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8 Download: 0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읽기 처리과정 분석

Title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읽기 처리과정 분석
Other Titles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processing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using eye tracker
Authors
강시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세상에 있는 수많은 정보 중,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고 습득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읽기란 단순히 시각적 자극인 글자 보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숨은 정보를 추론해내는 복잡한 과정이 요구된다. 즉, 글을 읽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자적 의미 이상의 것을 이해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 비판적인 사고과정이 필요하다(서선진, 2008; Westby, 2005). 특히, 읽기 능력은 대부분의 학습자료가 읽기 자료의 형태로 되어있는 학령기에 가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읽기 능력의 결함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화되고(Cain & Oakhill, 2007),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은 학업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서흥욱, 2002).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세 가지 질문 유형(사실적 정보 이해,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으로 나누어 분석한 연구에서는(Bishop & Adams, 1992; Cain & Oakhill, 1999)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추론에서 특히 어려움을 보인다고 말한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낮은 읽기 이해력이 명시된 정보를 습득하는 단순한 차원에서부터 비롯되는지 혹은 정보를 저장하고 자신의 지식과 통합하는 높은 수준의 인지처리과정의 결함에서 나타나는지 분석함으로써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 중재에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할 것이라 기대한다. 최근, 기술과 장비의 발달로 독해 과정의 시선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읽기 능력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선의 움직임은 독자의 뇌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 과정을 반영하기 때문에(박영민, 2012) 독해 과정에서 단순언어 장애 아동이 보이는 처리과정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효과적으로 판별하고 중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읽기 능력이 어휘, 개인의 배경지식, 제한적인 처리 능력, 언어 발달의 기저로 알려진 작업기억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는지에 대한 연구도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재에 어떠한 변수를 적용하고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가에 대한 임상적 의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읽기 처리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을 질문의 유형별로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한 후,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어휘력, 읽기 처리과정, 작업기억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12명과 일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집단 별 읽기 처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피험자의 안구 운동의 움직임을 측정하였고, 집단 간 이야기 읽기 이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 질문 유형으로 구성된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다양한 과제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와 두 개의 작업기억 과제를(숫자 거꾸로 따라 말하기, 매트릭스)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이야기 읽기 처리과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일반선형모형을 실시하였고, 질문 유형에 따라 살펴본 이야기 읽기 이해력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어휘능력 및 작업기억, 읽기 처리과정 간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읽기 처리과정을 분석한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 시간과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시간, 총 시선고정 시간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어휘와 문장을 읽고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과정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더 오랜 시간이 걸렸음을 의미한다. 또한 시선고정이 일반 아동에 비해 자주, 오랜 시간 동안 발생한 것을 토대로 비효율적인 처리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특성 중 하나인 낮은 어휘능력으로 인해, 더 많은 어휘에서 정보처리 과정이 필요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 같은 결론은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독자일 경우 시선고정 횟수와, 시선고정의 시간이 길어진다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여(Lefton et al., 1979; Rayner et al., 2006; Inhoff & Weger, 2005; 고성룡 외, 2010; 박영민, 2012) 국내의 시선 읽기 연구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야기를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 세 영역으로 나누어 대상자의 시선 흐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이야기의 전반부에서 전체 주시 시간의 53%를, 중반부에서 29%를, 후반부에서 18%를 할애하였다. 이와 같은 수치는 일반 아동이 전반부에서 41%, 중반부에서 33%, 후반부에서 26%를 할애한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이야기의 전반부에서 절반 이상의 읽기 시간을 할애한 반면, 후반부에는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력이 떨어져 읽기가 제대로 이루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이 같은 특성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추론 과제뿐만 아니라 사실적 정보에서도 어려움을 보인 이유를 설명해준다. 질문유형에 따른 이야기 읽기 이해력을 분석한 결과, 그룹에 따른 주효과, 질문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두 집단 모두 사실적 정보 이해,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집단과 질문 유형 간 이차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모든 질문 유형에 대한 집단 간 이해력의 차이가 비슷하게 나타난 결과이다. 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추론 능력에서 특히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Ellis Weismer, 1985; Merritt & Liles, 1987; 윤혜련ㆍ김영태, 2005)와는 다른 결과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추론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정보를 습득하는 낮은 수준의 처리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보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빠진 정보 추론에서 가장 낮은 이해력을 보였다는 표면적인 근거로 중재의 목표를 추론에 초점을 맞춘다면 적절치 못한 목표일 것이다. 연구에서 보여준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사실적 정보 이해에서도 일반 아동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행을 보였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추론에서 낮은 수행을 보인 것은 일차적으로 명시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낀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추론 능력 중재에 앞서 이야기에 명시된 내용을 파악하는 중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동의 읽기 능력을 섬세하게 파악하여 아동 개개인의 수행수준을 근거로 중재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임상적 의의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읽기 이해력과 어휘력, 작업기억, 읽기 처리과정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숫자 거꾸로 따라 말하기와 읽기 이해력 사이에 매우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읽기 시간, 시선고정 횟수, 총 시선고정 시간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휘가 읽기 이해력을 설명하는 변인이라는 선행연구와 같으며, 독해에 능숙한 독자가 시선고정 시간과 횟수가 적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즉, 읽기 시간이 빠르고, 시선고정 횟수가 적으며, 평균 시선고정 시간이 짧을수록 이야기 읽기 이해력이 높게 나타났다. 언어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파악하고, 낮은 읽기 능력의 변인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독자가 어떻게 글을 읽는지에 대한 현상적이고 실제적인 정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글을 읽는 과정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아동 수준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 및 배열하고, 아동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과정의 처리과정을 분석하고 읽기 이해력을 담화수준에서 평가하였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중재에 있어 읽기 상황에서의 처리과정을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제한적인 연구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연구를 통해, 중재에 있어 아동의 현행 수준을 적절히 평가하고 글의 난이도와 판단 과제의 난이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Accurate and efficient reading abilities are necessary ability to find and acquire information amo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Especially in school age, reading ability is more important because most learning materials are reading materials. As the grade rises, the reading deficits become more intense (Cain & Oakhill, 2007) and the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ability become difficult to learn. The analysis of whether the low reading comprehension of a child comes from a simple level of acquiring the specified information or from a high level of cognitive processing defects that integrate and store information is helpful for reading medi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also examined the deficiencies in the reading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and compared them with the normal children.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grasp the reading ability by grasping the movement of the pupil in real time in reading situation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quipment. Because the movement of the pupil reflects the cognitive process that takes place in the brain of the reader (Park, 2012), it is possibl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imple language-impaired children in read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reading process and differenc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using eye tracker. Research on how reading ability correlates with vocabulary, personal background knowledge, limited processing ability, and working memory, which is known as the bases of language development, is also actively underway at home and abroad. Correlation analysis may provide a clinical basis for what variables should be applied to mediation and where appropria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reading characteristics in reading process, and working memor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 Specific Language Disorder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groups, three kinds of qu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process by group, eye On the other h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fixation time are negatively correlated.tracker was used to measure the movement of the pupil. In addition,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task, we conducte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backward digit span, and matrix.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had significantly longer time to read story than normal children, and the mean of fixatio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The total number of fixation times and total fixation tim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Secon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tasks than those in normal children, and showed lower performance in all three types of questions. The two groups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literal information comprehension, and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the order of text connect inference and missing information inference Third, the reading comprehen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digit backward span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On the other h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time, number of fixations, total fixation times are negatively correlated. In this study, we used eye tracker to analyze reading process by focusing on fixation. However, the variables of reading process obtained through the eye tracker are very much in addition to fixation.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reading proces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ill lead to meaningfu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of reading proc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a narrative task at the level of reading ability to evaluate the reading ability and that it is one of the few domestic studies evaluating the reading characteristics using the eye tracker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