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말 늦은 아동의 정보단서 유형에 따른 빠른 의미연결 수행력 및 유지 능력

Title
말 늦은 아동의 정보단서 유형에 따른 빠른 의미연결 수행력 및 유지 능력
Other Titles
Fast mapping and retention as a function of the types of information cue in late talkers
Authors
채은초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The goals of the current study were (1) to compare the abilities of forming word-meaning associations (fast—mapping) during the exposure to novel words in three types of cues, and (2) to compare the abilities of retaining the word-meaning association after forming word-meaning associations in three types of cues between late-talking (LT) children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nineteen LT children (LT group) aged from 24 to 36 months and nineteen age-matched TD children (TD group). Children completed the fast-mapping task which included 12 nonsense-nouns (novel words) with three types of cues: the mutual exclusivity cue, the linguistic cue, and the mixed cue. The mutual exclusive cue was crea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one referent has only one label while the linguistic cue was crea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rpho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restricts the practicable meaning of a novel word in a speech. The mixed cue was the mixture of those two cues. After five minutes of completing the fast-mapping task, children completed the retention task to measure how many novel words they acquired with fast-mapping after a brief period. For analysis, two separate 2-way mixed analyses of variance (ANOVA) were run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on the performance of the fast-mapping task and on the performance of the retention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D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LT group on the fast-mapping task. Specifically, the TD group had a higher accuracy score than the LT group only in the mutual exclusive cue. Within the LT group, they performed better in the linguistic cue than the mutual exclusive cue and the mixed cue. However, in the TD group, they performed comparably across three cues. Similarly, the TD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LT group on the retention task.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ues within each group. Together, the TD group had better fast-mapping and retention abilities than the LT group, especially, when they used the mutual exclusive cu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D group may benefit from using the mutual exclusive cue in acquiring.;일반적으로 아동의 초기 언어 발달에서 눈여겨볼 현상은 아동의 폭발적인 어휘 확장 속도인데 이 시기를 ‘어휘 폭발기 (vocabulary burst)’라고 한다 (Bates, et. al., 1994). 아동이 수많은 어휘를 빠른 속도로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대표적인 전략이 빠른 의미연결(Fast-Mapping)이다(Golinkoff & Hirsh-Pasek, 1999). 표현 어휘가 폭발하는 시기에 일부 아동은 언어 표현 능력에서 어려움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들을‘말 늦은 아동’이라고 한다. 말 늦은 아동의 대부분 3~4세가 되면서 또래와 비슷한 수준으로 언어 능력이 향상되지만 일부는 지속적인 언어 발달 지연을 보이며, 학령기에 이르러 읽기 장애, 학습장애 등의 어려움을 보인다고 한다(Leonard, 1998; Rescorla et. al., 1997). 그러므로 말 늦은 아동에 대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중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말 늦은 아동의 어휘 학습 능력을 이해하고 어휘 학습 특성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연구에서는 말 늦은 아동의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 음운 특성, 주양육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홍경훈 & 김영태, 2005; 홍경훈, 2007, 김애은 등, 2016; 이지연, 2017; 김혜진 등, 2015; 심혜림 & 하승희, 2014) 어휘 습득전략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최일란 & 황미나, 2014; 김하영, 2016). 또한 아동이 일상생활 속 어휘 학습 환경에서 아동에게 다양한 단서가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 아동이 단어의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 어떤 유형의 단서가 어휘 습득에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어 학습을 위하여 습득한 어휘를 유지하는 능력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일반 아동을 주 연구 대상으로 이루어졌고(Brady & Goodman, 2014; Spiegel & Halberda, 2008, Bion et. al., 2013) 말 늦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말 늦은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정보단서유형(상호배타성 단서, 언어적 단서, 복합 단서)에 따른 무의미 명사의 빠른 의미연결 수행력과 빠른 의미연결로 습득한 무의미 명사의 유지 능력을 비교해 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후 24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말 늦은 아동 19명과 동일한 생활 연령의 일반 아동 19명, 총 38명이었다. 연구는 세 가지 정보단서 유형에 따라 무의미 명사의 빠른 의미연결 과제를 실시한 후, 5분 간 사이를 두고 빠른 의미연결로 습득한 무의미 명사의 유지 과제로 진행되었다. 세 가지 정보 단서는 상호배타성 단서, 언어적 단서, 복합 단서이다. 상호배타성 단서 과제는 아동에게 친숙한 물건과 생소한 물건을 함께 제시한 후 새로운 단어(무의미 명사)가 포함된 문장을 들려주고 아동에게 새로운 단어에 해당하는 물건을 선택하게 하였다. 언어적 단서 과제는 아동에게 생소한 2개의 물건을 함께 제시한 후 아동이 의미를 알고 있는 동사와 새로운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들려주고 아동에게 새로운 단어에 해당하는 물건을 선택하게 하였다. 이 때 생소한 물건 중 하나는 동사의 목적어로 가능한 범주의 물건, 나머지 하나는 동사의 범주와 무관한 물건이다. 복합 단서 과제는 상호배타성 단서와 언어적 단서를 동시에 제공하였다.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및 정보단서유형에 따른 빠른 의미연결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집단과 정보 단서 유형에 따른 빠른 의미연결 수행력에 관한 이차 상호작용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특히, 언어적 단서 과제에서 집단 간 차이에 비해 상호배타성 단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 늦은 아동 집단이 무의미 명사에 대한 빠른 의미연결 수행력에서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말 늦은 아동 집단은 상호배타성 단서보다 언어적 단서에서 수행력이 좋았고, 일반 아동 집단은 정보단서 유형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및 정보단서유형에 따라 빠른 의미연결로 습득한 무의미 명사의 유지 능력을 비교한 결과, 집단과 정보단서유형에 따른 무의미 명사의 유지 능력에 관한 이차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정보단서 유형에 따른 무의미 명사의 유지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말 늦은 아동 집단은 빠른 의미연결로 습득한 무의미 명사의 유지 능력에서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말 늦은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정보단서유형에 따라 빠른 의미연결 전략을 활용한 어휘 습득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고, 유지 능력에도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상호배타성 단서가 두 집단을 구별해주는 단서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 늦은 아동은 언어적 단서를 활용하여 어휘 습득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일반 아동은 상호배타성을 활용하여 어휘 습득뿐만 아니라 아동의 단어 유지 능력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