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7 Download: 0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초등 사회과 이해중심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Title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초등 사회과 이해중심교육과정 설계 및 실행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gram Designed by Understanding by Design through Integr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Authors
선신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의 변화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 내용으로써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을 도입하고,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과 같은 심층적 이해를 강조한다. 교육과정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수업과 함께 평가도 변화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새로운 평가의 방향으로서 ‘핵심역량 중심의 수행기반의 평가’와 ‘피드백을 강조한 학습을 위한 평가’의 특징을 지닌 과정중심평가를 강조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교육 현장의 교사들은 기존의 평가의 대안으로 제시된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과정중심평가 설계모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교육과정 설계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였다. 설계한 교육과정을 실행 및 평가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향후 과정중심평가 실행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탐구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교육과정은 어떻게 설계하는가? 2.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교육과정 실행 과정은 어떠한가? 3.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교육과정의 결과는 어떠한가? 3-1. 과정중심평가 실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3-2. 사회과에 대한 학습 흥미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3-3. 수업의 과정에서 학업성취도 변화는 어떠한가? 이해중심교육과정 설계모형의 적용은 ‘핵심역량 중심의 수행기반의 평가’실행을 보장한다. 이에 더해 ‘피드백을 강조한 학습을 위한 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하였다. 통합된 설계모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일반화된 지식을 참고하여 기대하는 학습목표를 추출하였다. 학습 목표는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진술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이해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수행과제와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2단계의 평가 계획에서 피드백 활동이 함께 계획된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의 WHERETO 요소와 함께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고려하여 수업을 조직하고 2단계에서 계획했던 피드백 활동을 포함하였다. 설계된 총 14차시의 수업을 실행하고, 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등을 확인하여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14차시의 수업은 2개의 수행과제로 구성되었다. 평가 과정에서는 설계 및 실행된 과정중심평가 사회과 교육과정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와 사회과 흥미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결과를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실행된 교육과정을 통해 이해에 도달했는가를 확인하고자 학업성취도 변화를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생 인터뷰, 학습 일지, 교사 일지를 활용하였다. 과정중심평가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중심평가의 실행 방안으로써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교육과정 설계모형을 제안할 수 있다. 둘째, 과정중심평가 실행에 있어서 학생들의 정의적, 인지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별적인 피드백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동료 평가를 통한 개별 지도 시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동시에 교사의 지속적인 지도 및 피드백 활동의 안내 및 점검이 필요하다. 넷째, 동료 평가를 통해 사회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성취수준이 다른 학생들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중심평가 실행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중심평가 실행을 위하여 교사들은 다양한 피드백 활동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과정중심평가는 교사의 실행을 통해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며 교실 평가의 실제로서 정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에게는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설계과정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혹은 교사가 실행하던 기존의 평가 활동에 피드백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해 볼 수도 있다. 둘째, 과정중심평가 전략을 통합한 이해중심교육과정을 설계 및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기능’영역이 하위 기능의 세부화와 그 의미가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기능’은 이해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육과정이 ‘지식’ 위주의 내용으로 서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정 시에 각 교과목의 핵심이 되는 기능을 정리하여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과 이외의 타 과목의 과정중심평가를 설계 및 실행하여 각 과목의 특성으로 인해 을 수 있는 어려움과 개선 방안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과정중심평가 실행에 정의적, 인지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한된 과목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에 거쳐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하고 학생들의 변화 과정과 그 효과를 확인해볼 수 있다. 넷째,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을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의 참여도 및 반응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새로운 평가 활동에 적응할 시간적 여유와 지속적인 평가 활동에의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As society changes, so is the need for educational chang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ims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d human resources. The curriculum introduces core competencies and academic competencies as learning contents to realize goals and emphasizes in-depth understanding such as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In order for the curriculum to change, the assessment must change along with the clas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lighting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as a new direction for assessmen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features ‘performance assessment on core competencies’ and ‘assessment for learning with emphasis on feedback’. As a result of preliminary research analysis, teachers at educational sit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ctual practice, although they were sympathetic to the need for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assessment. Thus, it is requir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model should be design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sign model for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by integrating Understanding by Design(Ubd) model with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and applied it to the third-grade social studies curriculum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process and results of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designed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research questions to explore are as follows. 1. How should Understanding by Design integrated with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be designed? 2. How should Understanding by Design integrated with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be implemented? 3. What is the result of Understanding by Design integrated with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3-1. How does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change? 3-2. How does the students' learning interest in social studies change? 3-3. How does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change in the course of the class? The application of the Understanding by Design model ensures ‘performance assessment on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were integrated to implement 'assessment for learning with emphasis on feedback'. The process of designing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learning objectives were extracted by referenc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generalized knowled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objectives were easily stated so that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Next, performance tasks and assessment rubric were developed to enable students to verify evidence of understanding. Feedback activities are planned during the step 2. In the step 3, the class was organized considering the WHERETO elements of the Understanding by Design a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and includes the feedback activities that were planned in the step 2. 14 designed classes were delivered, an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were identified to improve the program. The 14 classes consisted of two performance tasks. In the evaluation process,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paired t-test using the Assessment for Learning scales and students’ interest measures on social studies to assess the outcomes of the classes.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through the paired t-test to ensure that students reached understanding through the classes. Student interviews, learning journals, and teacher journals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by Design integrated with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can be proposed as a means of implementing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eco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implementation requires identification of the students' affective and cognitive difficulties and provision of the individual feedback. Third, students can be expected to have more individual feedback opportunities through peer feedback but, at the same time, teachers’ continuous guidance and inspection on feedback activities are required. Fourth, as peer feedback can improve soci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by identifying how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achievement can interact and grow with each other.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required to utilize various feedback activities to implemen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because it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trial and error process of teachers. For teachers, using Understanding by Design integrated with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model can be one method, or feedback activities can be added to the existing assessment activities that the teacher has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design and implemen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skills’area of the national curriculum needs to be specified in detail. Although ‘skills’ was an important factor to reach understanding, it is confirmed tha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still described focusing on 'knowledge'. Therefore, the core skills of each subject should be presented in the next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other subject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effectiveness that each subject may have. Since stu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assessmen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an affective and cognitive manner,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can be carried out through a variety of subjects at the same time to check the change and effects. Fourth, the research on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response for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is also required.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need time to adjust to new assessment activities and to participate in continuous assessment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