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격조사 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격조사 표현 및 발화길이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격조사 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격조사 표현 및 발화길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 Case Marker Intervention Study on Case Marker (Grammar morpheme) Expression and Spoken Length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isorders in Preschool Age b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Authors
장경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disorders show a general language ability delays, particularly in the grammatical aspect, and show errors and delays in the development of grammatical morphemes. Recently, smart media device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are widely used as an educational device. Studies on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s by using smart media device and its effect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have been increasing. However, even in the language pathology and special education, communication interventions using various kinds of media device are being studied, fundamental research is inefficient to use smart media device due to its rapid progress. In this connection, studies on interventions targeted at specific grammatical morphem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or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in many countries except in Korea. There are more characteristic studies than interven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and the studies on the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preschool age are yet to see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1) the effect of grammar morpheme intervention of the case marker expression accuracy on the preschooler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b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This study, furthermore, (2) investigates generalization effect of untrained picture stimuli, (3) maintenance effect, and (4) the changes of mean length of utterance result from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r intervention. Session comprise 10 minute test, 30 minute training, and test is performed prior to training. Subjects took tests about trained case marker i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hase and untrained picture in training phase and generalization phase. In intervention phase, subjects were trained 2 times a week during 10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ice of the case marker expression with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was used as the intervention for the subjects. It is shown that the ability of the case marker expression accuracy of all 3 subjects has been improved.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was different for each subject, but the effect size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drew positive results for all three subjects. In addition, the subjects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the expression accuracy of the case marker during the intervention rather than the baseline level. Second, it showed the generalization of the case marker expression accuracy appeared in untrained picture as well. Therefore, the generalization effect presented as well. Third, maintenance phase started 4 weeks later when the intervention phase had done. On maintenance phase, all subjects showed maintained ability to expression accuracy of case marker. Fourth, the comparison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in terms of the spontaneous speech showed that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of morpheme (MLU-m)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of case marker expression accurac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ability of expression for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isorder in preschool age. ;최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미디어 매체가 교육 매체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 매체를 이용한 장애아동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의 중재 방법과 이와 관련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스마트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였을 때 아동들의 집중력을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며 스스로 학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정민경, 2015), 단어 그림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중재를 했을 때 보다 스마트 미디어 매체를 활용 했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이승훈, 2013; 신명숙, 2003). 그러나 언어병리학이나 특수 교육학에서도 각종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 방법이 연구되고는 있지만 빠르게 발전하는 스마트 미디어를 중재 도구로 활용하기에는 기초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또한 선행 연구들은 경도지적장애 또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중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단순언어장애를 대상으로 한 중재연구는 많지 않고, 특히 학령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는 많지 않다. 언어 능력에만 문제를 보이는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아동들이 일반 아동과 비교 하였을 때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 된 영역은 문법형태소 습득 및 산출과 관련 된 구문적인 측면이다(Leonard, 1998; Menyuk, 1993; Watkins & Rice, 1991). 특히 부사격 등의 조사의 표현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이정미 & 황민아, 2001). 이와 관련하여 국외에서는 언어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문법형태소를 목표로 중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중재 연구보다 특성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를 실시하여 (1)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격조사 표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및 (2) 훈련하지 않은 그림 자극에 대한 일반화 효과가 나타나는지 (3) 중재가 끝난 후에도 향상 된 격조사 표현 능력이 유지 되는지 (4) 격조사 중재가 아동들의 평균형태소길이를 증진 시킬 것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격조사 표현에 어려움을 보이는 단순언어장애 3명을 대상으로 중재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를 적용하여 5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매 회기는 40분씩 진행하였고, 각 회기의 수행력 데이터 수집에 대한 평가 10분, 격조사 표현 중재 30분으로 이루어졌다. 중재는 최대 20 회기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최대 회기 수를 채우지 않아도 다음 중재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는 준거를 설정하였다. 매 회기 실시한 검증에서 연속 3회기에서 80%이상 격조사 표현 정확도가 유지 될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격조사 표현 중재를 3명의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에게 실시 한 결과, 아동의 수행력의 증가 정도와 효과 크기(IRD)는 달랐지만 모든 대상 아동의 격조사 표현능력이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 크기는 대상아동 A의 처소격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아동C의 처소격에서 강한 효과 크기가 나타났으며 아동A의 도구격, 아동B의 처소격, 도구격, 아동C의 도구격에서 중간 크기의 효과 크기가 나타나 격조사 중재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아동들은 기초선 단계보다는 중재 단계에서 평균 격조사 표현 정확도가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초선과 중재 및 일반화 단계에서 실시하였던 일반화 평가에서 대상 아동 3명 모두 기초선 단계의 격조사 표현 정확도보다 중재에서 격조사 표현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선 및 중재 단계와 비교 했을 때 중재가 종결 된 후 실시 한 일반화 단계 평가에서 격조사 표현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가 진행 될수록 모든 대상 아동의 격조사 표현 정확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중재의 효과가 훈련 받지 않은 그림에서의 격조사 표현으로도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상 아동 모두 중재 단계가 끝나고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4주 간의 휴지기 이후에도 중재로 향상 된 격조사 표현 능력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아동 모두 중재 단계와 향상되거나 비슷한 수행력을 보여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도 격조사 표현이 유지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3명의 대상아동 모두 중재 전과 중재 후의 자발화를 비교해 보았을 때, 평균형태소길이(MLUm)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격조사 표현 중재가 평균형태소 길이를 증진시켜 발화길이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격조사 표현 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격조사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발화길이에도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격조사 표현 중재 도구로서의 효용가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문법형태소를 목표로 실시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에 대한 중재 연구가 적은 가운데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