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0 Download: 0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학습 흥미도,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Title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학습 흥미도,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on Interest of Learning Social Studies,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tatus of Classroom
Authors
이정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최근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통합교육을 위한 행정적, 법적 지원이 강화되며 통합교육은 양적, 질적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은 여전히 어렵고, 교육과정 통합의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국내 교육현장에 실질적인 통합교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근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국제 교육 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인지적 성취에 비해 정의적 성취도가 취약하며, 학업성취도가 최하위인 학생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적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는 모든 개별학습자에게 동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원칙으로, 개인의 요구에 유연하고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여 학업성취 뿐 아니라 학습 흥미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교과목을 살펴보면 국어·수학·과학·예체능 등 다양한 교과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사회과의 경우 국내 초등학교에서 실시된 연구가 한 편도 없었다. 사회과 교육과정은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기초교과목으로, 보편적 학습설계를 통해 교수되었을 때 장애학생의 교육과정 및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학생들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흥미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의 사회과 통합수업 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학습 흥미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과 흥미도,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2개교의 3학년 6학급의 학생들이다. 실험집단 3개 학급 76명, 통제집단 3개 학급 72명으로 총 148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여기에는 6명의 장애학생과 7명의 학습부진 학생이 포함되었다. 연구자와 함께 실험집단 통합학급 교사 2명이 협력교사로서 함께 중재를 진행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 중재 전과 후에 사회학습 흥미도 검사,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회적 지위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 종속변인의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사전 사회학습 흥미도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의 교정된 사후 사회학습 흥미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했고, 학습부진 학생의 사회학습 흥미도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학급 내 사회적 지위는 사회성 측정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사회학습 흥미도의 전체 영역 및 정서적 동기, 의사소통, 학습활동 하위영역에서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실험집단 1명과 통제집단 1명의 총점이 향상되었고, 나머지 5명의 점수는 낮아졌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전체 영역 및 학습활동, 조력활동, 일상활동을 포함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보편적 학습설계 중재 실시여부와 상관없이 대체로 장애학생 수용태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특히 조력활동 하위영역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인기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배척아동의 수가 감소했으며, 장애학생의 경우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장애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대체로 K-LDES 학습지수가 낮은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편적 학습설계가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학습 흥미도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회적 지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단,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집중적이고 강화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사회과에 적용하는 구체적 실행방법을 제시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을 시도하였다는 것과 특히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소그룹, 개별 지원의 필요성을 실험결과를 통해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로 중재 확장을 통한 연구의 일반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 검증,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등이 언급되었다.;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have recently been integrated into regular class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 administrative and legal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is strengthened, and the inclusive education show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However, because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till difficult and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ar inclusion is low, It is necessary to have an approach to enable practical inclusive education in domestic education field. In addition, according to international education indicators, Korean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chieve low affective achievement than cognitive achievement. Also, the number of students with the lowest academic achievement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countermeasure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 system in which provides all individual learners the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This principle of curriculum is so flexible and personalized to individual needs, that it provides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creased interest in learning and awareness of inclusive education. When we look at the subjects in which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is applied, variety of subjects such as Korean, mathematics, science, and art. However, when it comes to social studies, there was no study which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elementary field. The social study department is a basic curriculum designed to provide the qualifications of democratic citizens, enabling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creasing the interest rate of students with regard to the diversity of all students.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impact of social studies classes applying universal learning design on the interest of social studies levels, acceptance leve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tatus of the classroo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 classroom students from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76 students in 3 classes and 72 students in 3 control groups, which included 6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7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ith researcher, two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as a implementor of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test of interest in learning of social studies,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tatus of classroom was carried out respectively.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pre-test using SPSS win 24.0 program.When it comes to the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because the case is small. To see the difference of the social status of classroom, The researcher used Sociometry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clusive clas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more likely achieve high level of interest in learning of social studies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s sub areas. the score of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the overall score of one experiment group and one control group is improved, and the score of the other five was getting low. Second, in the inclusive classroom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more likely achieve high level of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ll sub areas including academic, daily routine, and assistance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the overall score of all students were getting low regardless of the intervention, especially the assistance sub area. Third, when it comes to a group of experiments that participated in social studies classes that applied universal learning design, the number of popularstudents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excluded children has decreased. Not only that, the social status of classroo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improved compared to controlled groups who have not applied universal learning design to their classes.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who had a low level of K-LDES generally have lost their social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ffects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est of learning social studies,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ocial status of classroom. However,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the implication is that concentrated and strengthened support is needed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o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to derive the need of group and individual support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As a follow-up study according to the limit of this study, generalization of research through extension of intervention,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operative teaching among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