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김태림-
dc.creator김태림-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2:4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2:4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3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32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9201-
dc.description.abstract학령기 아동의 텍스트 이해는 의사소통과 학습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텍스트 내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은 정보를 추론하는 복잡한 과정이 요구된다. 초등 고학년은 텍스트의 정보 이해와 새로운 정보를 산출하는 이해 과정을 보이게 되며(Snow, 2010), 많은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경우 텍스트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고 한다. 특히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언어 능력 기준에 따라 나누었을 때, 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수준에서 정상 발달의 언어 수준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는 언어 능력에 손상이 있는 고기능 자폐(Autism Language Normal; ALI)(Tager-Flusberg & Joseph, 2003)의 경우, 읽기 이해에 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만약,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일지라도 언어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텍스트 추론능력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간주된다면 ALI 아동의 텍스트 추론이해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도 텍스트 추론 이해에서 어려움을 나타낸다는 선행 연구들도 많이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언어 결함이 있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을 추론 유형에 따라 살펴보고 오류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집단의 텍스트 추론 이해 중재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추론 이해과제를 통해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이해력을 질문 유형별로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한 후, 추론 오류 유형을 분석하여 추론 실패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집단 별로 전체 텍스트 추론 이해력과 각 추론 하위 유형, 어휘력, 문법 능력, 화용언어 중 상위언어인식 능력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언어 결함이 있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13명, 단순언어장애 아동 13명, 일반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집단 간 텍스트의 사실적 정보 이해와 추론 이해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텍스트를 제공한 후, 묵독하도록 하였으며 텍스트가 제시된 상태에서 추론 과제를 구어로 질문한 뒤에 대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집단 간 사실적 정보 이해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추론유형에 따른 추론 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추론 이해 오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오반응을 보인 문항은 추론 오류유형(무응답, 모른다/이해실패/틀린 추론/미숙한 추론/표현 언어 부족)에 따라 나누어 각 추론 오류유형에서 오류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세 집단의 텍스트 추론 이해와 어휘력, 문법 능력, 상위언어능력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실적 정보 이해력에서 세 집단 모두 추론 이해력에 비해 높은 수행력을 나타냈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도 나타냈다. 이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집단이 두 집단에 비해 사실적 정보 이해에서 현저한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추론 이해력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 단순언어장애 아동,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순으로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추론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세 집단에서는 모두 감정, 의도를 추론하는 평가적 추론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추론 이해뿐만 아니라 사실적 정보 이해에서도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낮은 텍스트 이해 능력은 추론 능력의 결함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사실적 정보 이해에서의 어려움도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 집단 간 추론 오류 빈도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단순언어장애 아동, 일반 아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언어 결함이 있을지라도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집단의 추론 오류의 하위 유형들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집단의 경우, 틀린 추론, 미숙한 추론, 이해 실패, 무응답/모른다, 표현 언어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추론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 자체가 없는 것이 아니라 맥락에 맞게 추론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일반 아동과는 다른 인지적인 특성으로 인해 정보가 부차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다(Teunisse et al., 2001). 다섯째, 각 집단 간 추론 이해력과 언어능력과의 상관관계에서 일반 아동은 추론 이해력과 어휘력, 문법 능력, 화용언어 중 상위언어인식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추론 이해력과 어휘력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만 나타냈다.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추론 이해력과 상위언어인식 능력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특히 어휘력에 약점을 보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요인과 결합하여 추론 이해의 어려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추론은 언급된 내용 이상을 생각하게 하여 화용 이해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낮은 상위 언어 인식 능력은 텍스트 추론 과제에서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텍스트 추론 이해 과제를 통해 국내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텍스트 추론 이해력을 분석한 연구이며, 언어 결함을 동반한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의 텍스트 추론 이해에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 집단의 텍스트 추론 이해력과 오류 유형, 상관관계 통해 실제 임상에서 평가 및 중재의 적절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Text understanding of school age children might be an essential element for communication and learning, requiring a complicated process to infer information that is not specified in the text. In many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and communication disorders, they show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ext; in the case of the children with Autism Language Impairment (ALI), they may have mor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text. If it could be deemed for u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text inference ability of the children, without their linguistic ability considered, although they have high-functioning autism, access to the text inference understanding of ALI children may not be available. In addition, there are many precedent studies that have reported that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would show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ext infere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bility, which the children with high-fuctioning autism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may express, by question type through the task for text inference understanding;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alyze the inference error types to find out the cause of inference failure. Furthermore, we were trying to view what kind of correlation might appear between the total text inference comprehensions, each inference subtypes, vocabulary, grammar ability, and the metalinguistic awareness of pragmatic language. This study was conducted, aimed at 13 children with ALI and SLI, respectively, and 13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were the upp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and inference comprehension on the text between groups, after providing the text, they were asked to read it silently and then, to answer the question after the inference task was ask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ext was presented. So 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among the three groups,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c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inference types, Two-way ANOVA was performed. Moreo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rror type in inference understanding between groups, the items to which they showed the error respons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erence error (no response/failure of literal comprehension/wrong inference/immature inference/lack of expressive language), and the error rate was calculated on each type of inference error. In addi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xt inference comprehension, each inference subtype, vocabulary, grammar ability,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for the 3 groups,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all three groups showed a higher performance capability than that of inference comprehension, also represen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this, the ALI group showed higher difficulty than the other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inference comprehension, which represented a high accuracy in the order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LI children, and ALI children.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the inference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l three groups represented the lower performance capability in evaluative inference to infer emotions and intentions. Third, the frequency of inference errors among the three groups appeared higher in the order of ALI children, SLI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though they might have language impairment, the subtypes of inferential errors in the SLI and ALI children groups appeared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ALI group, they manifested wrong inference, immature inference, failure of literal comprehension, no response/not knowing, and lack of expressive language, in order. Fourth,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ference comprehension and linguistic ability on each group,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ference comprehensions, vocabulary, grammar ability, and the metalinguistic awareness ability of pragmatic language; the SLI children represente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inference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The ALI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the inference comprehension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text inference comprehension for domestic school-aged ALI and SLI children through text inference understanding task. The ALI children showed low performance in the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as well as the inference understanding; it was found that the low text understanding ability of ALI children might be attributed to not only the defects of inference ability but also the difficulties in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which is explicitly presented. In addition, both the ALI and SLI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difficulty in evaluative inference, whereas they represented different aspects for text inference comprehension, error types, and correlations, respectively. Hence, in order to improve the text inference comprehension, thes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ctual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1.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5 2. 단순언어장애 아동 5 3. 텍스트 추론 이해 능력 6 Ⅱ. 이론적 배경 8 A. 텍스트 이해와 추론 8 1. 텍스트 이해 과정 8 2. 텍스트 이해를 위한 추론 8 B.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텍스트 추론 이해 능력 10 C.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텍스트 추론 이해 능력 11 Ⅲ. 연구 방법 14 A. 연구 대상 14 1.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14 2. 단순언어장애 아동 15 3. 일반 아동 15 B. 연구 도구 17 1. 기초 검사 도구 17 2. 본 연구 과제 20 C. 연구 절차 22 D. 자료 분석 24 1. 이해과제 수행점수에 따른 분석 24 2. 추론 오류유형의 분석 24 E. 예비 실험 25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26 G. 신뢰도 26 Ⅳ. 연구 결과 28 A. 집단 간 텍스트 추론 이해 능력 차이 28 1. 집단 간 텍스트 내 사실적 정보이해 능력에서 차이 분석 28 2. 세 집단과 추론 유형에 따른 추론 능력 29 B. 세 집단과 추론 유형에 따른 추론 오류 33 C. 읽기 추론 이해력과 수용 어휘력, 문법 능력, 화용언어(상위언어인식능력) 간 상관관계 34 1. 일반 아동집단의 추론 이해 능력과 언어 능력 간 상관관계 35 2.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추론 이해 능력과 언어 능력 간 상관관계 36 3.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집단의 추론 이해 능력과 언어 능력 간 상관관계 38 Ⅴ. 결론 및 논의 40 A. 결론 및 논의 40 1. 세 집단의 텍스트 추론 이해 능력 비교 40 2. 세 집단의 텍스트 추론 이해 오류 유형 비교 43 3. 텍스트 추론 능력과 언어 능력과의 상관관계 4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8 부록1. 텍스트 지문 및 채점 기준 55 부록2. 집단 간 추론유형에 따른 추론이해능력 공분산분석 결과(사실적 정보 이해를 공변량으로 통제) 67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63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텍스트 추론 이해 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ctioning Autism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on the Text Inference Comprehension-
dc.creator.othernameKim, Tae-Lim-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