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한국 아동놀이정책 수립을 위한 진단

Title
한국 아동놀이정책 수립을 위한 진단
Other Titles
Diagnosis for establishing public policy for children's play in Korea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play policy between Korea and the UK
Authors
이성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놀이는 중요하다. 호이징어(Huizinga, 1938)는 놀이와 유희를 인간의 본질로 정의하면서 종교, 법률, 경기, 전쟁, 철학, 예술 등 다양한 것들, 즉 인간의 문화가 놀이로 부터 비롯되었으며 이 모든 것은 자유로움, 실제로부터 벗어난 것 등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19세기 자본주의 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놀이정신이 사라진 현대사회의 아동들은‘놀이를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어른들에 의해 양육되고 있다. 그러나 놀이행동은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인간의 삶에 있어 훨씬 더 중요한 요소로, 특히 아동에게 놀이는 삶 그 자체(Rogers &Sawyer, 1988)라 일컬어질 뿐 아니라, 신체·인지·언어·사회·정서 등 발달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적, 생물학적 중요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현실은 산업화, 도시화, 학습위주의 생활패턴으로 인한 놀이시간의 감소, 멀티미디어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실내 활동의 증가, 놀이경험이 부족한 어른들의 놀이 가치에 대한 신념부족 그리고 놀이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 다양한 원인으로 아동의 놀이기회가 감소되고 있다. 아동기 놀이결핍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지적되는 문제인 가운데, 한국정부도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2015년 한국 최초의 통합된 아동정책인‘제1차 아동정책기본계획’의 주요 정책과정에‘제1차 아동 놀이정책수립’을 포함, 아동 놀이결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런데 그 간의 한국 아동정책은 과학적인 분석과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하는 아동정책지표를 근거로 설계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보편적인 아동의 욕구와 희망이 반영되지 못한 정책목표와 운영으로 수요자인 아동의 불만을 누적시켜 왔으며, 결국 OECD 아동 행복지수 6년 연속 최하위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아동의 놀이를 정책으로 채택·시행하고 있는 한국 아동놀이정책과 영국 국가놀이전략의 개발과정과 내용을 수요자 중심의 정책개발 이라는 관점으로 비교 분석 함으로써 한국 아동놀이정책 개발의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놀이를 아동복지정책의 의제로 선택하여 개발·운용함에 있어 현재의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접근방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아동의 특성에 대한 이해, 놀이행동, 놀이 시 충족되어야 하는 욕구, 바람 등과 같은 비합리적인 인간의 욕구를 이해하여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서비스디자인 방법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정책 개발에 효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정량적인 접근방법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이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수요자인 아동과 가족의 목소리가 정책을 통해 실현되면 새로운 경험가치가 창출되고 수요자의 정책에 대한 신뢰와 정책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하게 될 것이다. 수요자 중심의 리서치가 강화된 디자인 방법인 서비스디자인 방법은 정책의 수요자인 아동과 가족의 욕구와 희망을 실현시키는 데 효용성을 발휘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아동놀이정책을 포함한 모든 국가정책이 수요자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환기시키고 정책에 수요자를 참여시킬 새로운 방법으로 서비스디자인 방법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앞으로도 국가정책개발에 서비스디자인 방법이 도입되는 연구들이 지속되기를 바란다.;Play is important. Huizinga defined play and entertainment as part of human nature, and argued that religion, law, games, wars, philosophy, arts etc., in other words, human culture has its origins in play, and all these share common attributes such as freedom, getting away from the reality(Huizinga,1938). In the absence of the spirit of play brought about by the advent of capitalist society in the 19th century, children of the modern world are raised by adults, who think of play as something‘not really critical'. However, play is a much more critical element in human life than they think, and particularly for children, play is not only life itself(Rogers&Sawyer,1988), but also has huge development a land biological importance, affecting across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in terms of body·cognition·language·society·emotion etc. Nevertheless,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n ongoing decline in children’s opportunities to play due to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reduced time to play driven by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study-oriented lifestyles, increased indoor activity caused by excessive use of multimedia, lack of belief in the value of play by adults without much play experience, and misguided perception of play. With the play deficit in childhood cited as a global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matter, announced it would come up with a policy to address the problem of the play deficit, including its effort to include the ‘First Children’s Play Policy in the‘First Master Plan for Children’s Policy in 2015’, the first ever integrated children’s policy’ in Korea, to guarantee the children’s right to play.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Korean government policy for children was designed based on the Children’s Policy Index supported by scientific analyses and accurate statistics, large part of common wishes and desire of children has failed to be reflected in policy goals and execution, increasingly causing dissatisfaction of children, the ‘customer’ of the policy, and as a result, Korea ended up at the lowest rank in the OECD Happiness Index for Children for six consecutive years.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a diagnosis on the current play policy in Korea and identifying improvement areas by comparing Korea with the UK in terms of development process and details of government policy for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oriented policy development, with Korea and the UK being the only two countries in the world that have adopted and implemented public policy for children’s play. Furthermore, in setting play as the national policy agenda and developing and managing it, this study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as new approach to understand and incorporate into polic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ir play behavior, and irrational human desire such as their wishes and desire to be satisfied while playing. To this end, it introduces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that can serve effectively in children’s play policy development through which it suggests possible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 quantitative approach has been unable to solve. If the voice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customers’ of the policy, is reflected in the policy, new experiential value will be created, and their trust in policy and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 will improve. Service design, a design discipline with enhanced customer-oriented research, will effectively serve as new approach to help realize the wishes and desire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play policy. This study tries to remind us of the point that all public policy including play policy should be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customer’, and suggests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as new approach to engage the ‘customer’ in policy development. I hope there will be continued studies going forward to incorporate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into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