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9 Download: 0
언어 유형과 음소배열확률이 비단어 따라말하기 및 빠른의미연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itle
- 언어 유형과 음소배열확률이 비단어 따라말하기 및 빠른의미연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Language Type and Phonotactic Probability o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Ability
- Authors
- 배경란
- Issue Date
- 2018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임동선
- Abstract
- 다문화 가정의 증가, 제 2언어 교육 과정의 개혁 등으로 단일 민족의 사회였던 한국 사회도 점차 글로벌 시대에 맞는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다. 언어발달 초기부터 두 언어에 노출되는 아동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중언어 아동의 교육 및 언어발달 등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두 언어에 조기 노출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이 가장 주된 관심인데, 이전에는 두 언어의 습득이 한 언어의 발달을 저해한다는 보고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두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오히려 아동의 인지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강세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언어를 습득하는 환경으로 이중언어 아동들이 언어발달 초기에 보이는 각 언어에서 부족한 어휘 및 음소 지각의 발달의 지연 등과 같은 단일언어 아동과는 다른 독특한 언어적 특성들은 정상 발달하고 있는 이중언어 아동들이 마치 언어발달지연이 있는 것으로 잘못 진단하는 결과로 종종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따라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능력을 정확히 측정하고, 단일언어 일반아동과 발달지연아동과 비교하여 수행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단일언어 아동의 언어적 경험의 자료를 표준화시킨 기존의 검사 도구들로 이중언어 아동들의 언어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언어적, 문화적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되는 언어 지식을 측정하여 비교하기보다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언어의 기저의 처리 과정을 측정하고 비교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언어 처리 과제 중 음운단기기억 능력을 측정하는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어휘 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빠른의미연결 과제는 기저의 처리 과정에 결함이 있는 언어발달지연아동들을 선별하는 유용한 진단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비단어를 자극어로 사용함으로서 언어의 경험적 지식이 미치는 영향이 적고, 언어를 습득하는 모든 아동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처리 과정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이중언어아동 집단에서 정상발달하는 일반아동과 언어발달지연아동을 구별하는 대안 방법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최근 기저의 언어 처리 능력을 측정하는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들이 다양한 집단을 편향 없이 평가하는데 모두 효과적인 것은 아니며, 과제의 실시 방법이나 비단어의 특성 등에 영향을 받아 수행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에서 아동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하는 여러 노력들이 시도되었으며, 여러 선행 연구에서 아동의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음절 길이, 이웃밀집, 조음복잡성, 단어유사성 등의 요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냈다. 그 중 단어유사성은 단어를 구성하는 소리 배열이 실제 언어의 음운 구조의 배열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단어유사성이 높은 비단어가 낮은 비단어에 비해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인다는 일관적으로 보고가 있어 왔으며, 빠른의미연결의 이해 단계에서도 높은 음소배열확률의 단어의 이점이 보고되었다. 이는 단어유사성이 높은 소리의 배열이 머릿속의 어휘 사전에서 유사한 음운 구조의 배열을 찾아 활성화시켜 음운 표상을 확립하고 저장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가 비단어 자극을 사용하지만 비단어가 실제 언어의 소리로 구성되기 때문에 언어 지식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에서 사용된 비단어의 위치별 두음소 배열확률을 계산하여 조작함으로서 단어유사성을 조절하였고, 모든 실험 과제를 한국어와 영어에서 실시함으로서 언어 학습 경험 즉 언어적 지식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과의 수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실험 과제의 수행과 다양한 변인(연령, 동작성 지능, 한국어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영어 수용 어휘력) 간, 각 실험 과제의 비단어 문항별 점수와 비단어의 음소배열확률 간의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지 분석함으로서 세 집단에서 각 실험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만 4-6세의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21명,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15명과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 15명, 총 51명이며, 모든 아동들에게 한국어, 영어에서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와 함께 한국어 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 홍경훈 ․ 김경희 ․ 장혜성 ․ 이주연, 2010)와 동작성 지능을 평가하는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 검사(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문수백 ․ 변창진, 2003)의 동작성 하위 검사들을 실시하였고,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영어 수용 어휘력 검사인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 4th Ed(PPVT-IV, Dunn & Dunn, 2007)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집단 간 단어유사성과 언어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 빠른의미연결의 이해 및 산출의 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 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 집단에서 각 실험 과제의 수행과 다양한 변인 간, 각 실험과제에서 비단어 문항별 점수와 비단어의 두음소 배열확률 간의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일반아동들에 비해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이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단어유사성 측면에서는 단어유사성이 높은 비단어에서 낮은 비단어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의 단어유사성이 높은 비단어에서 수행력의 증가가 단어유사성이 낮은 조건에서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과 단일언어 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이러한 단어유사성 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언어 측면에서는 한국어에서 영어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한국어에서 영어에 비해 단어유사성이 높은 조건에서 점수의 증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빠른의미연결의 이해에서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이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의 수행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언어 측면에서는 한국어에서 영어에서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집단에서 언어 간의 수행 차이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 간의 언어 간의 수행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단어유사성 측면에서는 단어유사성이 높은 조건에서 단어유사성이 낮은 조건에서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간,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 간의 단어유사성 간 수행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에 비해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이 단어유사성이 낮은 비단어에서 수행력의 저하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집단의 한국어에서 단어유사성 간의 차이가 영어에서 차이에 비해 유의하게 컸으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 차이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빠른의미연결의 산출에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의 수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보다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에서 영어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넷째,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은 한국어, 영어에서 비단어 따라말하기, 빠른의미연결의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수행와 다양한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은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한국어 수용어휘력 간에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은 한국어 비단어 따라말하기는 한국어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점수와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연령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어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세 집단 모두 비단어 문항별 평균 점수와 비단어의 두음소 배열확률 간에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영어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는 세 집단 모두 비단어 문항별 평균 점수와 비단어의 두음소 배열확률 간의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한국어 빠른의미연결의 이해에서는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과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집단이 비단어 문항별 평균 점수와 두음소 배열확률 간의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한국어 단일언어 발달지연아동 집단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영어 빠른의미연결의 이해에서는 세 집단 모두 비단어 문항별 평균 점수와 두음소 배열확률 간의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영어뿐만이 아니라 한국어 역시 음소배열확률의 영향을 받는 언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어, 영어의 음소배열확률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에서 수행의 차이는 다양한 집단에서 언어의 기저 처리 과정을 편향 없이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이 아동의 언어 학습의 경험을 영향을 받는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평가 및 치료에 이용할 자료를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며, 언어 유형과 두음소 배열확률이 언어 기저 처리 과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서 더 정밀하고 효과적인 자료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groups i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with controlled language type and wordlikeness, and looks at the effect of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word learning skill. Also, this research tries to investigate the cause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each experimental task in the three groups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various variables (age, IQ, Korea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English receptive vocabulary) and performance of experimental tasks, and between score per nonword item and phonotactic probability of nonword in each experimental task.
A total of 51 children between 4-6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1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15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15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All subjects were tested o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in both Korean and English, on Korea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on IQ, and additionally, those of the bilingual children were tested on English receptive vocabulary.
As a statistical processing, three-way mixed ANOVAs with group(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as a between-participants factor, and word likeness(high or low) and language type(Korean or English) as a within-participants factor were conducted for each experimental task.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find whether each experimental task performance is correlated with various variables (age, IQ, Korea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English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to look at whether score per nonword item is correlated with phonotactic probability of nonword in each experimental task.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monolingual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nonword repetition, compared to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and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language type, wordlikeness in the nonword repetition task. Two way interaction between wordlikeness and language was also significant.
Second, for the comprehension probes in fast mapping task, the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a significant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Also, main effect of language and wordlikeness was significant. Two way interaction between wordlikeness and group, language and group were also significant, as well as third way interaction between language, wordlikeness and group.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 mapping production probes between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bilinguals and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but Korean monolingual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 low performance than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Also, main effect of language was significant.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performance of each experimental task and various variables for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nonword repetition and Korean receptive vocabulary. The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Korean nonword repetition and Korea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age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lso, the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nonword repetition and age.
Fifth, all three group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verage score per nonword stimuli and biphone probability of nonword in Korean nonword repetition.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 bilinguals and the normally developing Korean-English bilingual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score per nonword stimuli and biphone probability of nonword in Korean fast mapping comprehension probes, but the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did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all three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verage score per nonword stimuli and biphone probability of nonword in English nonword repetition and English fast mapping comprehension prob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t only English but also Korean is the language affected by phonotactic probability. Also, the performance difference i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task depending on phonotactic probability of English and Korean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task, known to be able to measure the language-based processing tasks without bias, reflects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Thu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making materials for evaluation and therapy of bilingual children in the future, and in developing more precise and effective materials considering the effect of language type and biphone probability on language-based processing.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