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2 Download: 0

Colaizzi 분석을 활용한 한식 조리교육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Colaizzi 분석을 활용한 한식 조리교육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inary Education using Colaizzi’s method : Focusing on the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Korean Food-Related Policy
Authors
최예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서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주도 한식정책 내 한식 전문 인력 양성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식 조리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추진되어온 한식 전문 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하였던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의 내용은 1) 한식 전문 인력 양성 관련 일반내용, 2) 정부주도 양성사업의 성과와 한계점, 3) 업계의 한식 전문 인력 수요 및 역량, 4) 종합 질문 순으로 진행되었다. Colaizzi 6단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7개의 주제군을 도출하였다. ● 주제군 1 : 한식조리 전문 인력 양성사업의 성과와 한계 ● 주제군 2 : 정부 지원사업이 나아가야할 방향 ● 주제군 3 : 교육 수행기관의 역할과 한계 ● 주제군 4 : 교육현장 개선 필요사항 ● 주제군 5 : 한식업계 현실 ● 주제군 6 : 한식업계에 필요한 변화 ● 주제군 7 : 한식조리 전문 인력의 자질요건과 전망 심층인터뷰 조사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7가지 주제군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식 전문 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15명(산업계 종사자 61명, 교육계 종사자 54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정부주도 한식조리 전문 인력 양성사업에 대해서는 제시된 8가지 사업 중 4가지에 대해 설문 응답자들은 50% 이상 인지를 하고 있었다. 응답자들은 한식조리 전문 인력 양성사업이 취업률 제고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교육계 종사자들이 더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 조리교육을 위한 방안으로는 한식분야 인적자원 관리체계 마련, 사후관리방안 강화, 그리고 한식전문 교육기관 운영지원 등이 상위권을 차지하였다. 한식 조리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질문에는 우수한 강사진 확보의 필요성에 유의적으로 찬성하였다. 한식산업계의 현황과 한식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변화로는 저임금, 장시간 근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으며, 8개의 제시된 항목 중 7가지에 대해 모두가 4점 이상(5점 척도 사용)을 부여하여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식조리 전문분야에 대한 비전이 약해 보인다는 서술에 대해 산업계와 교육계 모두 최하위 점수를 보여주었다. 심층인터뷰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한식 전문 인력 양성사업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 수립적 측면에서는 한식 조리교육 지원을 지속하고 그 방법을 다양화 해야 한다. 한식분야 해외 인턴의 선발과 교육, 파견지원 등 체험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한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예비 조리인력들에게 지속적으로 한식 조리교육을 공급하는 일도 정부주도로 지속되어야 함과 동시에 정부지원으로 양성된 한식 조리전문 인력에 대한 사후 조사 분석을 통한 정책에 대한 환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 공급적 측면에서는 한식 인적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한식을 주제로 융합되는 전문가 집단이 형성되고, 그 안에서 우수한 한식조리교육 교수 및 강사진이 배출되면, 한식 조리교육은 수요와 공급 나아가 취업으로의 연계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식 산업적 측면에서는 노동환경의 업계 자발적 변화가 시급하다. 노동집약적인 산업분야인 한식업계는 장시간 노동, 저임금 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해 왔다. 이제는 법정 근로시간 준수에 대한 노력, 적당한 노동의 댓가 지급 등 업계 스스로 혁신의 모습을 보여주어야만 한식 산업계의 미래를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한식 조리교육에 관한 정부의 지원은 지속되어야 하며, 교육계와 산업계가 적극적으로 맡은 바 역할을 충실히 함으로써,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한식을 계승 발전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그간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식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form part of the government-led Korean food-related policy and search for ways to improve Korean culinary educ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exper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n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were launched in 2009.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as as follows: 1) general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2)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led development project, 3) demand for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and their capabilities, and 4) comprehensive questions. Using Colaizzi’s six-step analysis method, we analyzed the interviews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seven major subjects: ● Subject 1: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 Subject 2: Futur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 Subject 3: Role of culinary training institutes and their limitations ● Subject 4: Necessary improvements in education ● Subject 5: Realities of the Korean food industry ● Subject 6: Necessary changes in the Korean food industry ● Subject 7: Requisites for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and their prospect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 created a survey that incorporated the seven subjec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and found a total of 115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n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61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field and 54 professionals working in culinary education) to complete the survey. Over 50 respondents were aware of four of the eight government-led Korean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cluded in the survey. Respondents, particularly those engaged in culinary education, agreed that the Korean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had helped raise the employment rate. The most popular methods for improving Korean culinary education included establishing a system for managing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of professionals after graduation, and supporting Korean culinary educational institutes.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culinary education, respondents strongly agreed on the need for outstanding faculty members. When asked about the realities of and improvements required in the Korean food industry, respondents expressed concerns about low wages and long working hours, with everyone giving scores of four, on a scale of one (strongly disagree) to five (strongly agree), for seven of the eight statements provided on the topic. On the other hand, both respondents working in the food industry and those in culinary education gave the lowest scores for the statement that suggested a lack of vision in the professional Korean culinary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Korean culina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irst,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for Korean culinary education should be maintained and diversified. It is also important to operate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s, involving the selection and education of foreign interns interested in the Korean culinary arts. Moreover,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take the initiative in providing Korean culinary education for prospective culinary professionals. Second, in terms of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network of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This would create a group of experts working under the umbrella of the Korean culinary arts and lead to the emergence of outstanding faculty and staff members skilled in the Korean culinary arts and, ultimately, the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of demand, supply, and employment in the Korean food industry. Lastly, in terms of the Korean food industr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voluntary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s a labor-intensive industry, the Korean food industry has maintained a system of long working hours and low wages for quite some time. Now, however, it is time for the industry as a whole to make efforts to comply with the national regulations on employee working hours and provide reasonable compensation for labor. Only when the Korean food industry shows such effort toward improvement will it become possible to forecast its future.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Korean culinary education must continue. In order to preserve and develop the traditional heritage and legacy of Korean food culture, the culinary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field of and providing education on the Korean culinary arts will need to actively work together to fulfill their roles. Since only a few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exist curr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inary profession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