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1 Download: 0

한국어 원어민과 일본어-한국어 및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간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른 단어재인 시 ERP 성분 비교

Title
한국어 원어민과 일본어-한국어 및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간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른 단어재인 시 ERP 성분 비교
Other Titles
The phonological activation in Korean word recognition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Korean and Chinese-Korean bilinguals
Authors
원동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한글은 표기와 발음의 대응관계가 비교적 규칙적인 표층표기체계이다. 하지만 음절과 음절 사이에 음이 변하는 현상을 일으킨다는 특징을 갖는다(임유경, 2006). 따라서 이음절 이상 단어를 정확히 읽기 위해서는 음운규칙을 적용해야 한다. 한국어 원어민은 음운규칙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학습과정에 포함되어 발달된다. 그러나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지 않는 정상 성인의 경우에도 개인에 따라 음운규칙을 적용하지 않아 오반응률(%)과 반응시간(ms)이 다르다(임유경, 2006). 이중경로모델(Coltheart, 2006)에 따르면 자소와 음소가 일치하는 규칙단어의 경우 음운경로를 우선적으로 활성화하여 읽지만 자소와 음소가 불규칙한 단어의 경우 의미체계를 필수적으로 거치는 어휘경로에 의해서만 정확한 읽기가 가능하다. 제 2언어로 한국어를 습득한 이중언어 사용자와 의 경우 자소-음소 변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음운규칙 적용에 어려움을 보인다(이윤희, 2003; 이효숙, 2008; 한성우, 2008; 허용, 2012; 김태경, 백경미, 2015). 따라서 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와 한국어 원어민을 대상으로 음운규칙 적용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ERP 분석을 통해 음운처리 과정을 신경학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그들의 음운규칙 적용에 대한 어려움을 신경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ERP 분석을 통해 한국어 원어민과 일본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집단 사이의 한국어 특수적인 음운규칙 적용에 따른 단어재인에서 실시간 처리과정에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만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한국어 원어민 15명, 제 2언어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13명,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14명, 총 4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과제는 시각자극 제시 이후 들리는 청각자극과 비교하여 음운규칙이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판단하도록 하는 음운판단과제를 사용하였다. 음운규칙의 경우 선행연구(허용 2012)결과를 근거로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와 일본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모두에게 난이도가 낮은 ‘연음화’,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에겐 중간 난이도이며 일본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에겐 높은 난이도를 보이는 ‘격음화’,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에겐 높은 난이도이나 일본어-한국어 이중언어 사용자에겐 중간 난이도인‘유음화’로 제한하였다. 과제에 사용된 단어는 모두 2음절 유의미 단어를 사용하였다. 음운규칙을 적용하지 않은 조건 45개, 음운규칙을 적용한 조건 45개로 구성하여 총 90개 단어를 사용하였다. 피험자들이 제시된 자극에 대해 판단하는 동안 정반응률(%), 반응시간(ms), 구간별 평균진폭(㎶)을 측정하였다. 먼저 행동분석 결과, 집단 내 음운규칙 적용여부에 따른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음운규칙을 적용하지 않은 조건에 비해 음운규칙을 적용한 조건에서 정반응률이 높고 반응시간이 빨랐다. 시각자극 제시 후 자소와 음소의 변환을 나타내는 200~350ms 구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각자극 제시 후 150~300ms 구간은 음운이 일치할 경우 활성화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청각자극 제시 후, 300~500ms 구간은 의미적 오류가 있거나 점화자극과 의미적 또는 음운적으로 연관이 없는 경우 활성화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운규칙 적용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음운규칙을 적용한 경우 활성화된 것이다. 행동분석 결과는 이중언어 사용자의 경우에도 한국어 원어민과 같이 음운에 대한 지식이 형성되어 있으며 자소-음소 규칙성에 따라 판단시간에만 차이를 보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에도 Coltheart(2006)의 이중경로모델에 따라 처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운규칙에 따라 차이를 보인 N250, N400 진폭의 차이는 이중언어 사용자 또한 원어민과 동일하게 음운지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형성된 음운지식에 따라 과제의 정오판단과정에서 발견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어 원어민과 같이 한국어 학습 시 한국어에 노출되는 시간을 늘리고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단어를 학습한다면 원어민과 동일한 정오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중언어 사용자의 음운규칙 적용에 대한 중재의 중요성과 중재효과를 신경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한국어의 경우 음운규칙을 적용하지 않고도 읽을 수 있어 과제를 진행하기 전 충분한 설명이 필요했으며 둘째, 이중언어 사용자 집단 선정에 최소한의 제한을 두고 진행하여 학습기간, 거주 기간 등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Although Hangeul is a shallow orthography language with relatively regular correspondence between spell and sound, its sound changes between syllable and syllable. Therefore, phonological rules should be applied to correctly read more than two syllable words. In the case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 phonological rules are developed in the learning process as it i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from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normal adults without difficulty in reading have different error rates (%) and reaction times (ms) because individuals differently apply the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the Dual Route Model (Coltheart, 2006), for regular words in which graphemes correspond phonemes, the non-lexical reading route is preferentially activated for reading, while, for irregular words of graphemes and phonemes, correct reading is possible only by the lexical reading route through the essential semantic system. Bilinguals who have learn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xperienc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hat should be converted to grapheme-phone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phonological rules application ability between Korean bilingual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to neurologically compare the phonological processing through the ERP analysis, which study aims to neurologically understand the hardship of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real-time processing in word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specific phonological rules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Japanese-Korean bilinguals, and Chinese-Korean bilinguals through the ERP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a total of research subjects: 15 native Korean speakers aged 20 to 40, 13 Japanese-Korean bilingual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14 Chinese-Korean bilinguals. For the experiment task, the phoneme judgment task that asks the subjects to determine whether the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ed correctly compared with the auditory stimulus heard after visual stimulus presentation was used. Based on a previous study (허용 2012), The task was limited to ‘liaison’ which had a low level of difficulty for Chinese-Korean and Japanese-Korean bilinguals, ‘aspiration’ which had a mid-level of difficulty for Chinese-Korean bilinguals but a high level for Japanese-Korean bilinguals, and ‘liquidization’ which had a high level of difficulty for Chinese-Korean bilinguals but a mid-level for Japanese-Korean bilinguals. The vocabulary used in the task was all two syllable words. A total of 90 words consisting of 45 conditions without non-phonological rules and 45 conditions with phonological rules were used. The forward reaction rate (%), reaction time (ms), and mean amplitude(㎶) were measured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naturalness of pronuncia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behavior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forward correct response rate and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rules applied in the group. In other words, the forward correct response rate and reaction time were faster under the condition of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han the condition without the phonological rules. After the visual stimulus presen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interval of 200~350ms(N250) which indicated the grapheme-phoneme conver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according to whether the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ed. The interval of 150~300ms(P200) after the auditory stimulus presentation is activated when phonemes correspond. Yet,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ed. After the auditory stimulus presentation, the interval of 300~500ms(N400) is activated with a semantic error or no semantic or phonological relevance with kindling stimulus. In this stud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depending on whether the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ed or not. That is, the activation was performed in case of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Given that bilinguals have formed knowledge of phonemic as well as Korean native speakers, the findings of the behavioral analysis shows that learning Korean is also operated by the Dual Route Model (Coltheart, 2006). The difference in the N250 and N400 amplitudes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rules indicates that bilinguals also form phonological knowledge in the same way as native speakers, and that the phonological knowledge is found in the error judgment process of the task. Hence, by increasing exposure time to Korean and learning words with the phonological rules, they are likely to make identical error judgments to that of native speakers.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nterventio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bilinguals and the neurological use of intervention effec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Korean language could be read without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sufficient explanation was needed before the task. Second, the study did not control several factors including learning period and residence period due to the restriction of bilingu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