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김윤희-
dc.creator김윤희-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1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1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1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05-
dc.description.abstract함께 책 읽기(Shared Book Reading: SBR)를 하며 성인과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성인과 아동이 같이 책을 읽으며 아동은 새로운 어휘를 자연스럽게 배우고 향상시킬 수 있으며(Ard & Beverly, 2004), 익숙하지 않은 사람 또는 사물에 관한 단어가 포함된 어휘집(lexicon)을 점차 확장 시켜 나감에 따라 언어가 갖는 다양하고도 복잡한 의미를 습득해 간다. (Bloome, 1985; Ninio & Bruner, 1978). 또한 성인과 아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으로써 읽기의 즐거움을 공유하며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정행선, 조희숙, 2012). 성인과 아동은 공유된 활동 속에서 성인은 대화 상대자로서 비계설정의 역할을 하게 되어(Bondrova & Leong, 1996) 아동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했다. 그림책 읽어주기가 아동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 연구들은 그림 책 속의 그림과 문맥을 통해 새로운 어휘가 갖는 의미를 더욱 쉽게 습득할 수 때문에 성인과 아동이 함께 책을 읽는 활동 자체만으로도 어휘를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임수경, 김명순, 2013; Penno, Moore, & Wilkinson, 2002). 그러나 또 다른 연구들은 그림책을 읽어주기만 할 경우 유아가 수동적이 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며(De Temple & Tabor, 1996; Morrow, 1990, Scarborough & Dobrich, 1994), 교사의 책 읽기에 대한 잠재적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책 읽기 경험은 양보다는 질과 연관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Scarborough & Dobrich, 1994). 책을 읽은 후 성인과 아동 간 상호작용에서 질문수준, 질문형태에 따라 다양한 아동반응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토의활동과 같은 중재활동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대안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De Temple, 2001; Reese 외, 2003).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인의 책 읽기 방식에 따라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는 능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하지만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는 주로 일반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으로, 총 30명이 참여하였다. 집단을 구분하기 위해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외, 2010),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김영태, 2001), 비언어성 지능을 평가하는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 ABC; 문수백, 변창진, 2003)의 동작성 하위 검사를 실시한 이후 본 연구과제를 실시하였다. 일반아동 집단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 간 세 가지 책 읽기 방식(진술하기, 직접적 질문, 간접적 질문)에 따른 사전사후 어휘 학습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보다 사전사후 모두 수용어휘 정반응 총점이 높았다.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사후에 직접질문, 간접질문, 언급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단순언어장애 집단에서는 직접질문, 언급, 간접질문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하지만 책 읽기 방식에 따른 사전사후 수용어휘 학습능력에 대한 집단 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아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보다 사전사후 모두 표현어휘 정반응 총점이 높았다.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사후에 직접질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간접질문과 언급에서는 동일한 점수를 나타냈고 단순언어장애 집단에서는 언급, 직접질문, 간접질문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아울러, 책 읽기 방식에 따른 사전사후 표현어휘 학습능력에 대한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아동 집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보다 표현어휘 정반응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내 사전사후, 사전사후와 집단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보다 사후가 점수의 차이가 큰 것으로, 일반아동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가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사전, 사후의 점수보다 그룹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책 읽기 방식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책 읽기 방식과 관계없이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능력이 더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수용어휘보다 표현어휘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가지 책 읽기 방식(직접질문, 간접질문, 언급하기)에 따라 두 집단 간의 회기별 정반응 추이를 살펴 볼 때, 일반아동은 직접질문,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언급의 책 읽기 방식에서 어휘학습능력이 더 많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언어능력에 따라 책 읽기 방식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on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have revealed that the activity of picture book reading engaged both adults and children is a good opportunity to acquire vocabulary (Yim & Kim, 2013; Penno, Moore, & Wilkinson, 2002). This is because the picture and context in the picture book makes it easier to learn the meaning of new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the potential effects of teachers’picture book reading have shown that early childhood reading experiences are related to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calling for the necessity of relevant research(Scarborough & Dobrich, 1994).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bo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 differences in vocabulary acquisition by three reading types (direct question, indirect question, comment). Thirty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15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include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and the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 ABC) were measured in order to separate the groups. In order to find out the pre-post difference in vocabulary acquisition according to reading types (direct, indirect, comment) by two groups, three-way mixed 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ad higher total score of receptive vocabulary than that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terms of pre-post tes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between-group main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pre-post test’s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book reading types. Seco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ad higher total score of expressive vocabulary than that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terms of pre-post test.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direct question and had the same score in the indirect question and comment, while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had the highest score in order of comment, direct question, and indirect ques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between-group main effect was significant for pre-post test’s expressive vocabulary according to book readi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 pre-post test within a group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re-post test and a group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 the difference in score was larger in post-test than pre-test; the between-group difference of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s pre-post test scor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Neverthel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ok reading types and between-group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had lower ability to learn new vocabulary regardless of book reading type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ey showed lower performance in expressing vocabulary than accepting vocabulary. Considering the correct reaction tendency per session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hree book reading types (direct question, indirect question, comment), their vocabulary learning ability increased more by applying the direct question type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and the comment type to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respect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demonstrate that adjusting the type of book reading depending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helps them to understand and express new vocabul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9 A. 일반아동의 언어발달 과정 9 B. 함께 책 읽기를 통한 성인과 아동의 상호작용 12 Ⅲ.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16 1. 단순언어장애 아동 16 2. 일반아동 17 B. 연구과제 20 C. 연구절차 21 D. 자료분석 22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3 F. 신뢰도 24 Ⅳ. 연구결과 25 A. 책 읽기 방식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사전사후 표현어휘점수 비교 26 B. 책 읽기 방식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사전사후 수용어휘점수 비교 31 Ⅴ. 결론 및 논의 36 A. 결론 및 논의 36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1 부록 43 참고문헌 55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3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함께 책 읽기 방식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어휘 학습능력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Vocabulary Acquisition Abilities by Reading Typ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uring Shared Book Reading-
dc.creator.othernameKim, Yoon Hee-
dc.format.pagei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