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숙향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혜림 | - |
dc.creator | 이혜림 | - |
dc.date.accessioned | 2018-04-04T11:58:16Z | - |
dc.date.available | 2018-04-04T11:58:16Z | - |
dc.date.issued | 2017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42288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288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28 | - |
dc.description.abstract | 중학교 시기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신체적·정서적·인지적·사회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요한 단계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의 진로의식과 학습에 대한 동기 및 흥미도가 전체 학령기 학생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같은 시기에 해당하는 장애학생에게는 이들 학생이 지닌 다양한 특성과 제한점으로 인하여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와 지원이 요구된다. 자유학기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장애학생을 포함해 중학교 시기 모든 청소년의 행복지수를 높이며, 미래핵심역량과 인성을 함양하고자 등장한 정책으로 일반학교에서는 2016년도부터 시행되었고, 특수학교의 경우 2018년도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최근 통합교육에 대한 선호가 늘어감에 따라 특수학교보다 일반학교에서 또래와 함께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장애학생이 월등히 많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하지만 일반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되고 있는 현재까지도 장애학생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자유학기제 시책 마련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 필요성을 바탕으로 특수학급교사 또는 학교 차원에서 통합교육과 연계된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적절한 지원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에서 전면 시행되고 있는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중 교과수업 외 부분인 자유학기활동에 대한 장애학생의 참여현황과 참여지원 및 성과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초점을 두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인천 지역 중학교 전체 117개 특수학급의 교사 중 연구자 본인과 연구 도구 개발 절차 및 타당도 검증에 참여한 교사 4명(총 5명)을 제외하고 총 112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연구 도구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 올해 실제 자유학기활동 참여 학생 유무에 따라 A형과 B형을 각각 선택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108부로 약 96.4%의 높은 회수율을 나타냈으나 무응답이 5개 이상이었던 설문지 6부(모두 A형)를 제외하고 총 102부만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와 분석에는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문항에 따라 빈도분석·기술통계·t 검정 등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천 지역 중학교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현황을 보면 첫째, 전체 연구 참여자가 담당한 전체 학생 중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을 적용 받은 장애학생(1학년)의 수는 총 214명으로 이는 평균적으로 전체 특수학급교사 1명이 담당하고 있는 학생의 2.1명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들 교사는 담당학생 중 평균 1.9명이 또래와 함께 1시간 이상 실제 자유학기활동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평균 1.6명이 완전 통합하는 형태로 자유학기활동에 참여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참여내용과 관련해서는 4개 영역(진로탐색활동, 주제선택활동, 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중 진로탐색활동에 모든 장애학생이 참여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100%), 그 외 영역에 대한 장애학생의 참여도 70% 이상으로 보고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진로탐색활동에서 초청강연이 1순위(69.2%), 주제선택활동에서는 인성교육이 1순위(35.1%)로 꼽혔으며, 예술·체육활동과 동아리활동에서는 선택한 프로그램을 기타의견란에 직접 기입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농구(17.9%)와 라인댄스(12.8%)가 각각 그 다음 순위로 꼽혔다. 인천 지역 중학교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 및 성과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는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다. 첫째, 참여지원과 관련하여 전체 연구 참여자는 장애학생이 자유학기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특수교사가 지원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에 책임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M=4.03).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 여부에 상관없이 이들 교사는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을 위해 특수학급교사가 각 프로그램의 담당교사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지원내용이 보통 이상의 수준(M=3.86)에서 중요하다고 보고하였으며, 세부항목 중에서는 교사간협력자문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M=4.13).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은 실제 자유학기활동에 참여한 학생이 있는 교사인 A형 응답자의 자료에서도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즉, A형 응답자료를 토대로 자유학기활동에 참여한 장애학생이 있는 교사의 장애학생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는 평균 3.77점으로 전체 중요도와 유사한 수준인 보통 이상을 보였고, 실행도는 평균 2.79점으로(보통 이하) 중요도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지원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정도에 비하여 실제 제공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참여성과에 대한 부분에서는 자유학기활동이 장애학생에게 보통 이상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되었다(M=3.55). 하위영역 중에서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수준 및 구성원의 관련 인식개선이 가장 도움이 되었던 성과로 꼽혔고(M=3.67), 그 중에서는 물리적 통합 증진과 사회적 통합 증진이 각각 1·2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자유학기활동에서 장애학생의 참여증진 및 지원 내실화를 위한 개선요구와 관련해서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에서(M=3.61) 자유학기활동 개선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역량이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으며(M=3.89), 그 중에서도 사회적 능력, 일상적 의사소통능력, 문제행동지원에 대한 개선요구가 높게 보고되었다. 이 외에 특수학급교사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역량 중 자유학기활동 프로그램 담당교사와의 협력 강화에 대한 개선요구 또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앞서 살펴본 개선요구에 대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활용하여 배경변인(교직경력, 특수학급근무경력, 담당학생수, 보조인력유무, 과거 자유학기제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직경력과 특수학급근무경력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2016년도에 일반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핵심 부분인 자유학기활동에서 인천 지역 중학교 장애학생의 참여현황과 참여지원 및 성과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본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전수조사를 통해 높은 응답률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인천 지역 중학교 내에서는 의미 있는 정보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인천 지역에 중점을 둔 연구라는 점에서 그 외의 다른 지역에 본 연구 결과를 그대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겠으나 자유학기활동을 통해 일반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광의의 진로·직업교육이 특수학급 차원을 넘어 통합교육과 연계하여 학교 차원에서 제공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장점, 극복해야할 요소 등을 전반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다.;The middle school period is a time when the majority of students undergo drastic changes in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aspects. However, it is known that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at this important stage are the lowest among school age students in korea. This problem may be more seriou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due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se students. Therefore, systematic preparation and supports are requir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ree semester system is a policy which overcomes these problems, raises the happiness index of all youth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middle school, and fosters future core competence and personality. It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6 in all gener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On the other hand, special schools will be fully implemented by 2018. However, as the preference for inclusive education has increased rec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 in this policy together with peers in general schools is higher than that of special schools, and this trend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erefore, we must actively seek ways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is situation. However, there is no active social efforts to address how to make a polic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support methods link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special classroom teachers or schools level which can be applied in the current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which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general school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necessary for this study, research tools(Type A and Type B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students actually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activity in this year) design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were sent to a total of 112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all 117 middle schools’ special classroom in incheon except for the researcher oneself and 4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ol development procedure and validity test. The return rate of the questionnaire was very high, about 96.4%. But, a total of 102 questionnaires were used, except for 6 questionnaires(All of the Type A) with 5 or more unanswered questions.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tatistics 24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of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first,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whom this policy applies was 214. This means that ea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take charge of average 2.1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1.9 average, participated in the actual free semester activity with their peers for more than one hour, and 1.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activities in the form of full inclusion. Second, the contents of participation were reported by all research participants(100%) for career search activity among 4 areas(career search activity, topic selection activity, arts and sports activity, club activity).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ther areas was reported to be over 70%. Specifically, invited lectures ranked first in career search activity(69.2%). And in the topic selection activity, personality education ranked first(35.1%). In the arts and sports activity and club activity, respondents who filled in the selected program directly in the other comments column were the most frequent. And Basketball(17.9%) and line dancing(12.8%) were ranked next. When it comes to special classroom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first, in the section on support for participation, they felt that special classroom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support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M=4.03). Regardless of wheth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they reported that the average of total importance of support contents that special classroom teachers can provide to the teachers in charge of each program was above the normal level(M=3.86). Specifically, collaborative consultation among teachers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M=4.13). Thi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upport contents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data from the A type respondents who have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the type A response data, it was analyzed that the importance was average 3.77 points, which was similar to the overall importance level, which was above the normal level.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was below the normal level(M=2.79).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at by the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importance. Second, in the section on outcome of participa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free semester activity was above the normal leve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M=3.55). Specifically, the level of inclusive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members were the most helpful achievements(M=3.67). Especially, the promotion of physical(temporal and spatial) and social integration were ranked 1 and 2 respectively. Third, in the section on needs for promot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ppropriate supports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e level of total needs was above the normal level(M=3.61), confirming the needs of the special classroom teachers for improving the free semester activity. Specifically, the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this activity was the most urgent area to be improved(M=3.89). Among them, social ability, daily communication ability, and support of problem behavior were required to be improved. In addition, strengthening collaboration with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programs for the free semester activity showed a high needs for improvement to support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Finally, among the participants' needs for promot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ppropriate supports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pplie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the teaching career experience, special class career experience,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the existence of assistant personnel, the existence of experience on the free semester system in the past). As a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experience and special class career experience variables. After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fully implemented in the general school in 2016,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perceptions on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which is the core part of this policy. Also, because it is based on a high return rate, it can be used as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general schools in incheon. Although there may be limitation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ther cities, it will be useful as a basic data to confirm the possibilities that wide rang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laced in general schools can be provided at the schools level with inclusive education beyond special classrooms along with, and the elements to overcome.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정의 8 1. 자유학기제 8 2. 자유학기활동 9 Ⅱ. 이론적 배경 10 A. 자유학기제 개관 10 1. 자유학기제 추진 배경 10 2. 자유학기제 추진 목적 및 방향 12 3.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및 운영 학기 13 4. 자유학기제 전반적 추진 절차 및 자유학기활동 운영 절차 13 5. 자유학기제 성과 평가의 주요요소 15 B. 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개관 20 1. 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개념 20 2. 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목적과 목표 25 3. 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법적 권리와 국가 등의 책무성 26 C. 통합교육과 연계된 장애학생의 자유학기제 참여지원 29 1. 통합교육과 연계된 자유학기제 시책 필요성 29 2. 통합교육과 연계된 자유학기제 시책 관련 시사점 고찰 30 3. 통합교육과 연계된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 전략 43 Ⅲ. 연구방법 56 A. 연구참여자 56 B. 연구기간 58 C. 연구도구 59 1. 연구도구 개발 절차 59 2. 연구도구 구성 65 D.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67 E.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68 Ⅳ. 연구결과 70 A.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현황 70 1. 자유학기활동 참여학생수 및 참여형태 70 2. 자유학기활동 참여내용 71 B.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 및 성과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 74 1.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에 대한 인식 75 2. 자유학기활동 참여성과에 대한 인식 77 3. 자유학기활동 참여증진 및 지원 내실화를 위한 개선요구 79 C.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교사의 개선요구 차이 84 Ⅴ. 논의 및 제언 85 A. 논의 85 1.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현황 논의 85 2.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지원 및 성과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 논의 88 3.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급교사의 개선요구 차이 논의 92 B. 연구의 의의 93 C. 연구의 제한점 95 D. 제언 96 참고문헌 98 부록 1. 설문조사 안내문 111 부록 2. 최종 설문지 112 ABSTRACT 121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852569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subject.ddc | 300 | - |
dc.title | 인천 지역 중학교 장애학생의 자유학기활동 참여현황과 참여지원 및 성과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Perceptions on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ree Semester Activity | - |
dc.format.page | viii, 124 p. | - |
dc.contributor.examiner | 박은혜 | - |
dc.contributor.examiner | 박지연 | - |
dc.contributor.examiner | 이숙향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 - |
dc.date.awarded | 2017.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