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한지연-
dc.creator한지연-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13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1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7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78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0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ternal education based on PALS(Play and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responsive parenting on play behaviors of infa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blind infants and there mothers. They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infants who have age less than 24 months at entry and have visual impairment, so they couldn't play well with there vision. This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three participan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There were three periods throught this research, which wa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maternal education consisted of explanation of PALS strategies and feedback about mother-infant play situation. Explanation of PALS strategies curriculum for mother provided a framework for the intervention with suggested four theme: a) sensitively responding for infants signals, b) introducing play and maintain and expanding, c) reading language and hand, d) apply to daily routine. Feedback provided to mothers consisted of mothers' self monitoring and interventionist's suggesting and planning play and strategies used for that play. Cause Feedback provided at the beginning the maternal education, mothers were implementing the play more often. Observations of play behaviors were conducted for every 10 seconds through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maintenance of effects had been assessed three times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had e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ed. First, all infants showed improved occurrence rate of play behaviors. Second, the improved occurrence rate of play behaviors had been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had end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시각은 발달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감각이다. 시각은 대량의 정보를 받아들이게 하며 순간적으로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어 다양한 감각 정보들을 통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영아기는 출생에서 3세까지의 발달을 말하며, 발달의 전 시기 중 발달이 가장 급속히 이루어지고,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선천적이거나 생애 초기에 발생하는 시각장애는 의학적으로 선별이 가능하며 시각의 결손은 단순히 시감각 발달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차적인 장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생애 초기에 교육이 시작되어야한다. 놀이는 영아에게 일상생활인 동시에 발달상태의 반영이며 사회, 정서, 인지발달을 위한 수단이다. 시력의 상실은 경험의 범위와 다양성, 이동 능력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제한을 가져오며 놀이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각장애 아동의 놀이는 일반 아동의 놀이보다 주변 환경과 사물을 탐색하는 활동이 적게 나타나고, 수동적이며, 반복적이고 틀에 박힌 단독놀이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또한 상징놀이와 역할놀이에 명백한 지연을 보이며, 놀이의 기회가 주어져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거나 반복적이거나 자기자극적인 행동에 몰두하고, 교사나 성인의 관심을 받을 때까지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따라서 시각장애 영아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영아의 행동을 반영하여 어떻게 놀이해야하는지 가르쳐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반응성 증진을 위한 놀이와 학습 전략 기반의 어머니교육이 시각장애 영아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A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 영아와 그 어머니 3쌍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 장소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내 영아가 속한 교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중재 구성은 어머니교육과 피드백으로 이루어졌다. 어머니교육은 4회기로 어머니의 반응성 증가에 효과적임이 증명된 놀이와 학습 전략 기반의 놀이 상호작용 전략을 기초로 시각장애 유아 놀이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영아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놀이를 소개하고 유지 및 확장하기, 말과 손으로 읽어주기, 매일의 일과에 적용하기를 주제로 하는 총 12개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어머니교육의 내용 전달은 전략의 설명과 구체적인 예시의 제공으로 이루어졌다. 피드백은 가정에서의 놀이 경험에 대한 질의응답과 등원 후 관찰한 어머니와 영아의 놀이 및 어머니의 전략 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점검 및 연구자의 조언으로 이루어졌다. 어머니교육을 시작함과 동시에 가정에서 놀이 실행을 격려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어머니가 가정에서 직접 실행하는 회기를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오전에 등원하여 어머니와 영아가 놀이하는 장면을 교사가 관찰하며 디지털 카메라로 녹화하여 10초 간격의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시각장애 영아의 놀이행동 발생률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세 명의 시각장애 영아 모두 어머니의 반응성 증진을 위한 놀이와 학습 전략 기반의 어머니 교육을 통하여 증가된 놀이행동 발생률이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를 통해서 어머니의 반응성 증진을 위한 놀이와 학습 전략 기반의 어머니교육이 시각장애 영아의 놀이행동 발생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이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은 시각장애 영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장애영아 및 부모교육의 대상을 확장하였으며, 영아가 어떠한 교육적 세팅에 배치되었어도 어머니가 적절한 어머니교육을 통해 영아에게 전략을 실행하여 영아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어머니교육의 형태로 조기개입을 시도하여 시각장애영아 부모 또는 조기개입 관련 종사자들에게 예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시각장애 영아와 놀이 6 1. 영아발달과 놀이 6 2. 놀이관련 연구 동향 8 3. 시각장애아 놀이 특성 11 4. 시각장애아 놀이 관련 선행연구 13 B. 어머니의 반응성 증진을 위한 교육 16 1. 시각장애아 부모의 지원 요구 16 2. 어머니의 반응성이 자녀의 놀이에 미치는 영향 18 3. 반응성 증진을 위한 놀이와 학습 전략(PALS) 20 Ⅲ. 연구방법 23 A. 연구참여자 23 B. 실험기간 및 환경 26 C. 실험설계 및 조건 27 D. 관찰 및 측정 39 E. 관찰자간 신뢰도 39 F. 중재충실도 42 G. 사회적 타당도 44 Ⅳ. 연구결과 46 A.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46 B. 놀이행동 변화의 유지 50 Ⅴ. 논의 및 제언 51 A. 논의 51 B. 연구의 제한점 55 C. 제언 56 참고문헌 58 부록 71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46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어머니의 반응성 증진을 위한 놀이와 학습 전략(PALS) 기반의 어머니교육이 시각장애 영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 maternal education based on PALS(Play and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responsive parenting on play behaviors of infants with visual impairment-
dc.format.pagei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