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7 Download: 0

초등 교과서에 드러난 분류 기능 분석

Title
초등 교과서에 드러난 분류 기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classification functions revealed in elementary textbooks : Focu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uthors
이은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옥현진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the organizing methods used for new learning contents in terms of their functions. Among the various functions, the 'classification' was selected as its contents and activities are clearly shown in the curriculum and it has precedent research on the learning development stag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the attributes contained in the classification task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s? 2. How do the classification task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progress depending on the grade levels? 2-1. What is the frequency of classification task activities for each subject? 2-2. How is the hierarchy of attributes for a classification task presented? To tackle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first examined how many classification tasks in textbooks and manuals were being suggested. Then, extracted the features appeared in the tasks while investigating their general properties.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class assignments consisted of hierarchy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towards the classification learning. Based on the former research, the hierarchy of classification task by attributes were set up to establish the analysis criteria. Classification tasks were review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criteria,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the analysis. After verifying its reliability, this research aimed to propose better organizational methods for the classification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function tasks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classification tasks consisted of six representativ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the classification tasks were divided into two cases, depending on whether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or not. Second, the task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informing or implying about the results or not. Third, the number of groupings varie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Fourth, the attributes of the classifying subject data were being presented in various ways. Fifth, the results of classifying activities were either one-dimensional or multidimensional. Sixth, there were two situations where there was no data left after classification and where the data still remained. According to the trend analysis of classification tasks by grade, the frequency of classification tasks was shown as follows. The frequency of activities by subjects shows that mathematics contained the most classifying activities, followed by science, Korean, and social studies in order. In terms of grade, the frequency wa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order of 1st, 6th, 3rd, 2nd, and 4th grade. Moreover, after examining the classification tasks through six analysis criteria, it was found that most classification task attributes were not suitable for each grade level. Thus, this research has figured out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principles for the classification task attributes that are suitable for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First, the students should begin with the activity where the standards are explicitly presented to them and as they move to higher grades, they should gradually tackle the tasks which require them to set their own standards. Second, classification tasks should be modified so that they will gradually shift from those presenting subcategories to those without providing subcategori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train the students with the dichotomy tasks several times before presenting them with the trichotomy, quartering, and multinomial methods. Fourth, the data presented in the classification task need to be modified from intuitive and sensory data that can be directly perceived using the five senses to the ones with more abstract and complex qualities. Fifth, the task should begin with a single layer classification such as the dual classification and suggest the multi-layer classification activities in a progressive way as the grade and the semester go up. Sixth, there is a need to modify the classification task, so that the activity without the subject data remaining gradually turns into the task with the data remaining. Finally,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current classification tasks are concentrated in specific grades or subjects, they should be presented in a dispersed way in the future. Second,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learning tasks after examining the level of classification tasks that can be performed by each grade. Third, the research on the hierarchy of various function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Also the research should be done around the many subjects. While the current curriculum has a fine hierarchy of knowledge or learning concepts, the hierarchy of functions is not established. Therefore, by performing more research on functions, curriculum researchers need to ensure that the hierarchy of functions is established just as it is for knowledge. At the same time, the curriculum should seek for the harmonious phase of both knowledge and function.;교육(敎育)이라는 단어는 ‘가르치며 기른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가르침’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대개 사람들은 교육 혹은 가르침이라는 의미를 떠올릴 때 어떠한 내용이나 지식을 가장 먼저 떠올리곤 한다. 즉, 우리는 보통 ‘학생들은 어떤 기능이나 태도를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가?’보다 ‘어떤 지식과 내용을 학습해야 하는가?’에 더 초점을 두고 있기 마련이다. 현재의 교육과정에는 우리가 ‘교육’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가 더욱 여실히 드러나는데, 우선 모든 교과들의 내용체계에는 교과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줄 수 있는 근본적인 개념이자 원리인 ‘핵심 개념’이 중심에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반화된 지식과 내용요소 그리고 기능과 태도가 자리를 잡고 있다. 결국 교과들의 구성의 원리이자 뿌리가 되는 것은 ‘개념’ 혹은 ‘아이디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학교교육에는 핵심지식 외에도 핵심역량이라는 새로운 관점이 도입되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 교육계에서는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가?’의 관점에서 이제는 ‘학생들이 어떠한 사람으로 성장해야 하는가?’에 대한 쪽으로 관심을 기울여 가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는 학생들이 어떠한 사람으로 성장해야 하는가를 돕기 위한 교육의 방식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에 관하여 생각해보는 것과 더불어 교과들의 학습 내용 조직 방식이 지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즉, 지식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에 대하여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식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기능 중심의 관점에서 새로운 학습 내용 구성 방식에 대해 논의해 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도 비교적 내용과 활동이 교육과정 상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학습 발달 단계에 대한 기존 선행 연구 사례가 있는 ‘분류’를 중심으로 기능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분류 활동은 어떠한 공통적 속성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분류 활동의 학년별 학습 추이는 어떻게 나타 나는가? 2-1. 분류 활동의 과목별 활동 빈도는 어떠한가? 2-2. 분류 활동의 속성별 위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교과서와 지도서에 나타난 분류 기능 관련 활동들이 몇 회에 걸쳐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분류 활동들을 분석하여 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추출하고 활동들이 일반적으로 어떠한 속성들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후에는 분류 활동들이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 알맞게 위계를 이루며 구성되었는지 다양한 기준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먼저 분류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대한 선행 연구물들을 고찰해보았다. 발달단계에 관한 선행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 활동의 속성별 위계를 설정하여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 활동들을 다시 관찰하고 분석하였으며, 분석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현직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분석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받은 후에는 분석 결과물을 바탕으로 더욱 바람직한 분류 학습 내용 조직방식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분류 기능 활동 관련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분류 활동의 속성을 분석한 결과 분류 활동은 총 6가지 대표적인 속성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첫째, 분류 활동은 분류 기준이 제시되거나 혹은 제시되지 않는 경우로 나뉘었다. 둘째, 분류 활동은 결과에 대하여 안내나 암시를 하고 있거나 혹은 결과에 대해 알리지 않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뉘고 있었다. 셋째, 분류 결과로 묶음의 개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분류 대상 자료의 속성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다섯째, 분류 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분류 결과는 일차원적인 것이거나 다차원적이었다. 여섯째, 분류 후 자료가 남지 않는 경우와 남는 경우로 나뉘고 있었다. 다음으로 분류 활동의 학년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분류 활동의 빈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과목별 활동 빈도를 본 결과 수학에서 가장 많은 분류 활동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과학, 국어, 사회의 순서로 분류 활동이 많이 제시되었다. 학년별로는 빈도는 1학년, 6학년, 3학년, 2학년, 4학년 순서로 점점 높아지고 있었다. 그리고 분류 활동의 속성별 위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6가지의 분석기준을 통해 분류 활동을 살펴본 결과, 각 속성마다 위계가 들쑥날쑥하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대부분의 분류 활동 속성들이 학년 수준과 맞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 교육과정에 알맞은 분류 활동의 속성별 바람직한 조직 원리는 무엇인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 활동을 제시할 때에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기준이 명시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활동으로부터 학생들이 스스로 기준을 세우는 활동으로 점차 나아가야 한다. 둘째, 분류 활동들은 하위 범주수를 제시하는 활동으로부터 제시하지 않는 활동으로의 점진적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형되어야한다. 셋째, 이분법의 분류 활동을 통해 여러 번에 걸쳐 분류에 대한 학습을 훈련하게 한 후 삼분법과 사분법 그리고 다분법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제시해주어야 한다. 넷째, 분류 활동에 제시되는 자료들은 오감을 이용하여 직접 지각할 수 있는 직관적, 감각적 자료들로부터 더욱 추상적이고 복잡한 속성을 가진 자료들로 나아가도록 변형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분류 활동은 이원 분류와 같은 단층 분류로부터 시작하여 학년과 학기가 올라감에 따라 다층 분류 활동이 증가하는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분류를 하고 나서 분류 대상 자료가 남지 않은 경우로부터 남는 경우의 활동이 점진적으로 제시되도록 분류 활동을 변형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분류 활동은 특정 학년이나 특정 과목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앞으로 교육과정에서는 분류 관련 활동들을 분산시켜 제시해야 한다. 왜냐하면 분류 기능에 대한 이해는 어느 한 시기에서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분류 기능에 대한 전이를 이끌어내려면 다양한 과목에서 여러 가지 학습 제재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활동의 분산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개정 시 학년별로 수행할 수 있는 분류 활동의 수준을 고려한 후 학습 활동을 재구성하여 제시해야 한다. 예컨대 분류 기준, 하위 집합의 수, 분류 활동의 층위에 대한 학년별 수준을 고려하여 활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러 가지 기능의 위계에 대한 연구 그리고 여러 과목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의 교육과정은 지식 혹은 학습 개념에 대한 위계는 매우 잘 이루어져있는 반면 기능과 관련한 위계는 전혀 이루어져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능 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해 기능 또한 지식과 같이 위계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지식과 조화로운 기능의 단계를 모색해 볼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