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정책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 분석

Title
정책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 분석
Other Titles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Effect of Policy orientation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 With a focus on teachers and students from high schools in Seoul
Authors
이언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현재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해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문화정책은 다문화정책 환경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이상과 가치에 한층 가까우면서도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사회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다문화정책 및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의 상황적 맥락을 이해하고, 사회적 논의를 통해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다문화정책의 방향성 정립에 따른 정책과 제도의 개선은 사회구성원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고,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초석이자 대안이 될 것이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는 주류집단의 중심 가치관과 다름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데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교사의 인식이 명시적이든 암시적이든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형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교실은 다문화교육의 주요 실천 무대이고 교원은 정책 실천자라는 점에서 교원과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정책의 방향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변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원과 학생의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변인이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개인변인에 따른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의 차이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1단계 분석을 하고,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과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2단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은 서울시내 고등학교 35개교의 교원 175명과 학생 487명에게 설문 조사하였으며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변인에 따른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의 차이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교원의 직위와 연령 및 최종학력, 담당과목에 따라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도 차이를 보였다. 교장(감)이 부장교사와 교사보다 다문화주의가 높게 나타난 것은 교육청의 관리자 대상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학습효과라고 볼 수 있다. 차별·배제주의가 20~30대 교원이 높게 나타난 것은 다문화주의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태도가 소극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20~30대 교원은 기성세대로 접어드는 세대로써 결혼과 양육을 시작하는 단계이고, 다문화사회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문제가 미래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대학출신 교원의 차별·배제주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예비교원에 대한 다문화교육과 전문적인 논의 등 다문화교육 경험과 접촉기회가 부족해서라고 볼 수 있다. 국어와 사회과목 교원이 타 과목 교원보다 차별·배제주의가 낮은 것은 과목 특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학생은 다문화교육 여부에 따라, 교육을 받은 학생은 다문화주의와 동화주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학년이 3학년보다 동화주의가 높았으며, 2, 3학년보다 1학년이 다문화주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다문화교육 경험으로 인해 다문화주의와 동화주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이 다문화주의를 표방하면서도 동화주의 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원의 높은 동화주의의 영향도 간과할 수는 없다. 학년이 낮은 경우 다문화주의가 높게 나타난 것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대학입시로 인해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개인변인이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원의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은 성별, 연령 그리고 담당과목으로 나타났다. 여성 교원일수록 차별·배제주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진보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보이는 결과(민무숙 외, 2010)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국어과목 교원보다 수학과 과학과목 교원의 차별·배제주의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과목 특성의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다문화주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교원의 경력이 많을수록 교육연수 기회와 지도경험이 많기 때문에 다문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임미선 외 2011; 윤갑정, 2011). 학생이 다문화교육을 받을수록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다문화교육을 받음으로 고정관념 및 차별인식이 감소되는 것은 청소년국민수용조사(2012)를 통해서도 확인된 바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의 효과로 인해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과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교원의 경우를 살펴보면, 동화주의는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차별·배제주의는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문화주의는 다문화수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는 교원의 다문화에 대한 인정 및 존중의 인지적인 부분과 인종 및 민족의 다양화에 대한 정서적 거부감이 공존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학생의 경우를 살펴보면,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다문화수용성과 관련이 있는 반면, 차별·배제주의와는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다문화수용성이라는 개인의 성향이 긍정적 방향의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으로 연결될 수 있어도 차별·배제주의와 같은 부정적 형태의 정책지향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성교원이 여성교원보다 동화주의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성이 여성보다 다양성과 관계성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 될 수 있다(여성가족부, 2015).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은 첫째, 다문화정책 관련 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이다. 정책에 대한 인식이 개인의 사고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본 연구는 다문화정책이라는 제도에 대한 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이라는 개인의 태도를 결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다문화정책의 지향성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둘째, 교사는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동화주의와 더불어 차별·배제주의의 중요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교원은 학생과 달리 차별·배제주의가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교원의 차별·배제주의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교원과 학생 모두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동화주의의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는 정부의 다문화정책 방향이 동화주의에 기반하고 있어 이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문화적 상황에 대한 긍정을 기초로 한 진정한 사회통합과 진정한 다문화수용적인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인식이 동화주의에서 다문화주의로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학생은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동화주의와 더불어 다문화주의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이는 학생의 다문화주의가 실제로 다문화수용성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이 다문화주의를 선호하도록 교육을 받는다면, 그들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학생의 다문화교육이 다문화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는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대상을 세분화하고 그에 맞는 차별화된 다문화교육정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이 교원과 학생 간에도 차이가 확인 되었고,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도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둘째, 정부는 다문화사회로의 수용성을 강화하고자 정책적 접근을 위해 다문화정책의 방향성이 정립되어야 한다. 현재 다문화정책은 방향성이 혼재되어 운영되고 있고, 이것은 사회구성원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에 다문화정책의 방향성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의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되고 지속적인 다문화직무교육이 강화되어야한다. 교원의 다문화교육은 직위뿐만 아니라 담당과목, 연령,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교원의 차별·배제주의가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교원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원이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가치관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다문화 관련 직무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의 다문화 교육기회 확대 및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다문화교육이 다문화 관련 정책지향성과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다문화교육 및 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학부모에 대한 다문화교육 및 참여에 대한 다양한 방안 모색과 다문화주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다.;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nd global village, Korea seems to need some perceptional change in its mainstream society to secure its citizens’ coexistence with various foreigners and foreign immigrants and to achieve continuous development. As a resul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which is required for fundamental reconstruction of orders in our society. In order to strengthe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policies are also very important, because those policies can not only change the policy environment but also create a society that is much closer to our ideals and values and has a high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o improve multiculture-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the government needs to understand situational contexts of our society and seek for a new policy direction through social debates. Improved policies and regulations will then serve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rception among members of the society, and become a cornerstone as well as an alternative to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past, studies on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focusing mainly on individual people’s experiences and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not suffici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particular, of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 which is the actual field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takes place. It seems necessary and valuable to find out what kind of impact can be produced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of teachers, who are the practitione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y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ill soon be the full-fledged members of our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first phas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have been analyzed together with the reasons, while, in the second phase, the impact of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s been analyzed. As part of this study, an extensive survey has been carried out over 175 faculty members and 487 students in 35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various analysis tools including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have been adopted. First, it seem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job position, age, teaching subject, and level of education. For example,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showe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ver multi-culture than that of head teachers due to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mplemented for supervisors. Teach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just joined in the adult generation and started to have their marriage and child-raising experience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s because they think social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policies can have some adverse impact on their future. Th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among teachers who teach different subjects seem to exis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of each subject. That is, some subjects have less opportunities of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while other subjects have mor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general universities showed a lower level of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than that of thos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ies or colleges of education, because the former had less chances of contacting multicultural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or multicultural activities than the latter. Among students,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rades seem to have played a major role which creat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ulticulturalism policy orientation. In general,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assimilation policy orientation than that of students because multicultural policies have focused mainly on marriage-based immigration policies. Meanwhi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orientation towards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and multiculturalism policies than that of teachers. Students seem to acknowledge the justifiability of multicultural society but have some vague anxiety or prejudice over foreigners and foreign immigrants, which made them show stronger orientation towards multiculturalism policies and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seems to lead to higher orientation towards multicultural policies and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because of the mixe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policies and, also, the impact of teachers’ assimilation policy orientation. Among students, lower graders seem to have mor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higher graders are likely to have less interest in multi-culture because they have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Second, it seems that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influenced by individual variables---especially gender, age, and teaching subject in the case of teachers. For example, female teachers showed a lower level of orientation toward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than that of their male counterparts, reflecting their tendency to be more relationship-oriented and care-oriented. In terms of teaching subjects, teachers who teach Korean language seemed to have more influence o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hile age, which is also related with job positions, seems to have played a certain role when it comes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cause older people generally have mor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tudents, their grade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rv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Lower graders tend to have more experience, interest, and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orientation towards assimilation policies and multiculturalism policies. Third,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seems to have som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case of teachers, those who have strong orientation towards assimilation policies seem to have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hile those who have stronger orientation towards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seem to have low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eanwhile, orientation towards multiculturalism policies does not seem to have any impact on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robably because two factors of human nature exist at the same time. That is, on one side, people think they should recognize and respect multi-culture but, on the other side, they have some aversive emotions towards multicultural people. Among students, it seems that those who have stronger orientation towards assimilation and multiculturalism policies have highe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lthough some individuals have a tendency to have positive policy orientation, they don’t seem to reveal it in such a negative way as orientation towards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Finally, the study has also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of multicultural policy orientation have some indirect effects while gender has produced some adjustment effects. Among teachers, their orientation towards differential exclusionary policies and assimilation policies seems to have generated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policy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case of students, assimilation policy orientation seem to have caused indirect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policy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erms of gender, assimilation policy orientation of male respondents--both teachers and students—seems to have bigger influence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and students. This probably reflects the fact that women care more about their safety and fear more against unfamiliar culture and races than men in general.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several conclus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needs to be reinforced, and the education should be customized for th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position, teaching subject, age, and gender. Instead of simp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take place systematically and constantly based on a more rational and scientific ground. Seco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be expanded using a phase-by-phase approach. That is, th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and capacity of students, starting from where changes can be made relatively easily. Schools should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paring various and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make efforts to suppor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grow up as legitimate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eligible global citizens. Third, various measures to conduc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arents need to be reviewed. Since parents can wield strong influences over their children especially when children establish their own values,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arents so that students can have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e. The government also should seek for various measures to make parents to be involv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education contents and formats. Fourth,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ir effectiveness need to be validated, since multicultural policies will play a critical role of suggesting the future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build a system through which monitoring criteria for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policies can be set up and feed-back of the results can be m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