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초등학교 2 - 4학년 아동의 읽기 자동성 및 운율성과 읽기이해 관계

Title
초등학교 2 - 4학년 아동의 읽기 자동성 및 운율성과 읽기이해 관계
Other Titles
The role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in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2-4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읽기 유창성은 빠르고 정확하게 자연스러운 표현력을 가지고 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읽기 유창성은 정확성과 신속성 요소를 포함한 자동성 측면에서 정의되었으나 최근에는 운율성도 읽기 유창성의 중요한 요소로 포함시키고 있다. 운율성은 글을 읽는 동안 끊어 읽기, 휴지, 억양, 음량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자동성 측면의 읽기 유창성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된 것과 달리 읽기 유창성을 자동성, 운율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것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이 학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2 ~ 4학년 일반아동 76명(2학년 25명, 3학년 24명, 4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읽기 자동성, 읽기 운율성(구두점 주의, 부적절 휴지, 평서문 끝 음도변화, 의문문 끝 음도변화), 어휘, 읽기 이해 검사를 실시하고 읽기이해예측 변인으로 어휘, 읽기 자동성, 읽기 운율성을 포함시켰을 때 학년에 따라 읽기 자동성과 운율성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읽기 자동성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읽기 자동성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2, 3학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아 동질적 집합으로 묶였고, 4학년은 2, 3학년 보다 읽기 자동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여 다른 집합으로 나뉘었다. 읽기 운율성(구두점 주의, 부적절 휴지, 평서문 끝 음도변화, 의문문 끝 음도변화)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한 결과, 읽기 운율성에서는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읽기 이해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읽기 이해에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정 결과, 2학년에 비해 3학년이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고, 3학년에 비해 4학년이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읽기 이해, 읽기 자동성, 읽기 운율성, 어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2학년의 읽기 이해는 읽기 자동성, 어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부적절 휴지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3학년의 읽기 이해는 읽기 자동성, 어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4학년의 읽기 이해는 어휘, 읽기 자동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부적절 휴지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읽기 이해 예측 변인으로 읽기 자동성, 읽기 운율성, 어휘를 포함시켰을 때 학년에 따라 읽기 자동성과 운율성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2, 3학년의 읽기 이해 예측 변인은 같았고, 4학년은 2, 3학년과 차이를 보였다. 2학년에서 읽기 이해를 예측하는 변인은 읽기 자동성으로 읽기 이해를 41.9%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학년의 읽기 이해 예측 변인도 읽기 자동성으로 읽기 이해를 28.7%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에서는 어휘와 부적절 휴지가 읽기 이해를 41.0%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는 예측력이 25.5%로 읽기 이해를 예측하는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고, 부적절 휴지는 읽기 이해를 15.5% 추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자동성 및 운율성의 읽기 이해 예측력은 읽기 자동성 수행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읽기 자동성이 발달하고 있는 학년에서는 읽기 자동성 변인이 읽기 이해에 중요한 변인이고, 읽기 자동성이 숙달된 학년에서는 읽기 자동성보다 운율성이 읽기 이해에 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유창성 평가 시 유창성의 세 가지 요소인 정확성, 신속성, 운율성 중 정확성과 신속성에 해당하는 읽기 자동성에 대한 평가만 주로 이루어지고 읽기 운율성에 대한 평가는 미비한 실정에서, 운율성을 포함하여 학령기 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읽기 자동성이 발달하고 있는 단계에 해당하는 2, 3학년에서는 읽기 자동성이 읽기 이해를 예측하는 유일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읽기 자동성이 어느 정도 숙달된 4학년에서는 어휘와 읽기 운율성 요소인 부적절 휴지가 읽기 이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령기 아동의 읽기 유창성 평가 시 자동성 평가 뿐 아니라 운율성 평가도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학년에 따라 주의 깊게 봐야 할 읽기 유창성 요소가 다름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임상이나 교육현장에서 읽기 유창성 중재를 실시함에 있어 자동성에 대한 중재뿐 아니라 적절하게 휴지를 두며 의미단위로 끊어 읽는 운율성에 대한 중재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Reading fluency, the ability to read quickly, accurately and with proper expression, is strongly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Although reading fluency has been traditionally assessed by its two dimensions (speed and accuracy),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prosody is its another critical dimension. Prosody means the defining feature of reading with expression involving phrasing, pause, intonation, and others. Previous studies found that the effect of reading fluency on reading comprehens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participant’s school grade. However, few study examined how two different dimensions of reading fluency (automaticity and prosody) is associ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how the associations differ by participant’s school grade. This study conducted vocabulary test, and measure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reading fluency among 76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25 in the second grade, 24 in the third grade, and 27 in the fourth grade). Reading fluency was assessed by the two dimensions: reading automaticity and reading prosody(attention to punctuation, inappropriate pause, basic declarative sentences - F change, questions - F change). And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level of reading fluency and how it is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by participant’s school grade. Reading automaticity of the fourth gra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 participants.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reading automaticity is under developing among the second and third grade whereas it is already developed enough to focus on the meaning of text among the fourth grade participants. The variables which can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were vocabulary and inappropriate pauses among the fourth grade whereas it was reading automaticity among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 particip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ctive power of reading automaticity and prosody for reading comprehens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participant’s school grade.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both automatic and prosodic dimensions to measure the reading fluency of school-aged children and that reading fluency should be evaluated carefully considering that its impact on reading comprehension may be different by participant’s school gr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