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8 Download: 0

말 늦은 아동의 무의미 동사에 대한 빠른의미연결 및 작업기억 특성

Title
말 늦은 아동의 무의미 동사에 대한 빠른의미연결 및 작업기억 특성
Other Titles
Fast Mapping of Verbs and Working Memory in Korean Late Talkers
Authors
김은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아동은 연속적인 말의 흐름 속에서 어휘를 인식하고 그 어휘와 어휘가 의미하는 물체를 연결하는 능력을 사용하여 어휘를 빠르게 습득하는데 이러한 능력을 ‘빠른의미연결(fast mapping)’이라 한다. 빠른의미연결이란 아동이 새로운 단어에 대한 최소한의 노출만으로도 단어를 습득하고 저장하는 능력을 말한다(Carey & Bartlett, 1978). 이러한 빠른의미연결능력은 초기어휘습득단계에 있는 아동들이 많은 어휘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기억능력(working memory) 역시 아동의 초기 어휘습득에 중요한 기저로 알려져 있다.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의 조작을 수행하는 작업기억능력은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ddeley, Gathercole, & Papagno, 1998). 한편, 2세에 매우 빠른 속도로 많은 어휘를 습득하는 ‘어휘폭발기(vocabulary spurt)’에 제한된 표현언어능력으로 인해 표현어휘지체로 진단되는 아동집단을 '말 늦은 아동(late takers)'이라 한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이들 중 대부분은 학령기에 이르러 또래 아동의 언어수준을 따라잡으나 일부는 언어능력에 있어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보여 단순언어장애, 학습장애, 읽기장애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Rescorla, 2002). 국외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은 빠른의미연결, 작업기억과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한다(Newbury et al., 2015; Newbury et al., 2016). 하지만 국내의 어휘지체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어휘능력뿐만 아니라 언어적 처리능력(빠른의미연결 및 비단어따라말하기)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인다고 한다(Yang, Yim, Kim & Han, 2013). 따라서 표현어휘발달지체로 진단된 말 늦은 아동은 단순히 어휘능력에만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빠른의미연결, 작업기억과 같은 언어적 처리능력에서도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어휘습득에 있어서 동사의 습득은 매우 중요하다. 동사의 표현으로 구문의 표현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서 아동의 표현언어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이 촉진된다(이희란, 2009). 하지만 아동의 첫 낱말 이후 초기 습득 어휘들은 대부분 명사로 이루어지며 동사의 비율이 매우 작고, 초기 표현어휘에 포함된 동사들은 대부분 일상생활에 관련된 쉬운 동사들이다(Bates et al., 1994; Golinkoff, Jacquet, Hirsh-Pasek, & Nandakumar, 1996). 즉, 언어발달에 있어서 동사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지만 초기 언어발달단계에 있는 아동들에게 동사의 습득은 명사보다 어려우며(Getner, 1982), 특히 초기어휘발달지체를 보이는 말 늦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동사를 학습하는데 더욱 어려움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 할 수 있다. 말 늦은 아동을 조기 선별하기 위해서는 말 늦은 아동의 동사 습득의 특성 및 언어처리능력을 알아보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동의 빠른의미연결능력과 같은 어휘습득 전략에 대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명사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동사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한정적이다(신문자, 2014). 뿐만 아니라 말 늦은 아동의 동사에 대한 빠른의미연결능력과 작업기억능력을 함께 비교분석한 국내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 늦은 아동을 대상으로 동사의 빠른의미연결 및 작업기억능력(구어작업기억, 음운단기기억)의 수행력이 일반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표현어휘능력과 기타 언어적처리능력(빠른의미연결, 구어적작업기억, 음운단기기억)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8~36개월의 말 늦은 아동 17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 총 34명의 아동이었으며, 연구과제로 무의미 동사에 대한 빠른의미연결과제와 2개의 작업기억과제(키워드작업기억과제, 비단어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빠른의미연결과제에서 동사 유형(자동사, 타동사)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말 늦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무의미 동사의 빠른의미연결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키워드작업기억과제에서 말 늦은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비단어따라말하기에서 말 늦은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 내의 표현어휘능력과 기타 언어적처리과제(빠른의미연결, 키워드작업기억, 비단어따라말하기)점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 아동의 경우, 표현어휘능력은 키워드작업기억(r=.628), 비단어따라말하기(r=.565)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말 늦은 아동의 경우, 표현어휘능력은 비단어따라말하기(r=.623)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키워드작업기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아동의 데이터를 합쳐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표현어휘능력은 빠른의미연결(r=.707), 키워드작업기억(r=.828), 비단어따라말하기(r=.887)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말 늦은 아동의 표현언어발달지체의 원인들 중 하나로 그들의 낮은 언어처리능력(빠른의미연결, 구어작업기억, 음운단기기억)일 가능성을 생각 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처리과제(빠른의미연결과제, 키워드작업기억과제, 비단어따라말하기)들이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을 선별 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말 늦은 아동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2-3세의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본 연구과제들을 사용하는 것은 언어발달지체아동들을 조기 선별하고 조기 중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fast mapping of verbs and working memory (verbal working memory an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between korean late talkers and aged matched control group as a measure of task performance. It also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nd language processing skills. 34 children who are from 28 months to 36 month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groups consisted of 17 late talkers group and 17 aged matched control group. The fast mapping and working memory tasks(key-word working memory task, non-word repetition) were conducted to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erb types (an intransitive verb and a transitive verb) in fast-mapping task,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late talkers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two working memory tasks(key-word working memory task and non-word repetition task) than their peers in the control group. Third,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nd language processing skills(fast-mapping, keyword working memory, non-word repetition) in the groups. As a result,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key-work working memory task(r=.628) and the non-word repetition task(r=.565). The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f the late talkers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on-word repetition(r = .623), but there i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ey-word working memory. Last, the performance by late talkers resulted in a high correlation in all the tasks in this study, The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st-mapping(r = .707), key-word working memory(r = .828), and non-word repetition(r = .887). The fast-mapping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key-word working memory(r = .775) and non-word repetition(r = .758). Key-word working memor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on-word repetition(r = .861).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ate talkers performed lower language processing skills than aged matched control group in regard to fast mapping, verbal working memory,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one of the causes of delaye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is related with low language processing ability. In addition, language processing tasks (fast-mapping task, keyword working memory task, non-word repeti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o distinguish late talkers and typical developing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