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family and school social capita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mprovement
Authors
한세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Social capital has been expected to play a role in bridging the academic performance gap that is aggrav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come level. As social capital is built voluntarily within a group through relationship based on individual person’s desire, it has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contribute to common cause at low cost without violating individual freedom. In this regards,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at building up social capital is a potential solution to fix social issues. The definition of social capital, however, is not solid and therefor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at an extensive level. Having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vaguely stipulated could mean that i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with various meanings assigned. However, it could also mean that precise assessment of its impact is limited to put it to a practical solu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analyze how social capital at home and school affect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For this purpose, social capital has been categorized at relational, structural and cognitive level, and sub-variables have been added to each categor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 strengthen the explanatory power of social capital tha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capital at home and school has been analyzed further. Variables used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 variables include: student’s attitudes towards learning, number of school transfer, family type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family. School background variables include: types of school established, average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s at school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school. Family social capital variables include: the attitude of parents’ upbringing, assimilation between family members, the level of parent’s engagement into school education and the level of inter-parents networking. School social capital variables include: interrelationship within school, learning objectives with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assimilation between member sat school, the level of cooperation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and the level of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nd out of school. Dependent variable is English test result for 3 years.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Out of panel data of 2010 to 2012 from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by Seoul city, 2,058 students from 62 middle schools have been extracted to investigate which factor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students from lower income of 1st income bracket and higher income of 4th income bracket. Inconsideration of school and family having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Hierarchical Linear Model or HLM has been adopt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and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nalyzed whether family and school background have influenc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Research agenda 1). The biggest contributor for academic achievement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students’ attitudes towards learning for all groups combined, lower income group and higher income group. Socioeconomic background factor at home and school are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but limited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it was questioned whether family and school social capital has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Research agenda 2). ‘Getting parentinvolved in school(structural social capital)’ has played a substantially positive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from lower income, while for students from higher income it was ‘parental attitude towards upbringing(relational social capita)’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that had positive influence. As ‘parental attitude towards upbringing’and ‘resource utilization in and out of school’ work favorably for students from higher income bracket while unfavorably against those from lower income, these two factors hold the possibility to expand the performance gap between different income groups. Thirdly, it was questioned whether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influence differently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chool social capital. If it does affect differentl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ocial capital that makes the difference? (Research agenda 3).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does not enhanc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from lower income group but it does interact with school social capital to bring beneficial effect through ‘assimilation between school members (cognitive social capital)’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nd out of school (structural social capita)’.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nd out of school’, in particular, helps socioeconomic background to bring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income level. For students from higher income bracket, ‘relationship in school (relational social capital)’ works together with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to influence unfavorably against academic achievement. Fourth, it was questioned whether family social capital influence differently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chool social capital. If it does affect differentl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ocial capital that makes the difference? (Research agenda 4). ‘Parent’s engagement into school education’, which improved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from lower income group, promotes academic performance significantly by interacting with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nd out of school’. ‘Parents’ attitudes towards upbringing’, which degrade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have aggravated academic performance significantly by interacting with ‘assimilation between members at school’. ‘Assimilation between family members(cognitive social capital)’, which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has become to have positive explanatory power by interacting with ‘assimilation between members at school’. For students from higher income group, ‘parents’ attitudes towards upbringing’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nd out of school’ positively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while ‘learning objectives with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does negatively. On the other hand, ‘parents’ attitudes towards upbringing’ interacted with ‘learning objectives with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to have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while it interacted with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nd out of school’ to bring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Assimilation between family members’ did not work favorably for students from higher income group, but did enhance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s transferred to a school with ‘learning objectives with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regard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pact of socioeconomic background at home and school on academic achieve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can be adjusted with social capital at home and school and therefore is controllable with the efforts put from the members of the society. Secondly,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from lower income group can be greatly improved as long as economic and human resources are augmented by school and parents actively engaging in. Against this backdrop, social policy that supports income level and human resources is not enough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a program is required that supports family social capital by improving the level of school social capital. Thirdly, it is true that there is social capital that works unfavorably against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from lower income bracket, bu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by a way of family and school social capital. The explanatory power of family social capital, that affects unfavorably, can be altered according to school social capital. In other words, unfavorable environment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 endeavor and will-power by members of the society.;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이 서울시 중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사회자본은 소득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을 중재해줄 수 있는 자원으로 기대되어왔다. 개인의 열의나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성에 의해 형성되고, 개인 간 관계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공공의 이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회자본의 특성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되어줄 것으로 여겼다. 그러나 사회자본의 정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포괄적으로 개념화되어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정의와 특징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다양한 해석과 의미의 부여가 가능하지만, 그만큼 연구분야와 연구자에 의해 특정 측면만을 선택하여 단편적으로 연구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 간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고 발전되는 사회자본의 특성으로 인해 특성 간의 독립적 규정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각 특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학업성취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의 특성을 발견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해 온 개념-관계와 신뢰, 구조적 관계망,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인지한 규범-을 모두 수용하여 관계적, 구조적, 인지적 사회자본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가정과 학교에서 각 사회자본 유형의 특징을 반영하는 구체적 요인들이 학업성취 향상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사회자본의 핵심적 특성을 포함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자본 영역 간 독립성을 확보함으로써 효과성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학업성취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의 설명력을 확장시키기 위해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사회자본 요인의 영향력을 보완하고,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사회자본 요인의 설명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자본 요인들이 상호의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각각 부족한 자원들을 서로 다른 영역에서 보상받을 수 있는지, 유용한 자원들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지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종단연구의 2010-2012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62개 중학교, 2,058명의 중학교 1-3학년 3년 간 영어성적 성장률을 추정하고, 이에 대해 개인 특성 및 가정배경 변인과 학교배경 변인, 가정 사회자본 변인, 학교 사회자본 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인으로 3년 간 변화된 성적을 사용한 것은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안정적으로 설명해주는 사회자본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자료의 위계적 특성, 즉 학교가 지닌 특성이 해당 학교의 재학생에게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방법은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개인 특성 및 가정배경 변인은 학업에 대한 노력, 전학 횟수, 가정 유형,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지수이다. 학교배경 변인으로는 학교 설립유형, 학교 평균 교원경력, 학교 평균 사회경제적 배경 지수가 사용되었다. 가정 사회자본 변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가정의 관계적 동조, 부모의 학교 기반 교육관여, 부모 간 네트워크를 투입하였다. 학교 사회자본 변인으로는 학교 내 상호관계, 학업중심 학습목표, 학교의 관계적 동조, 학교-지역사회 간 협력, 학교 내외 자원활용이 투입되었다. 종속변인은 3년 간 향상된 영어성적이다. 사회자본 논의 자체가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개념의 다양성과 과도한 확장성, 측정의 혼란 때문에 사회자본의 교육적 영향력에 대한 해석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사회자본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견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이 갖는 속성을 관계적, 구조적, 인지적 차원으로 유형화하여 각 영역의 속성을 반영하는 하위 변인들이 소득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여 사회자본이 활성화되는 구체적인 맥락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재학기간 동안 가정배경과 학교배경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이 달라지는지 검토(연구문제 1)한 결과, 학업성취 향상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개인특성 변인은 전체 집단, 저소득층 집단, 고소득층 집단 모두에게 있어 개인의 학습노력이었고,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학교 평균 사회경제적 배경은 매우 미세한 영향만을 미치고 있었다. 1학년 성적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지만 재학기간 동안의 성적 향상은 가정과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한 영향을 매우 적게 받고 있다. 둘째, 중학교 재학기간 동안 가정의 사회자본과 학교의 사회자본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이 달라지는지 분석(연구문제 2)한 결과, 사회자본은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학업성취 향상에 기여하고 있었다.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학교와의 연결망을 형성하는 가정의 구조적 사회자본인 부모의 학교 관여이고, 고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가정 내 인적, 물적 자원을 전달하는 관계적 사회자본인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의 구조적 사회자본인 학교 내외 자원활용이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 내외 자원활용은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소득 집단 별 성적 격차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셋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 사회자본에 따라 달라지는지, 달라진다면 그에 영향을 주는 학교 사회자본의 특성은 무엇인지 분석(연구문제 3)하였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교의 인지적 사회자본(학교의 관계적 동조)과 구조적 사회자본(학교 내외 자원활용)은 그 영향력을 강화함으로써 소득수준에 따른 성취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었다. 학교의 관계적 사회자본인 학교 내 상호관계는 저소득층 학생의 성취향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고소득층 학생들의 성취를 하락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성취에서 발생하는 격차를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었다. 넷째, 가정의 사회자본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 사회자본에 따라 달라지는지, 달라진다면 그에 영향을 주는 학교 사회자본의 특성은 어떤 것인지를 분석(연구문제 4)하였다. 저소득층 학생들의 가정과 학교 구조적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 인지적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은 학업성취 향상을 크게 지원해주고 있었다. 부모가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학교에 고정적으로 참여할수록, 부모와 교사가 함께 학생의 포부수준과 일치된 기대수준을 지니고 있는 학교에 재학하는 저소득층 학생은 큰 폭의 성취 향상을 경험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요인이었던 부모의 학교관여는 학교 내외 자원활용으로 인해 매우 큰 폭으로 점수를 향상시킨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던 가정의 관계적 동조(인지적 사회자본)는 학교의 관계적 동조로 인해 긍정적 설명력을 갖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던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교의 관계적 동조와 상호작용하면서 더 큰 폭으로 성취를 하락시키고 있었다. 고소득층의 가정과 학교 인지적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은 학업성취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학교의 구조적 사회자본은 가정의 관계적 사회자본과 함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 내외 자원활용은 그 자체로 긍정적 영향을, 학업중심 학습목표(인지적 사회자본)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업중심 학습목표로 인해 매우 큰 점수의 하락을, 학교 내외 자원활용으로 인해 매우 큰 점수의 상승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었다. 가정의 관계적 동조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나, 학업중심 학습목표가 형성된 학교에 재학할 경우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요인이 된다. 가정의 관계적 사회자본은 학교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과 학교에서 사회자본은 각 유형별 특성에 따라 서로 그 영향력을 강화시키거나 보상해줌으로써 학업성취 향상에 기여하고 있었다. 특히 주로 구조적 사회자본과 인지적 사회자본이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성취에 기여하는 바가 명확히 발견되었고, 관계적 사회자본은 직접적인 영향보다 학생들에게 자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이 가진 영향력은 집단별, 개인별 차이로 인해 일관된 해석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불리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 특성을 발견하고, 학업성취 향상에 불리 또는 유리하게 작용하는 사회자본 요인의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정과 학교의 상호작용효과를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요컨대 첫째, 가정과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중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매우 미세한 영향을 미치고, 소득수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는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에 의해 학업성취 향상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을 지원하는 데 적합한 학교특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저소득층 부모가 제공해주기 어려운 경제자본과 인적자본을 학교가 보완하고 그에 대해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면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업성취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한 물적 자원의 지원만이 아닌, 학교 사회자본의 수준 향상을 통해 가정 사회자본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도 있다. 그러나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여지가 분명히 존재한다.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사회자본이라 해도, 사회자본의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설명력이 학교 사회자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즉 사회자본의 각 유형별로 학업성취 향상에 대해 갖는 영향력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활용과 적용을 위한 개인의 노력과 구성원의 의지를 통해 불리한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