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5 Download: 0

성인들의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 해석

Title
성인들의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 해석
Other Titles
Deleuze's Philosophical Logic and and Interpretation of Adults' Learning in the 'Colleges' Out-of-University : Through Two Concepts of 'Nomade' and 'Agencement'
Authors
최근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uniqueness of the lifelong education phenomenon as an adults’ alternative learning activity, 'out - of - university' through Deleuze's philosophy. The research focuses on adult intellectual activities taking place in non-institutional learning spaces, explains why 'out-of-school' colleges are create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ctivities here, and how they differ from institutional college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school education. The dichotomous thinking that distinguish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and the educational - learning mode in which the contents to be taught and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are determined, has been the basic mechanism that works in institutional education so far. Such a mechanism does not adequately expl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ho go beyond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the various learning styles that are not contained within the structure, and the learning activities they are aiming at. Therefore, the necessity of a new research paradigm and metho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heterogeneous adult lifelong education outside the structure and its differences was raised. In this sense, this study introduces the logic structure of Deleuze's philosophy based on the concept of ‘nomade’ and ‘agencement’ as a new interpretation frame of lifelong education phenomenon, called 'colleges’ outside the university. And along with a critical review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dult learning theory was re-examined by Deleuze’s cognitive theory. For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Deleuze’s philosophical logic and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data for the case of demonstrating the logical domain were conducted. The logic area that explains the adult education phenomenon is a literature study that introduces Deleuze's philosophy of ‘becoming’. The empirical data on the adult education phenomenon interpreted as Deleuze’s logic is presented as a qualitative study. Experiential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empirical case, supporting the logical domain is based on the observation record of participation in seven alternative ‘colleges’ out-of-university, it i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for 25 adult learners. During the interview, the literature and internet information on the learning activities outside the seven selected ‘colleges’ were also updated,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how to learn adult learn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detail. This study explores the logic of learning phenomena occurring in adult's self-created learning, in the alternative ‘college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traditional educational epistemology. Discussions were made in the form of interpreting the experience data of 7 empirical cases in Chapter 6. The experience data of 7 out-of-school colleg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inking", second, “learning”, and third, on the topic of "out-of-university" learning activities and 12 sub-topics. In Chapter 6, Deleuze’s philosophical logic was applied to the phenomenon of adult lifelong learning, “Out-of-university” learning activity, which integrated the analysis of qualitative experience data of Chapter 5 and developed the Deleuze’s interpretation. Adults' "out-of-univerisity" learning activities, "nomadic learning" is “agencement” of desire that accompanies a "thinking without images" and creates another possibility of “learning-led life”. Adults' "nomadic learning" is a "learning that is not dependent on the purpose", which shows that life does not determine the need and direction of learning, but different forms of learning lead to differentiated life. Adults who are living "learning-led lives", and other possibilities that they are making have appeared in the form of "out-of-univerisity"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learning. The existing grammar of learning for what is broken, and another form of learning and life relationship is found in re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niqueness of ‘college’ learning activities outside the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the deleuze’s logic was analyzed, and the structural consistency of empirical domains was confirmed. Deleuze logicical structure and core concepts of ‘nomade’ and ‘agencement’ were appropriate for interpreting the uniqueness of adult students and alternative learners who prefer alternative learning. Adult learners who have met with the seven ‘colleges’ out-of-university have been defined as learning ‘nomade’ that create self-learning ‘agencement’ and creat "never before" by resisting self-reproving reason and ways of life. Their learning were characteristic of a different learning as "learning not dependent on purpose", "learning without purpose and direction but valu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fficult to learn how to think deeply in institutional colleges through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data. Nomad’s learning wa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adult learning, which is defined and understood in institutional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epistemology. “Nomadic learning” was closely related to "deep and delicate thinking" and "thinking differently", that is, thinking. There was violence of thoughts forced by the senses in their learning, and the learning among them was also accompanied by constant emotional response through ‘agencement’. Third, alternative ‘colleges’ out-of-university are interpreted as a variety of desire that the adult learners who learn here are changed and ‘agencement’ is also constantly changing due to the ‘agencement’ of lifelong learning created by learning ‘nomade’. The union was a feature of the ‘agencement’ of free individuals who were looking for a different way of life away from the Oedipus complex and the capitalist relationship. Nomad's ‘agencement’ has a distinctiveness from the existing community, that is, it is not afraid of strangeness, mixing with heterogeneous beings, and is open to such mixed contingent learning. Adults’ learning ‘agencement’- “Nomadic learning” had become a never before ‘college-becoming’, that is a 'war-machine' creating new things through ‘war without sound of fir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adult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nother higher lifelong learning ecosystem has revealed the existential meaning of adult learners, who pursue altern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lifelong learning ‘agencement’. Secondly, by redefining adult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Deleuze’s cognitive ability theory, it suggested possibility of theorizing work different from existing adult learning theory. Adult learning is "learning/apprenticeship" by means of unconscious and uncertain mind / sense / emotional abilities, not learning led by conscious and clear reasoning ability as "education of senses". In adults’ “Nomadic learning”, there are “delicate thought” that reflects one’s own desires and other’s desires, “critical thinking” that resists learning that is involved in identity, and “paradoxical thought” that sees things differently. Learning without deep and reflective “thinking" is not the learning that adult learners want. “Nomadic learning” is a learning that is not bound to purpose, but there are values.An understanding of the new adult learning trends, “Nomadic learning”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lifelong education can help adult learning in a different way. ;본 연구는 성인들의 ‘대학 밖 대학’ 대안적 배움활동이라는 평생교육현상의 독특성을 들뢰즈의 사건생성 철학으로 해석한 연구이다. 연구는 ‘대학 밖 대학’이라는 비제도권 학습공간에서 일어나는 성인 지성활동을 주목하고, ‘대학 밖 대학’들은 왜 생성되며, 이곳에서의 배움활동은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학교교육의 형태로 관리되는 제도대학과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로 구분짓는 이분법적 사고와 가르쳐야 할 내용과 배움의 방향이 정해져 있는 교육-학습양태는 지금까지 제도교육에서 작동하는 기본 매커니즘이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대학이라는 구조 안팎을 넘나드는 성인학습자들과 구조 내에 포섭되지 않는 다양한 학습양태들, 그들이 지향하는 배움활동의 독특성을 잘 설명해 내지 못한다. 이에 구조 밖의 이질적 성인 평생교육현상과 그 차이들을 설명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과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대학 밖 대학’이라는 성인 평생교육현상을 새롭게 해석하는 틀로 ‘노마드’와 ‘배치’ 개념 중심으로 들뢰즈 사건생성 철학의 논리구조를 소개하였고, 전통 인식론의 비판적 고찰과 함께 들뢰즈가 제시하는 인식능력이론으로 성인의 학습을 재조명했다. 연구를 위해, 들뢰즈 철학논리에 대한 문헌연구와 논리영역을 실증하는 사례의 경험자료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성인 평생교육현상을 해석하는 논리영역은 들뢰즈의 생성철학을 소개하는 문헌연구로,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이라는 성인 평생교육현상에 대한 실증자료는 질적사례연구로 제시되었다. 실증사례의 경험맥락 해석은 대학 밖 또 다른 성인 평생학습생태의 독특성이 잘 드러난, 7개 ‘대학 밖 대학’들에 대한 참여관찰 기록과 이곳에서 배움활동을 하고 있는 25명의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자료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인터뷰를 진행하는 동안에도 선별한 7개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에 대한 문헌들과 인터넷 정보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였으며, 그곳에서 배우는 성인학습자와 그 공간의 특징을 면밀히 관찰하는 방식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전통적 교육 인식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성인학습자가 스스로 만들어가는 평생학습 ‘배치, 대안적 ‘대학’에서 일어나는 배움현상을 논리연역적으로 설명하는 구조로, 2장의 논리영역이 4장-5장의 실증사례의 경험맥락을 6장에서 해석하는 형식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다. 사태의 특성이 잘 드러난 7개 ‘대학 밖 대학’의 경험자료를 첫째, 대학과 “사유”, 둘째, 성인의 “학습”, 그리고 셋째,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이라는 상위 주제에 대해 각 4개, 총 12개 하위 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자료는 들릐즈의 논리구조 내, 성인 평생교육과 연결고리를 갖는 두 가지 핵심개념 ‘노마드’와 ‘배치’개념에 대한 실증자료로 활용되었다. 5장의 질적 경험자료 분석결과를 통합하여 들뢰즈적 해석을 전개하는 논의장(discussion area), 6장에서는 들뢰즈의 철학논리가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이라는 성인 평생교육현상에 어떻게 적용되어 성인의 학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밝히고, 성인들의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이 지닌 독특성을 ‘노마드’와 ‘배치’ 개념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성인들의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 “노마드적 학습(nomadic learning)”은 “이미지 없는 사유”를 동반하며, ‘학습이 이끄는 삶’이라는 또 다른 가능성을 창조하는 욕망의 “배치”이다. 성인들의 “노마드적 학습”은 “목적에 종속되지 않는 학습”으로 삶이 학습의 필요와 방향을 정하는 것이 아닌, 다른 형태의 학습이 삶을 다르게 유도하는 독특성을 보인다. “학습이 이끄는 삶”을 사는 성인들, 이들이 만들어가는 또 다른 가능성의 학습이 기존 학습과 차별된 ‘대학 밖 대학’ 배움활동의 형태로 출현하였다. 무엇을 위해서 학습한다는 기존 문법이 깨지고, 또 다른 형태의 학습과 삶의 관계양상이 현실에서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 논리구조, 사건생성철학의 ‘노마드’와 ‘배치’ 개념이 성인 평생교육현상에서 가지는 실천적 설명력을 논리연역적으로 드러내었으며, 이 두 개념은 성인의 ‘학습’과 ‘대학 밖 대학’ 대안적 배움활동이 갖는 독특성을 성인 평생교육현상 맥락에서 해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7개 ‘대학 밖 대학’들에서 만난 성인학습자들은 자신을 억압하는 사유와 삶의 방식에 저항하며, 학습 ‘배치’생성을 통해 “이전에 없던 것”을 창조하는 “학습노마드”로 정의되었으며, 이들의 평생학습 ‘배치’, “노마드적 학습”은 “목적에 종속되지 않는 학습”, “정해진 방향과 목적은 없지만 가치가 살아있는 학습”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학습노마드는 ‘학습이 이끄는 삶’을 살고 있었으며, 이때 학습은 삶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다. 둘째, 경험자료 해석 결과, 학습노마드의 배움은 전통 인식론의 제도교육에서 정의하고 이해되는 기존 성인학습이론과 차별되었다. 성인의 학습은 ‘깊고 섬세한 사고’, ‘다르게 생각하는 것’, 즉 “사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대안적 배움활동, 성인의 “노마드적 학습”에는 감각들이 강제한 “사유”의 폭력이 있었으며, 이 배움활동은 끊임없는 정서적 감응에 기초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 밖 대안적 ‘대학’들은 학습노마드가 생성한 ‘배치’로 학습을 매개로 또 다른 삶의 가능성과 조우하게 한다. 노마드들의 우연적 만남과 학습이 바로 들뢰즈 철학논리가 말하는 ‘배치’, ‘아장스망’이며, 노마드들이 만들어가는 어색하고 낯선, 우연적인 만남과 학습의 ‘배치’가 삶의 또 다른 가능성을 만들어 간다. 이러한 성인들의 학습‘배치’는 “학습코뮨(learning commune)”의 성격을 띤다. 학습코뮨은 차이생성의 반복을 거쳐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욕망의 다양체이다. 욕망은 어떤 행동이나 활동을 생산하는 힘으로, 사유가 시작되는 근원이다. 성인의 평생학습 ‘배치’, 학습코뮨의 “노마드적 학습”은 무엇인가를 하게 하는 사유의 힘, 바로 욕망의 생산이다. 자본주의적 관계 방식,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또 다른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유로운 개인들이 연합’이 ‘배치’의 특징이다. 노마드의 ‘배치’, 학습코뮨은 기존 공동체와 차별된 독특성을 지녔는데, 그것은 바로 낯선 것, 이질적인 존재들과 섞이는 사태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며, 이러한 혼성적, 우연적 배움에 열려있다는 것이다. 성인들의 ‘배치’생성, “노마드적 학습”의 존재론적 의미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것의 창조로 들뢰즈 생성철학이 제안하는 차이생성적 배움, 진정한 ‘대학되기’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성인 평생교육에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 다른 고등 평생학습생태 흐름으로 제도 밖 대안적 배움활동을 추구하는 성인학습자들과 그들이 만들어가는 평생학습 ‘배치’, ‘학습코뮨’의 존재적 의미를 드러내었다. 둘째, 들뢰즈의 사유/배움론의 관점에서 성인의 학습을 재정의함으로써 기존 성인학습이론과 차별된 이론화 작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성인의 “노마드적 학습”은 “감각들의 교육”으로 의식적이고 명료한 이성능력이 이끄는 학습이 아닌, 무의식적이고 불균등한 마음/ 감각/ 감성 능력들을 자극하는 기호에 의한 ‘배움’이다. “노마드적 학습”엔 자신의 욕망과 타인의 욕망을 돌아볼 줄 아는 ‘섬세한 사고’, 동일성에 포섭되는 학습에 저항하는 ‘비판적 사고’, 이전 것을 다르게 보는 ‘역설적 사고’가 있다. “노마드적 학습”은 ‘목적에 종속되지 않는 학습’으로, ‘목적은 없지만 가치가 살아있는 학습’이다. 이런 “학습이 이끄는 삶”에는 목적은 없지만 학습은 살아있고, 이 학습이 삶을 다르게 끌어간다. 이러한 새로운 성인 학습트랜드에 대한 이해는 평생교육이 어떻게 성인의 학습을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도울 수 있을지, 그 방향을 설정하는 데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