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4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4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9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627-
dc.description.abstract영아기의 발달지체나 장애 및 장애위험 요소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하고 이로 인해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영아기는 두뇌의 가소성이 크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중재의 영향력이 큰 시기로서 영아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중재를 통해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영아는 흥미를 느끼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발달한다. 영아와 가족이 주로 생활하는 가정에서 일어나는 자연적 일과는 영아에게 기능적이면서도 흥미로운 경험을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영아와 가족의 일과에는 일반적으로 식사하기와 잠자리에 들기, 옷 입고 벗기, 기저귀 갈기와 같은 양육활동이 포함되며, 무엇보다 놀이가 일과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놀이는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조기개입의 주된 맥락이 되는 경우가 많다. 가정에서의 조기개입과 기존의 조기개입의 큰 차이점은 바로 가족이 영아에 대한 중재자가 된다는 점이다. 최선의 중재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영아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가족이다. 따라서 최근 조기개입은 서비스 제공자가 발달지체 영아에 대한 직접적 중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가족이 가정에서의 자연스러운 일과 중에 영아에 대한 중재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일과중심중재를 실행함으로써 영아의 놀이 참여율과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 및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회기의 어머니 교육을 실시하였고, 어머니가 지속적으로 일과중심중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4개월에서 24개월의 발달지체 영아와 어머니 4팀이며,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 교육은 영아기의 발달과 학습 특성, 일과와 자연적 환경의 중요성, 가정환경 구성 및 조정을 통한 학습 기회 삽입에 대해 다루었으며, 피드백 회기 동안에는 중재 이후 영아의 변화에 대한 논의-일과 활동 수행과 점검-변화사항 제안-가정활동계획서와 가정활동지 수정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어머니에 대한 피드백을 최소한 10회 이상 진행한 후 3회 이상의 놀이 참여율의 상승이나 안정세를 유지하였을 때 종료하였다. 피드백 회기에 접어들고 나서 3-4회기에 한 번씩 영아와 아버지의 놀이 관찰을 통해 일반화를 측정하였으며, 피드백 종료 4주 후에 유지를 관찰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관찰은 가정방문 직후 11분간 동영상을 촬영하여 이중 첫 1분을 제외하고 10분간 관찰하였다. 일반화 관찰을 위해 아버지와 영아의 놀이장면을 촬영하였는데, 네 가정 중 세 가정은 어머니가 촬영하였으며, 한 가정은 연구자가 직접 촬영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녹화된 자료를 재생하여 보면서 E-Qual III의 참여, 참여수준의 조작적 정의 지침과 영아에 맞게 수정한 행동의 예시에 따라 10초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는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율을 증진시켰으며, 그 결과는 아버지와의 놀이 참여로 일반화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4주 후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는 발달지체 영아의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을 보다 상위의 수준으로 변화시켰으며, 그 결과는 아버지와의 놀이 참여로 일반화되었고 연구자가 실시한 어머니 교육과 피드백이 종료된 4주 후의 시점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달목표 성취수준을 측정한 결과 아동의 발달은 기대한 수준이나 기대치를 초과한 수준으로 성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교육과 피드백을 통해 발달지체 영아의 어머니가 학습한 일과중심중재 방법을 가정에서의 자연스러운 일과 중에 영아에게 적용했을 때 영아의 놀이 참여율이 증가하였고,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이 보다 상위수준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영아는 GAS(목표성취척도)를 활용하여 척도화한 발달목표를 기대한 수준이나 기대치를 초과한 향상을 보였다. 이처럼 어머니 교육을 통해 어머니가 직접 기능적 목표를 수립하고, 일과 중에 학습 기회를 삽입하여 즉각적으로 영아에게 적합한 중재를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영아의 참여와 발달에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직접 영아를 대상으로 중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교육을 통해 가정에서 어머니가 중재를 실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24개월 이하의 발달지체 영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정방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Developmental delays in early childhood can have a lasting effect on a person’s physical,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may need to negotiate significant social and environmental barriers in order to fully participate in everyday life.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learn best by engaging in daily routines that provide repeated learning experience. As routines include naturally occurring activities such as eating, sleeping, clothing, diapering, and playing, embedding early intervention activities into routines can result in increased skills development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Among these activities, play serves as an effective framework to support and improve early intervention activities.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are recommended to be provided in the infant’s natural environments. Infants perform better when they are around familiar person and things. For example, providing services at home may offer meaningful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infants’ activities and learning styles. By offering services in this way service providers can support infants’ development in everyday settings, maximizing their daily functioning at home.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parents are in the position of being able to deliver intervention strategies throughout daily routines, thus increasing the intensity of early interv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a mother-implemented routine-based intervention for promoting infants’ play engagement, play level, and development goal attainment scales(GAS).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infants and Four mothers and their 14-24 months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were received series of educational sessions that emphasize infa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intervention during daily routines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embedding learning opportunities with modification. Feedbacks were provided in order to support mothers to implement intervention strategies.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was decided based on level of engagement after receving ten feedbacks.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al recording systems and the percentages of occurrence were obtained. The infants were observed during play with mother, using 10-second interval recording system. Each the experimental session was observed for 10 minutes. Observations were made of intervention maintenance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over. Generalization phase was performed during the infant-father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ther implemented routine-based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lay engagement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Effects also generalized to infant-father dyadic interactions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Second, the mother-implemented routines- based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tep up the engagement level of the infants. The higher engagement level of the infants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Third, the mother-implemented routine-based intervention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development goal attainment. In this study, the rate of infants' play engagement improved and the level of engagement increased when mothers applied routine-based intervention in the home settings.. Also, infants showed improved developmental goals asssing by GAS(goal achievement scale). In conclusions, mothers were able to implement routine-based interventions, incorporating contents of education sessions. Integrating intervention throughout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natural settings differs significant ways from interventionist dependent practices. The features that this study are implementation in natural environment, provision of education sessions to support mothers’ knowledge, competence, and follow-through for directing their infants’ learning and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highlights an important distinction in how early intervention home visiting program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should be conceptualiz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1. 일과중심중재 7 2. 발달지체 영아 7 3. 영아의 놀이 참여 8 4. 영아의 발달목표 성취 8 II. 이론적 배경 9 A. 발달지체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9 1. 발달지체 영아의 발달 특성 9 2. 조기개입의 기본 개념 10 3. 조기개입의 최상의 실제 11 B. 가정에서의 일과중심중재 16 1. 가정환경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16 2. 가정에서의 일과 참여 18 3. 일과 중 학습기회 삽입 24 4. 가정환경 구성 및 조정 26 C. 양육자가 실행하는 중재 31 1. 양육자 중재 실행의 필요성 31 2. 일과중심중재 실행을 위한 양육자 지원 34 III. 연구 방법 40 A. 연구 참여자 40 1. 모집 기준 40 2. 모집 절차 40 3. 연구 참여자 정보 41 B. 실험 기간 41 C. 실험 환경 48 D. 실험 설계 및 실험 조건 48 1. 실험 설계 48 2. 실험 조건 및 절차 50 E. 관찰 및 측정 61 1. 영아의 놀이 참여 61 2. 영아의 발달목표 성취 68 F. 관찰자간 신뢰도 69 G. 중재 충실도 71 1. 연구자 충실도 71 2. 어머니 중재 충실도 73 H. 사회적 타당도 75 1. 어머니 만족도 평가 75 2. 외부인 사회적 타당도 평가 78 IV. 연구 결과 80 A.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율에 미친 영향 80 B.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에 미친 영향 84 C.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발달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 91 V. 논의 및 제언 94 A. 논의 94 1.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94 2.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참여수준별 놀이 발생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97 3.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발달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02 B.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에 대한 연구의 의의 105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10 참고문헌 113 부 록 134 ABSTRACT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31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일과중심중재가 발달지체 영아의 놀이 참여와 발달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Routine based Intervention in the Home on Play Engagement and Developmental Goal Attainment-
dc.creator.othernameLee, Sowyoung-
dc.format.pageviii, 161 p.-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이숙향-
dc.contributor.examiner최진희-
dc.contributor.examiner최윤희-
dc.contributor.examiner이소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