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당류 저감 음료의 효과적인 당류 저감 정보 제공 방법

Title
당류 저감 음료의 효과적인 당류 저감 정보 제공 방법
Other Titles
An effective method to provide sugar reduction information of a sugar reduced beverage : Focusing on Food Related Lifestyle and Eye tracking experiment
Authors
안세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미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ptimal sugar reduction information type and position to effectively provide information to consumers.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800 Korean consumers from 20 to 59 to find out an optimal type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conducted eye tracking experiment with 50 Korean customers from 20 to 39 who mainly consumed the beverage. The main results of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Food Related Lifestyle, four factors were extracted : taste seeking factor, health seeking factor, economical seeking factor and rationality seeking factor. With the factor scor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gment consumer. Cluster 1 was classified as ‘Economy Seeking group’, which more considers economy seeking factor rather than taste seeking factor and health-seeking factor. Cluster 2 was named as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which showed higher tendency in all food related lifestyle factors, and Cluster 3 considered taste seeking factor the most so classified as ‘Popularity Seeking Group’. Cluster 4 was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which showed lower tendency to all factors than other groups. Four factors of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Each factor was named information factor, trust factor, price factor, and sensation fact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information factor (p<.001), trust factor (p<.001), price factor (p<.001) and sensaton factor (p<.001) depends on Food Related Lifestyle.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trust factor in the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the Economy Seeking group, the Popularity Seeking Group, and the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To compare the awareness and health degree scores, ANOVA F-tests were used. One-way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p<.001) and health degree perception (p<.001), attitude (p<.001), liking (p<.001), purchase intention (p<.001), willingness to recommend (p<.001) of sugar reduced beverage according to Food related lifestyle. These variables were the highest in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than other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who couldn't aware of sugar reduced beverage was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in the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To analyze consumption behavior of sugar reduced beverages, a chi-square test was used. Consumption experience was the highest in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and the lowest in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Also,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001) when the price of sugar reduced beverage was higher than that of beverage which did not decrease sugar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Economy seeking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001) who didn’t want to buy an expensive sugar reduced beverage than normal beverage. The awareness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od Related Lifestyl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od Related Lifestyle, awareness of sugar contents of beverage (p<.001), awareness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p<.001), whether sugar reduction information had an influence on purchase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ercentage who was aware of the sugar contents was the highest in the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and the percentage who was not aware of the sugar contents was the highest in the Popularity seeking group. In all Food Related lifestyle groups, most of the consumers didn’t perceive sugar reduction information, but the ratio of consumers who were aware of it was the highest in the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and that of consumers who were not aware of it was the highest in the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Consumers who replied that sugar reduction information had an effect on the purchase were the most in the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while those with the lowest rate were analyzed as Popularity seeking group. The most preferred type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in all Food Related Lifestyle groups appeared as a graphic type rather than a phrase type, and the Popularity seeking group more preferred the graphic type compared to other groups (p<.01).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describing the reduction rate is the most preferr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information on sugar reduced beverage was drawn as ‘Reduce sugar contents by 00%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Food Related Lifestyl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beverages selection attributes. Second, the effect of Food Related Lifestyle on the attitude toward sugar reduction inform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ird,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sugar reduction information on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was found that sugar reduction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Fourth, beverage selection attributes on the attitude toward sugar reduction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ifth, the attitude toward sugar reduction information on the attitude to sugar reduced beverage and showed a very positive effect. Sixth, the attitude toward sugar reduced beverag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ugar reduced beverages. The main results of are as follows. Eye movement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about the type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Dwell time, fixation time, First fixation time, and average fixation time were significantly longer (p<.001) for the graphic types. In addition, the dwell rate and fixation rat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hrase type (p<.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ye movement for the sugar reduction information type by beverage, it was found that dwell time, dwell ratio, fixation time, fixation ratio, first fixation time and average fixation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graphic types were given in all beverage group.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graphic informa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all beverage groups. To draw optimal position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eye movements were analyzed. The position which had the shortest entry time were upper left, but the position where the dwell time and fixation time were longest, and the dwell ratio and fixation rate were the highest was the upper right. The result of self-reported survey after experiment also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position was upper right. Heat map of eye movement depends on the position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showed that the fixation time was longer in 20s than 30s, and the fixation time was longer when the information was located at the upper right than the upper left. Statistical analysis of eye movements and the heat map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location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was the upper right. Recently, interest and anxiety in health are increasing and consumers pursue premium processed foods. In response to these consumers’ needs, sugar reduced beverage have been developing.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appropriate labelling system that suggest optimal type and position of sugar reduction information for sugar reduced beverage.;본 연구의 목적은 당류 저감 음료의 최적 정보 유형과 위치를 조사하여 당류 저감 음료의 정보가 음료 구매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당류 저감 음료의 최적 정보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인 20대부터 50대까지 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연구 2>는 당류 저감 음료 정보의 최적 위치를 도출하기 위해 음료 주 고객인 20대부터 30대 50명을 대상으로 시선 추적 (eye tracking)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1>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당류 저감 음료의 구매 태도와 행동’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어, 각각 미각추구요인, 건강추구요인, 경제성추구요인, 합리성추구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1은 미각추구요인과 건강추구요인보다는 경제성추구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성추구집단 (Economy Seeking group)’, 군집 2는 다른 군집보다 모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대해 높은 경향을 보인 ‘식생활 고관심집단 (High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 군집 3은 유행&미각추구요인을 중요시하는 ‘유행추구집단 (Popularity Seeking group)’, 군집 4는 다른 군집보다 모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대해 낮은 경향을 보인‘식생활 저관심집단 (Low interest in Food Related Lifestyle group)’으로 도출되었다. 음료 선택속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은 정보요인, 신뢰요인, 가격요인, 감각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정보 요인 (p<.001), 신뢰요인 (p<.001), 가격요인 (p<.001), 감각요인 (p<.001)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생활 고관심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신뢰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경제성추구집단, 유행추구집단, 식생활 저관심집단은 감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당류 저감 음료에 대한 인지도 (p<.001), 건강 정도 인식 (p<.001), 태도 (p<.001), 기호도 (p<.001), 구매의사 (p<.001) 및 추천의도 (p<.001)에 대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생활 고관심집단이 경제성추구집단, 유행추구집단, 식생활 저관심집단에 비해 인지도와 건강 정도 인식도, 태도 및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식생활 저관심집단은 당류 저감 음료를 인지하지 못하는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당류 저감 음료의 구매 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당류 저감 음료에 대한 섭취 경험 (p<.001)과 가격 향상시 구매의사 (p<.001)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당류 저감 음료의 구매 행동은 식생활 고관심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며, 섭취 경험은 식생활 저관심집단에서 가장 낮았고, 가격 향상에 따른 구매 의사는 경제성추구집단에서 가장 낮았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당류 저감 정보에 대한 인지 여부에 대해서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 별로 음료의 당 함량에 대한 인지 여부 (p<.001), 당류 저감 정보에 대한 인지 여부 (p<.001), 당류 저감 정보가 구매에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 (p<.001)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생활 고관심집단에서 음료 당 함량에 대해 인지하는 소비자 비율이 가장 높았고, 유행추구집단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소비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모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집단에서 당류 저감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식생활 고관심집단에서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식생활 저관심집단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소비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당류 저감 정보가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소비자 비율이 가장 높았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은 식생활 고관심집단이었으며, 비율이 가장 낮았던 군집은 유행추구집단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서 가장 선호하는 당류 저감 정보 유형은 문자보다는 도식으로 나타났으며 유행추구집단이 다른 군집에 비해 유의적으로 도식을 선호하였다 (p<.01). 특히 기존 제품 대비 당 저감률을 기재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가장 효과적인 당류 저감 음료의 정보는 도식으로 ‘기존 제품 대비 당을 00% 줄인’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음료 선택속성에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당류 저감 정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당류 저감 정보가 음료의 정보 요인, 신뢰 요인, 가격 요인, 감각 요인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음료 선택 속성이 당류 저감 정보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당류 저감 정보에 대한 태도가 당류 저감 음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 회귀 분석한 결과 매우 유의적인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당류 저감 음료에 대한 태도가 당류 저감 음료의 구매의도에 대하여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2>의 ‘당류 저감 음료의 최적 정보 제공 방안’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류 저감 정보 유형별로 시선 운동을 분석한 결과, 도식에 대한 체류 시간과 총 시선 고정 시간, 최초 시선 고정 시간, 평균 시선 고정 시간이 유의적으로 길었다 (p<.001). 또한 체류 비율과 총 시선 고정 비율 역시 문자보다 도식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001). 음료 별 당류 저감 정보 유형에 대한 시선 운동을 분석한 결과, 모든 음료군에서 도식으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체류 시간, 체류 비율, 총 시선 고정 시간, 총 시선 고정 비율, 최초 시선 고정 시간, 평균 시선 고정 시간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모든 음료군에서 도식으로 정보가 주어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 저감 정보의 최적 위치 도출을 위해 시선 운동을 분석한 결과, 당류 저감 정보에 시선이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가장 짧은 위치는 왼쪽 상단으로 나타났으나, 체류 시간, 총 시선 고정 시간이 가장 길고 체류 비율, 총 시선 고정 비율이 가장 높았던 위치는 오른쪽 상단이었다. 또한,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가장 선호하는 위치를 조사한 결과 오른쪽 상단으로 조사되었다. 당류 저감 위치 별 히트맵을 분석한 결과, 20대가 30대보다 더 당류 저감 정보에 시선 고정을 더 오래 하였고, 왼쪽 상단에 정보가 위치할 때보다 오른쪽 상단에 위치할 때 더 시선 고정이 오래 나타났다. 시선 운동의 정량적인 데이터와 히트맵 분석 결과, 당류 저감 정보의 가장 효과적인 위치는 오른쪽 상단으로 도출되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염려가 증가하며, 점차 프리미엄 가공식품을 추구하는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여 추후 당류 저감 음료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당류 저감 음료에 당류 함량을 줄인 표기를 위한 적절 표기 방법과 효과적인 표기 위치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