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Multilevel Analysis of Student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Career 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Authors
이선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진로발달 과정에서 청년후기에 해당되는 대학생 시기는 사회에 진출하기 전 자신의 진로를 구체화하는 단계이며, 이 시기에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대학생 시기에 진로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이전 단계인 청소년기부터 자신의 진로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탐색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중·고등학교시절‘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우선으로 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자신의 진로에 대해 충분히 탐색하거나 고민할 기회를 갖기 어렵다. 이와 같은 현상과 관련하여, 대학생의 진로탐색과 결정을 돕기 위해 그들의 발달수준과 필요에 맞게 진로지원 서비스를 구성하여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대한 연구가 학생 개인의 특성 뿐 만 아니라, 동시에 대학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요인과 대학 특성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학생 특성 변인과 대학 특성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수준의 변인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학생 특성 변인 8가지와 대학 특성 변인 5가지를 토대로 다층분석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변인 및 대학 특성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층분석 연구모형의 가정에 따라 20개 대학에 속한 대학생 800명을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최종적으로 20개 대학의 716명의 자료를 SPSS 25.0 과 HLM 7.0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 통계 분석 및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변인과 대학 특성 변인을 확인하였으며, 학생 특성 변인과 대학 특성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1,‘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학생 수준 및 대학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전체 분산 중 13.3%가 대학 간 차이로 설명되며, 87.7%가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학생 수준과 대학 수준에서 모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대학 수준 보다는 학생 수준으로 인한 진로결정수준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2,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학생 특성 변인의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특성 변인 중에서는 학점, 전공계열, 전공선택 여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부모와의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특성 변인의 고정효과와 무선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고정효과와 무선효과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변인은 학점, 전공계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특성 변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문제3,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대학 특성 변인의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특성 변인 중에서는 대학 서열, 대학의 정보 중심 지원, 대학의 프로그램 중심 지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특성 변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학 서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문제4,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서 학생 특성 변인과 대학 특성 변인의 상화작용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학점과 대학 서열의 상호작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진로지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효용성 및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과 대학 수준의 진로지원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변인과 대학 특성 변인을 포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대학의 지원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career development process, university period applies to post-adolescence and it is the period where the students have detailed career plan before entering into the society.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decide career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To have a detailed career plan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thorough consideration and exploration on career should take place in the adolescence period. However, due to the social atmosphere of prioritizing ‘university entrance’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t is hard for Korean students to have enough opportunity to explore and think about career. According to research by the University Advisement Center, it is reported that most of the university students visit the center for career counseling. Furthermore, ‘Sophomore Syndrome’ is a recently coined word which reflects the social atmosphere on university student’s difficulty of career decision. In regard to such phenomenon, some people suggest that career support service should be arranged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development level to help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Also, career decision made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can be influenced by the personal internal factors and factors from new environment of ‘university’. Such discussion indicates that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hould consider about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Based on such need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udent characteristic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 which influen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by using multi-level model analysis. This study involved following processes. First, in regard to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this study set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rived variable for each level. Secondly, this study set multi-level analysis model based on 8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5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s. Third, to identify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influencing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this study sampled and conducted a survey on 800 students in 20 universities based on the hypothesis of multi-level analysis model. Fourth, this study conducted basic statistics analysis and multi-level analysis on 716 students from 20 universities by using SPSS 22.0 and HLM 7.03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influencing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identifi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ummary of main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basic model analysis result showed that 13.3 % of career decision was related to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and 86.7% of career decision was related to difference between stud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had difference in both student level and university level and that the student level had higher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than the university level. Secondly, in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 1, among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GPA, major field, major sele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parent attach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 in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 2, among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university rank, university’s emotional career support, and university’s counseling/program career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Fourth, in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 3,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toward career decision and emotional career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PA toward career decision and university rank were significant i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Lastly, this study provide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usefulness of this study and for helping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for career support direction in the university level. This study comprehensively verified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which influences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lso, this study result will be useful for the university’s support on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