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6 Download: 0

근거이론으로 분석한 대졸 청년구직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과정

Title
근거이론으로 분석한 대졸 청년구직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과정
Other Titles
The recovery process from psychological trauma of young job-seeker –university graduates analyzed by grounded theory
Authors
김혜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본 연구는 대졸 청년구직자들의 반복된 취업실패와 좌절경험의 독특한 특징을 탐색하여 심리적 외상의 회복과정과 성장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 및 교육현장에서 설명, 해석, 예측, 적용 가능한 대졸 청년구직자의 심리적 외상의 회복과정에 관한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이론적 및 개념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1차적으로 선정한 총 54명의 청년구직자중 최종적으로 선정한 만20~34세 미만의 대졸 청년구직자 15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총 27회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이론적 표본 추출과정을 거쳐 분석하였으며 총 3단계의 분석과정을 통해 점차 추상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 245개의 개념, 54개의 하위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코딩의 결과로서 대졸 청년구직자의 심리적 외상의 회복과정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고, 과정분석을 통해 대졸 청년구직자의 외상경험 이후 회복 단계를 제시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대졸 청년구직자들이 실업상황에서 느끼는 고통스러운 정서와 그 고통을 가중시키는 가시적인 증상들로 드러났다. 도출된 3개의 범주는‘기존의 가치관과 삶의 신념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혼란스러움, 보편적 기준에 포함되지 못하는 루저라는 자기 비하적 사고와 침체된 정서, 맹목적인 구직활동으로 인한 심리적 및 신체적 소진’으로 확인되었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대졸 청년구직자들이 현재 경험하고 있는 반복적인 거절, 실패, 좌절의 부정적 경험, 부정적 정서, 실업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어려움으로 드러났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실업상황에서 누적되는 좌절경험과 반복되는 실패의 재경험, 현재 취업시스템에 대한 답답함과 분노, 취업경쟁과정에서 비교를 통해 형성된 열등감, 암담한 현실인식과 경제적 빈곤’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모두 사회적 또는 개인적 인식에 의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들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은 사회적 고정관념과 편견이였으며 구직자로서 스스로 인식하게 되는 사회적 위치와 존재감에 대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출된 3개의 범주는‘붙은 자와 떨어진 자로 구분되어지는 인간으로서 무시된 존재감, 소속이 없는 대졸 청년구직자라는 소외된 사회적 위치, 취업성공 기준이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는 경직된 사회 분위기’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심리상담 과정에서 실제적인 변화의 경험, 새로운 깨달음, 자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드러났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심리상담을 통한 자기회복과정 경험, 의미 있는 삶의 가치와 내적욕구 발견, 선천적으로 부족한 사람이 아니라는 자신의 가치에 대한 재인식, 구직기간을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하며 삶에서 성공의 의미를 재인식’으로 확인되었다. 외상경험에 대처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행동적 시도와 인식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접적인 행동은 인식의 변화보다 더 높은 비중으로 심리적 회복을 이끄는 것으로 드러났다.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생각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시도와 우연한 기회를 활용한 적극적 대처 행동은 심리적 회복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으로 확인되었다. 도출된 4개의 범주는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이고 자신을 고립시키는 것을 멈추기 시작함, 깊은 정서적인 교감이 가능한 관계 장면에서 자신을 노출시킴, 진로 타협수준을 정하되 노력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긍정성 신장, 우연을 놓치지 않고 또 다른 기회로 적극 활용함’으로 확인되었다. 전략을 수행하여 나타난 결과는 회복과정을 통해 행동, 경험, 변화, 수용, 인식, 정서 영역의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출된 6개의 범주는 ‘자신에게 의미 있고 내가 원하는 일에 열정을 쏟음, 현재의 상황을 숨기지 않고 당당하게 타인에게 드러냄, 자기비난을 줄이고 바꿀 수 없는 과거와 사실에 집착하지 않음, 가장 나다운 삶을 위한 진로 목표를 설정한 후 활력 있게 추진함, 개인의 이익을 넘어 사회에 기여 할 수 있는 소신 있는 가치관 형성, 도전과 실패 과정의 담담한 대처 이면에 여전히 남아있는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에서 나타난 총 6단계의 과정은 대졸 청년구직자들의 외상경험 이후 시간에 흐름에 따라‘혼란의 단계, 갇힘의 단계, 추스름의 단계, 새로운 시도의 단계, 내적 세계관 재정립의 단계, 소신의 단계’로 확인되었다. 각각의 과정이 그 다음 단계의 과정을 이끌며 순차적으로 심리적 회복을 이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 분석 단계인, 선택코딩 과정에서 연구 전체의 중심이 되는 하나의 통합적인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후 이야기 윤곽을 통해 핵심범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최종 도출된 대졸 청년구직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 모형으로 ‘부정의 고비를 넘어 긍정성과 우연기회를 통한 열정 형성 과정’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반복된 취업실패와 좌절의 재경험을 외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우리나라의 특징적인 사회적, 문화적, 개인적 맥락의 요인이 이들의 외상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실업이라는 커다란 사회문제에 가려져 소외되었던 개개인의 목소리를 통해 생생하게 그들의 삶과 이야기를 근거로 심리적 회복과정의 이론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후 대졸 청년구직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상담적·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peated failures and frustrations which young job-seekers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ir recovery process and growth from psychological trauma. Based on this result, it is to develop a theory explaining actual theory related to recovery process from psychological trauma of young job seekers, university graduates, which can be used in describing, analyzing, predicting and applying in counseling and training field. 15 university graduates among the total of primarily selected 54 young job-seekers from 20-year-old to 34-year-old were finally recruited by a theoretical/conceptual sampling method. Data was collected via 27 times of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process using a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 through three phases of analysis process with gradually increasing the abstraction. As a result, first, 245 concepts, 54 sub-categories, and 24 categories of major themes were finally drawn in the open-coding step. Secondly, as the result of axis-coding, paradigm model for recovery process from psychological trauma of young college-graduate job-seekers was suggested and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the recovery phase after their traumatic experiences was suggested. The central phenomenon of paradigm model was demonstrated as the visual symptoms for painful emotions which college-graduate job-seekers experience during unemployment situation and which increases that pain. Confirmed three categories were drawn as following: ‘confusion with the existing values and the life-long beliefs’, ‘self-depreciating thoughts and emotions leading them to feel excluded from the universal standards and world’ and ‘mental and physical deprivation due to blind job-seeking activities’ The causal conditions which caused the central phenomena were revealed to be repeated rejection which young college-graduate job-seekers currently experience, failure, negative experience of frustration, negative emotion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which can occur within unemployment situation. The four categories were drawn as following: ‘repeated experience of being rejected and failures which accumulates in unemployment situation’, ‘frustration and resentment towards a current employment system’, ‘inferiority complex created by comparison within competition’, ‘awareness of dark reality and economic hardship’.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central phenomena were revealed to be all due to social or personal awareness, and which worsens their pain were social stereotype and prejudice – how one recognizes one’s social standing and existence as job-seeker. Three categories were found as following; ‘one’s neglected identity as a human being as only differentiated to be the one who ’passed’ or ‘failed’, ‘an isolated position who has nowhere to belong to as young job seekers’, and ‘a paralyzed social atmosphere which implicitly fixes the baseline for successful employment’. The intervening conditions promot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vealed to be experience of actual change within counseling process, new enlightenment and change in self-recognition. Four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ing; ‘experience of self-recovery process through counseling’, ‘discovery of meaningful life values and intrinsic desires’, ‘recognition of one’s own value and self-awareness of oneself being ‘good enough’ and ‘understanding job-seeking period from a new perspective to re-acknowledge the meaning of success in lif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ponding to traumatic experiences were demonstrated to be changing perspectives and behavioral attempts. Especially, the direct behaviors were revealed to lead psychological recovery in larger amount than changes in perspective. Active responsive behaviors based on positive recognition using various attempts and coincidental opportunities rather than remaining on thoughts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strategies. Four categories were found as following; ‘reducing time spent alone and stopping one’s own isolation’, ‘exposure to the relationship scene where deep, emotional interaction would be possible’, ‘increasing the positive attitude of feeling confident to improve oneself through efforts even though compromising point can be set’, and ‘taking advantage of given opportunity and to actively use it to the maximum benefit’. The consequences from carrying out these strategies were revealed to lead various changes through recovery process in areas of behavior, action, change, acceptance, recognition, and emotion. Six categories were analyzed as following; ‘passion for meaningful and self-fulfilling tasks’, ‘confidently sharing my current status with others’, ‘reducing self-criticism and not clinging to the past and facts which cannot be changed’, ‘vigorously practicing the set career goal for a life that represents oneself most effectively’, ‘establishing career value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beyond one’s individual interests’ and ‘still remaining fear behind the calm response within the process of challenges and failures’. The total six step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analysis were identified to be,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stage of confusion, stage of depression, stage of ‘getting oneself together’ stage of new challenge, stage of re-establishing internal values, and stage of conviction. Each step leads to the next one while it draws psychological recovery in order. During the last stage of analysis – selective coding process – one integrated core category, the center of the whole study, was discovered to assist better understanding in the core categories through this frame. ‘the process of creating harmonious passion using positive attitude and opportunity, beyond the crisis of negativity’ was suggested as the finally drawn psychological trauma recovery model of young college-graduates job-seekers. Through this study, empirical evidence for analyzing repeated failures and depression as a trauma. Also, the effect of contextual-social, cultural and family- conditions in Korea on their traumatic experience was confirmed.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drew a theory explaining psychological recovery process based on their life stories through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who were covered behind the huge veil of ‘societal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young job-seeke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