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소셜미디어에서 이견(異見)관련 경험이 의견극단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소셜미디어에서 이견(異見)관련 경험이 의견극단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ross-cutting related Experiences on Opinion Polarization in Social Media. : Focusing on ‘Dissonant Opinion Avoidance’, ‘Critical Thinking of Dissonant Opinion’ and ‘Dissonant Opinion Discussion’
Authors
윤지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지향
Abstract
본 연구는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이견 노출이 의견극단화로 이어지는지 좀 더 명확한 탐색을 위해 이견 접촉과 의견극단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견 접촉의 정의를 기존 문헌과 달리하여 ‘이견 회피’, ‘이견의 비판적 이해’, ‘이견 교류’로 세분화해 살펴보았으며 이견에 대한 상이한 경험이 ‘의견 공고화’와 ‘의견 절충’이라는 인지적 학습과정을 통해 의견극단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탐색했다. 연구자는 소셜미디어 사용을 ‘정보적 사용’, ‘오락적 사용’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의견극단화는 현재 대한민국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현안이자 국민들 사이에서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는 ‘종전선언’, ‘보유세 인상’과 관련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셜미디어를 많이 사용(오락적 사용, 정보적 사용)할수록 이견에 접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순이견접촉은 의견극단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이견을 지닌 이들과 활발하게 교류할수록 의견극단화 정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견을 회피할 경우 의견의 공고화 과정을 거쳐 의견이 극단화 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견의 비판적 이해와 이견 교류를 경험한 사용자는 의견 절충 과정을 겪기는 했지만, 이 같은 절충 과정이 의견극단화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단순이견접촉이 아닌 이견을 대하는 이용자의 상이한 경험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은 상이할 것이며 그에 따라 의견극단화 정도도 다를 것임을 보여준다. 이견 접촉의 유형을 좀 더 정교하게 알아보고 이견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이견 관련 경험이 의견극단화에 미치는 차별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온라인 환경이 당면하고 있는 큰 문제 중 하나인 양극화 및 의견극단화의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intend to investigate which mechanism leads to extreme opinion through cross-cutting exposure by focusing on cross-cutting exposure and opinion polarization. In contrast with previous literature, cross-cutting exposure is defined as ‘dissonant opinion avoidance’, ‘critical thinking of dissonant opinion’, and ‘dissonant opinion discussion’. Cross cutting content encounter engender polarization of opinions through a cognitive learning process, which are ‘opinion consolidation’ and ‘opinion modification’. The study measured the use of social media by two different motivations: ‘information use’ and ‘entertainment use’, while the opinion polarization was measur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two major issues in South Korea: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and ‘increase in holding tax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greater use in social media (informational use and entertainment use) is positively related to cross-cutting exposure. In addition, cross-cutting encounter was not related to opinion polarization, yet the interaction between dissonant opinion has diminish the polarized opinion. Further, dissonant opinion avoidance showed a remarkable result in opinion polarization through the opinion consolidation process. Although the critical thinking and interaction of dissonant opinion among the experience users have undergo the opinion modification process, opinion modification did not lead to opinion polariz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cess of cognitive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s social media experiences, and subsequently lead to the different in the degree of polarized opinion. Demonstrate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cross-cutting encounter and empirically valid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discrepancy-related experiences on opinion polarization, depending on how discrepancy-related information is handled. Finally, current study is releva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foundation for solving the polarization probl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