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3 Download: 0

경직형 마비말장애 성인 화자 발화의 친숙 여부에 따른 말명료도 차이

Title
경직형 마비말장애 성인 화자 발화의 친숙 여부에 따른 말명료도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s between familiar listeners and unfamiliar listeners in speech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utterance types in spastic dysarthria
Authors
노주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familiar listeners and unfamiliar listeners in speech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utterance type in spastic dysarthria. In this study, the words and sentence utterances of three experimenters with spastic dysarthira have been presented to two groups of listeners. The listeners are divided into two large groups based upon the level of familiarity with spastic dysarthria. The familiar group consis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more than one year’s experience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spastic dysarthria. The unfamiliar group consists of those who have never communicated with people with spastic dysarthria. The utterances are composed of words and sentences by talkers with spastic dysarthria. speech intelligibly score has been calculated by listeners’ typing words or sentences if they ar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sentences and words utterances is significantly high in the familiar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e wider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as been found in the sentence utterances. The initial and final of speech intelligibility are also significantly high in the familiar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e wider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as been found in the word utterances. In this study, Error patterns were categorized as substitutions, omissions, additions. in the familiar and unfamiliar group, substitutions was the most common pattern for the words utterances of spastic dysarthria talkers. In the sentences for the utterances of spastic dysarthria talkers, omission was the most common pattern in familiar group and unfamiliar group. In the words utterances of spastic dysarthria talkers, phonemes /s, z/ have high occurrences of initial consonant substitutions. In the sentences utterances of spastic dysarthria talkers, phonemes /k, t, p, s, z/ high occurrences of initial consonant omis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hould consider error patterns by the words and sentences utterances of spastic dysarthria talkers. Especillay /s, z, k, t, p/ phonemes were practiced by word and sentences for spastic dysarthria talkers.;마비말장애(dysarthria)인들은 장애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구어 산출 기저와 관련된 요소들에 관한 신체적 능력이 부족하여 말명료도가 낮은 경향이 있다. 말명료도는 다양한 정의가 있는데 Flanagan(1972)는 청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분명한 말 단위수를 측정하는 것이라 하였고 Yorkson, Beukeleman, Strand & Bell(1999)는 화자가 청자에게 하는 메시지 전달 능력에 관한 구어수행기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도구라고 하였다.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가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명료도와 관련된 변인으로 마비말장애 화자의 자음정확도, 발화의 종류,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속도, 목표 단어의 조음복잡성, 청자의 작업 기억력 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말명료도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변인 중 청자의 친숙함도 말명료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 중에 하나로 뽑히고 있다. 이지윤․이옥분(2012)은 연구에서는 인공와우를 이식한 청각 장애 아동들의 말명료도를 부모와 일반인 집단 간에 비교한 결과 말명료도는 친숙도가 높은 부모 집단이 일반 청자 집단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청자의 친숙도가 마비말장애 화자의 발화의 종류에 따른 말명료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은 밝혀졌으나 마비말장애의 유형별에 따른 친숙한 청자 집단과 비친숙 집단 간의 마비말장애 화자들의 발화 종류에 따른 조음오류 유형이나 오류 음소들의 차이 등의 구체적인 비교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비말장애 유형 중 가장 출현 빈도가 높은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와 문장 발화를 친숙한 청자 집단과 비친숙 청자 집단에게 제시하고 청자 집단 간의 말명료도, 자음 오류 유형과 오류음소의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며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명료도 향상을 위한 임상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 3명의 단어와 문장 발화를 2개의 청자 집단에게 들려주었다. 2개의 청자 집단은 마비말장애 발화를 들은 경험이 있는 교육경력 7년 이상의 지체장애 특수교사와 구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마비말장애 자녀를 둔 장애인 부모가 속한 친숙 청자 집단과 마비말장애 발화를 들은 경험이 없는 일반인이 속한 비친숙 집단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명료도를 청자 집단에게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와 문장 발화를 들려주고 화자가 말했다고 생각되는 단어와 문장을 전사하게 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와 문장 발화의 청자 집단 간의 말명료도의 차이를 알기 위해서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청자 집단이 지각한 자음 오류 유형의 차이는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집단 간의 오류 음소의 양상 차이는 Confusion Matrix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자 집단 간에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 및 문장에서의 단어 및 문장명료도, 초성과 종성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 간의 주효과(F(1, 58) = 102.47, p< .001), 단어 및 문장명료도의 주효과(F(1, 58) = 11.70, p< .001), 초성 및 종성명료도의 주효과(F(2, 116) = 613.09, p< .001)가 유의하였다. 단어 및 문장명료도의 집단 간의 상호작용(F(1, 58) = 39.7, p< .001), 초성 및 종성명료도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2, 116) = 3.62, p< .05), 단어 및 문장명료도와 초성 및 종성명료도의 상호작용(F(2, 116) = 431.45, p< .001)이 유의하였다. 단어 및 문장명료도, 초성 및 종성명료도, 집단 간의 삼차 상호작용(F(2, 116) = 6.51 p< .05)도 유의하였다. 둘째,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 및 문장에서 청자 집단이 지각한 자음 오류 유형의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에서는 집단 간의 주효과(F(1, 58) = 325.60 p< .001)와 오류 유형의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 116) = 247.91, p< .001). Bonferroni 사후 검정 결과 대치, 생략, 첨가 간 모든 오류 유형의 발생 비율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05). 경직형 마비말장애 문장에서는 집단의 주효과(F(1, 58) = 256.80, p< .001), 오류 유형의 주효과(F(2, 116) = 1832.17, p< .001), 집단과 오류유형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 116) = 383.37, p< .001). 셋째,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단어와 문장 발화 내에서의 각 음소들의 정확률과 오류 음소 유형의 청자 집단 간의 차이를 Confusion Matrix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친숙 집단에서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는 /ㄸ/ 음소의 정확률이 제일 높았으며 /ㅅ, ㅆ, ㅉ, ㅊ/ 음소에서 낮은 정확률과 많은 대치 음소를 보였다. 생략오류가 가장 많은 음소는 /ㅆ, ㅉ/음소였다. 비친숙 집단에서도 /ㄸ/ 음소의 정확률이 제일 높았으며 /ㅅ, ㅆ, ㅉ, ㅊ/ 음소에서 정확률이 낮고 많은 대치 음소를 보였다. 비친숙 집단도 생략 오류가 많은 음소는 /ㅆ, ㅉ/ 음소였다. 경직형 마비말장애 문장 발화 시 친숙 집단에서는 /ㅃ, ㅊ, ㅋ, ㅌ, ㅍ/ 음소에서 자음정확도가 낮았고 생략이 많은 음소는 /ㅃ, ㅊ, ㅋ, ㅌ/ 음소였다. 비친숙 집단에서는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들의 문장 발화에서 자음정확도가 낮은 음소는 /ㅃ, ㅅ, ㅆ, ㅊ, ㅋ, ㅌ, ㅍ/ 음소들이었으며 생략이 많은 음소는 /ㅃ, ㅆ, ㅊ, ㅋ, ㅌ/ 음소들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청자 집단 간의 말명료도는 친숙 집단과 비친숙 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청자들이 지각하는 자음오류 유형은 두 집단 모두에서 단어 발화 시 대치 오류, 문장 발화 시 생략 오류가 가장 많았다. 각 목표 음소 별 오류 음소 유형은 경직형 마비말장애 단어에서는 두 청자 집단 모두에서 /ㅆ, ㅉ/ 음소가 대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장에서는 두 집단이 모두 생략이 많은 음소로 /ㅃ, ㅊ, ㅋ, ㅌ/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숙한 청자 집단의 경우 단어 발화에서 낮은 정확도를 보인 /ㅆ, ㅉ/ 음이 문장 발화에서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비친숙 집단에서는 /ㅆ, ㅉ/음소가 문장 발화에서도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생략이 많은 음소인 /ㅃ, ㅊ, ㅋ, ㅌ/ 음소들 대부분이 단어 발화에서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말미암아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ㅃ, ㅊ, ㅋ, ㅌ/ 음소 훈련은 단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학적 맥락을 이용하는 것이 말명료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