으로써 정치참여를 더 잘 이해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of Chinese people according to the types of social capital formed in China SNS an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political social capital' And what kind of mechanism leads to citizen participation and expressive political participation. As a result, first of all, political interest and degree of political debate in using two different types of social networks helped to obtain politically useful social capital. Next, we found that the use of open social networking among young SNS users in China can contribute to social capital growth. This means that Chinese young people use open social networking systems (SNS) to make connections. In addition, the degree of influence of SNS type on political particip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social capital motive of individual users, and positively affects citizen participation in particular. Finally, it can be seen that regulating the role of political social capital (network size and political expertise) by SNS type helps to increase political participation. In addition, this study reaffirms a new type of social capital called political social capital in the new SNS situation,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practically the role of two different political capital such as SNS size and political expertise. The researchers think that political social capital is similar to existing social capital but has distinct areas. Therefore, future researchers need to study various types of social capital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effects of media environment on social capital formation, political debate,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efficac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NS is lacking in political participation research in countries based on a special social system such as China. In a new Internet environment,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e basis for more complex follow - up studies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 and revealing the role of political and social capital. Another study on the recent political social capital has provided a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 roles of two political and social capital such as internet size and political experti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