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6 Download: 0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Prevent-Teach-Reinforce for Families) 프로그램이 중도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Prevent-Teach-Reinforce for Families) 프로그램이 중도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e family-centered Prevent-Teach-Reinforce Program on the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uthors
김영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장애를 가진 자녀의 가족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며, 자녀의 문제행동은 이러한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부모들은 자녀의 문제행동을 부모의 지시에 대한 저항이나 불복종의 표현으로 가정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사실 문제행동은 자녀가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을 학습하지 못하였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체계적인 중재를 통해 문제행동을 감소시켜야 하지만 현재 대다수의 부모들의 정보접근성이 제한되어 조기에 체계적인 중재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조기에 적절한 중재를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 문제행동은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그 동안 가족들은 자녀의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학교교육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성인기로의 전환을 앞두게 되면서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자녀의 문제행동을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가족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필요하다.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란 전문가와 가족의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해결하고, 당사자와 가족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중재접근방법이다. 전문가와 가족이 협력하여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은 자녀의 문제행동을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그러나 여러 선행연구에서 실제로 중재를 실행할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Prevent-Teach-Reinforce for Families, 이하 PTR-F) 모델이 고안되었다. 본 모델은 기능평가 체크리스트 및 중재 전략 가이드 등의 매뉴얼을 제시하여 중재 진행절차를 간소화하였고, 연구자가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족의 주도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모델의 효과를 입증하는 선행연구의 수가 매우 적고, 국내에서는 아직 실시된 적이 없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경도나 중등도의 자폐성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로의 전환을 앞둔 중도장애 청소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본 모델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장애 청소년 및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자녀의 감소된 문제행동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만 15~18세 장애 청소년 3명과 그 가족이다. 실험은 2017년 12월 말부터 2018년 3월 초까지 진행되었다. 모든 실험은 각 대상학생의 가정에서 실시되었고, 실험기간 동안 1주일에 2회씩 방문하였으며, 1회기 가정방문 시 평균 2시간이 소요되었다. 연구의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면담을 실시하여 대상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립한 후, 가족과 함께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목표를 수립하였다. 둘째, PTR-F 기능평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자녀의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환경적 조건과 문제행동의 기능과 목적을 확인하고 가설을 수립하였다. 셋째, 연구자의 안내를 받아 가족이 PTR-F 중재 전략 가이드를 살펴보고 자녀에게 적합한 행동지원계획을 수립하였다. 넷째, 중재 전략 실행을 위한 모든 준비를 마친 후, 가족이 직접 중재를 실시하였다. 가족이 중재를 실행하는 기간 동안 연구자는 연구 시작 전 가족과 협의한 6회기의 AAC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이 끝난 후 필요한 경우에 중재 전략 실행에 대한 코칭이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각 대상학생의 문제행동 변화를 살펴보았다. 모든 실험 기간 동안 각 대상학생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일과에서 8분간 문제행동을 촬영하였으며, 연구자는 10초 부분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동영상 자료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초선 기간에서 가족들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해왔던 문제행동 대처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가족들이 행동지원계획에 수록되어 있는 중재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유지 기간을 통해 중재 이후 자녀의 변화된 문제행동 정도가 유지되는지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대상학생들의 문제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대상학생 A와 B의 경우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한 P전략만으로 문제행동이 감소하여 대체행동을 교수하는 T전략을 실시하지 않았다. 대상학생 C의 경우 T전략을 함께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대상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대체행동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모든 대상학생들의 문제행동 변화 정도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중도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및 가족과 함께하는 예방-교수-강화 프로그램이 성인기로의 전환을 앞둔 청소년에게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기능평가 체크리스트와 중재 전략 가이드 사용을 통해 모든 진행과정에서 가족의 주도적인 참여가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통해 어머니가 보편적 양육실제 전략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어머니뿐만 아니라 모든 가족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성인기로의 전환을 앞둔 중도장애 청소년 및 가족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서비스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c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ir children and their challenging behavior adds difficulties. Parents tend to assume their child's challenging behavior as a protest or expression of disobedience to their parents ' instructions. But in fact, the challenging behavior occurs when a child does not know how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erefore, parents must reduce child’s challenging behavior through systematic intervention. But it is difficult to access systematic intervention early because of parents’limited information accessibility. Unless the child received appropriate intervention early, child’s challenging behavior could continue into adulthood. The family has depended on school education about child’s challenging behavior, but because of child’s transition, they feel a significant pressure and also, they want to receive specialized training for resolving child’s challenging behavior. To resolve this situa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aimed at enhancing the family's ability for child challenging behavior is needed.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is a research-based approach comprised of numerous evidence-based practices used to solve challenging behavior based o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experts and family. It aimed at improving the family’s quality of life. In the approach, A team comprised of experts and family assess a function of child’s challenging together.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team can develop and implement behavior support plan. Through this process, the family can learn a way of resolving child’s challenging behavior. However, several precedent studies presented practical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taking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functional assessment and behavior support plan. To solve this situation, a family-centered Prevent-Teach-Reinforce model is developed. This model simplifies the process of intervention by presenting manuals such as PTR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checklist and PTR-F intervention strategy guide and researcher take a facilitator role. Therefore, the family can lead the whole process. However, the number of precedent studies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is very small and has not yet been conducted in Korea. In addition,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primarily on infants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to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head of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heir familie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effects on students’reduced challenging behavior by providing PTR-F program to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ree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ged between 15 and 18 and their families living in Incheon, one of the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late December of 2017 to early March of 2018.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each family’s home. The researcher visited twice a week during all period and each visit took average two hours in duration.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an initial meeting was held to get information on the challenging behavior of the students. And then, creating a team for the program. All teams of participants consisted of the facilitator(researcher) and students’mother. Each team identified short-term and long-term goals for individual and operationally define the target behaviors by using a PTR Goal Setting Worksheet. Second, each team used the PTR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checklist to identify the challenging behavior and its relation to the context. Third, with facilitator’s guidance, each mother read the PTR-F intervention strategy guide and the team developed a behavior support plan of the individual. Fourth, after the behavior plan was developed, the facilitator provided training to the parents on the implementation steps. Upon completion of training, each mother began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plan in each target routine. During each family conducted strategies, the researcher conducted AAC classes to teach students which discussed with their mothers prior to the start of this study. After each class, researcher provided coaching or feedback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strategy, if it was necessary.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s’behavior across experimental conditions, this study employ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During all of the experiments, each mother took eight minutes of challenging behavior in routine when the child's behavior appeared and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video data using a 10-second partial interval system. For collecting baseline data on the students’ target behaviors, family interacted with their child as they would normally in the problematic routines. Each family started to use intervention strategies.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there was a maintenance phase for observing the behavior chang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TR-F program has an effect on challenging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is research showed that all students’problem behaviors were dramatically reduced during the intervention. In case of student A and student B’s problem behavior was decreased after each mother used the P strategy which was implemented to prevent problem behavior. This is a reason why they did not implement T strategy for their child to teach appropriate behaviors. On the other hand, student C’s mother employed both P and T strategies, which resulted in not only decreased student’s problem behavior but increased appropriate behavior. And also all target students’ behavior change has been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erminated.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PTR-F program,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children, also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with families of adolesc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head of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Especially using the PTR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checklist and PTR-F intervention strategy guide was enable the family to take a leading role in all progress.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s that having a plan for making mother implement universal parenting strategies actively and all relevant people could participate in the entire prog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problem behavior support services for youth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