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06 Download: 0

녹차, 우롱차, 홍차, 흑차에 의한 천연염색 연구

Title
녹차, 우롱차, 홍차, 흑차에 의한 천연염색 연구
Other Titles
Natural dyeing of silk, cotton and rayon fabrics with tea leaves : Focusing on green tea, oolong tea, black tea, dark tea
Authors
WANG, TIANTIA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준
Abstract
차는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마셔 온 건강 음료의 일종이며, 가공 및 보관 과정에서 폴리페놀이 산화, 발효되면서 차황소, 차홍소, 차갈소 등 천연 색소 성분이 생겨 의류소재의 염색에 활용할 경우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도록 한다. 항산화, 항균, 소취 등 여러 가지 효능을 지닌 차는 의류소재의 염색분야에서의 다양한 활용이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염재로 활용 가치가 높은 녹차, 우롱차, 홍차, 흑차 4가지 차를 선정하였으며 총 8가지 찻잎을 사용하였다. 매염제는 Fe, Cu, Sn, Al을 사용하였으며, 견, 면, 레이온 시료를 선매염처리 하였다. 100%, 150%, 200% o.w.f 농도의 차염액에 의해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되어 자연건조 시킨 360개의 시료들에 대해 표면색의 CIE Lab 값과 ΔE값을 구하였다. 별도의 차추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추출액의 Spectrum을 측정,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에 의하여 천연염색을 한 결과 견, 면, 레이온 3가지 시료 중 견직물의 염색 효과가 가장 뚜렷하였다. 둘째, 녹차, 우롱차, 홍차, 흑차에 속하는 8가지 종류의 찻잎의 무매염법에 의한 염색효과는 발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염색물의 색상이 진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녹차, 우롱차, 흑차, 홍차의 순서로 염색효과가 좋아졌다. 셋째, 직물을 무매염 혹은 Fe, Cu, Sn, Al 매염제로 처리하면 갈색, 갈홍색, 갈황색, 회색, 회홍색 등 다양한 범위의 색상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찻잎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염색물의 염색 효과가 대체로 좋아졌으며, 200% o.w.f의 찻잎으로 염색 시 대체적으로 우수한 염색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차에 관한 천연염색의 기초자료가 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 차에 의한 염색물의 견뢰도와 항균성에 대한 검증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As a kind of health beverage that has been drinking for thousands of years, tea is second most consumed in the world after water. Teas are categorized into 7 groups: green tea, white tea, yellow tea, oolong tea, black tea, dark tea, reprocessed tea, and grouped based on how much processing they go through and the fermentation degre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orage stages of tea, natural pigments such as theaflavin, thearubigins, theabrownin are produced owing to the oxidation and fermentation of polyphenols within the tea leaves. Consequently, various colors can be created by using the tea leaves as dye.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tea comprises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that are proved to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main of the studies are on the aspect of food nutrition and research on tea dyeing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yeing characteristics of silk, cotton and rayon fabrics by using dyeing solution extracted from different varieties of tea, specifically 4 types of tea(green tea, oolong tea, balck tea, dark tea) which have high utilization value were selected, and 8 kinds of tea leaves were used as dye. Comparative results of CIE Lab values and the color difference value(ΔE) of 360 pieces of dyed fabrics were studi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dye concentrations(100%, 150%, 200%) and mordants(Fe, Cu, Sn, 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all of the dyed fabrics of silk, cotton and rayon, it showed the best dyeing effects on silk fabrics. Second, the dyeing effect of the 8 kinds of tea leaves belonging to green tea, oolong tea, black tea, and dark tea tended to be enhanced as the degree of fermentation increased. Third, when the fabrics were mordanted with Fe, Cu, Sn, Al mordants, various colour such as brown, brownish red, brownish yellow, gray, and reddish brown were obtained. Fourth, while the concentration of tea dyeing solution was increased from 100% to 200%, the surface color of dyed fabrics were darker.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tea,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the basis of natural dyeing with tea lea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