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0 Download: 0

유치원 통합환경에서의 고반응 행동 활용 전략(High-p 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치원 통합환경에서의 고반응 행동 활용 전략(High-p 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Initiation Skills Instruction using High-Probability Request Sequence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hors
이귀남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주요 장애 영역은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부분으로 이들의 사회성 발달은 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이슈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은 그 행동의 유형과 맥락이 비전형적이고 사회성 기술 수행에 결함이 있으며 사회성 발달이 일탈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회적 행동을 시작하고 다른 사람의 사회적 시작행동에 적절히 반응하며 시작된 상호작용을 유지하면서 사회적 행동을 주고받는데 어려움을 야기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결함은 유아기 발달에 중요한 놀이 참여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는 일반 유아가 놀이를 통해 습득하는 사회성 기술들을 획득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한편 많은 연구자들은 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이 타고난 기술 결함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수행 결함에 기인한 것이라는데 동의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환경에 대한 제한적인 관심 역시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요한 기술의 수행 자체에 영향을 미친다. 여러 연구들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 비록 부적절한 형태일지라도 사회적 참여 행동을 보이고 있고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는 또래만큼은 아닐지라도 짧게나마 상호작용이 지속되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적 기술 교수는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통합된 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high-p 전략(고반응 행동 활용 전략)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를 제공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high-p 전략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가 소속되어 있는 유치원 통합환경에서 실시되었다. High-p 전략의 이론적 근거는 행동의 가속도 원리로, 발생되고 있는 행동이 발생되지 않은 행동보다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행 가능성이 높은 유아의 선호 행동을 수행 가능성이 낮은 비선호 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데 활용하는 중재다. High-p 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 실행에 앞서 사전 관찰을 통해 참여 유아의 high-p 행동과 low-p 행동의 목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행동 목록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세 개의 high-p 행동을 연속적으로 참여 유아에게 요구한 후 유아가 각 행동을 수행할 때마다 칭찬과 같은 강화를 제공해 주었고 마지막 high-p 행동 수행에 대한 강화를 제공한 즉시 5초 내에 low-p 행동 수행을 요구하여 행동의 가속도가 low-p 행동에 전이됨으로서 low-p 행동 수행 가능성을 높이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는 모두 3명으로 동일한 통합학급에 소속되어 생활하고 있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관찰을 통해 실험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뒤 기초선, 중재, 유지 구간으로 나누어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연구를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참여 유아 모두 high-p 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 중재 실시 후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기초선 구간에 비해 증가하였다. 둘째, 참여 유아 세 명 중 유아 1과 2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은 high-p 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high-p 전략을 사용한 사회적 기술 교수는 자폐범주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 증가 및 유지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 통합 환경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high-p 전략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으로서 high-p 전략의 실행 가능성과 현장 적절성에 대한 가치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initiation skills instruction using high-probability request sequences onthe social interactions of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is study, three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e preschool inclusive classroom were participate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 baseline, intervention, intervention without high-p stage, maintenance with generalizatio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duct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during free play tim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re used to check the effects. The occurrence of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ir peers was proved by the rate of participant’s social initiation with following peer’s reaction and the peer’s social initiation with participant’s reaction During baseline, the researcher observed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for ten minutes during free play. Following baseline, ten minutes intervention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during free play. Maintenance data was collected after 4 weeks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rrence rate of the three participants’ social interaction was increased by the social initiation skills instruction using high-probability request sequences. Second, the occurrence rate of the three participants’ social interaction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From the results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ocial initiation skills instruction using high-probability request sequences i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