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Discursive Struggles through the Cultural Economic Model on Media Reports about THAAD Deployment in Korea

Title
Discursive Struggles through the Cultural Economic Model on Media Reports about THAAD Deployment in Korea
Authors
김영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The research used Cultural Economic Model (CEM) to understand the discursive struggles appear on the news about THAAD deployment issue on Korea. Traditionally, public relations practices were understood as a mean for an organization’s survival. It was also seen as rejecting the power structure when practiced. To overcome the criticisms, scholars expanded public relations practices’ role in society to providing public sphere for the civic society, and included discursive practices as a part of public relations practices. CEM is a model developed by Curtin and Gaither (2007) to reflect the transforming role of public relations better. The model constitutes of representation, the linguistic expression, production, the process of producing discourse, consumption, the process of consuming discourse, the regulation, the social constraints that affec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discourse, and the identity, the social construct of discursive practices. By employing the CEM, the research planned to understand the discursive conflicts appearing in the public sphere and whether public relations is well practiced in the society. The research collected 18,345 news articles from Chosunilbo, Dong-a Ilbo, Korea JoongAng Daily,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the five most significant newspapers from President Park’s inauguration in 2013 to the settlement of Korea-China relationship in 2017. The news articles were then grouped into five periods, based on the significant issues related to the THAAD deployment. The first period named “Surfacing” period refers to the time when the necessity to install THAAD system was surfacing. The second period named “Deciding” period indicates the time when the THAAD deployment and the location of deployment were decided. The third period is named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because President Park had been impeached and presidential election started. The fourth period is coined “Deploying” period for partial deployment of THAAD system initiated at the time. The final period which is labeled “Evaluating Period” shows the debate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ng-ju over the legitimacy of environmental effect evaluation test and Korea and China’s evaluation of their relationship. The data was then calculated to learn the frequency of expressions. It underwent the CONCOR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to understand the articulation by the word cluster CONCOR created. The researcher found that similar to what previous literature had suggested newspapers had different patterns of representation and production based on its ideological frames. For the representation, newspapers that were commonly believed to be conservative used more expressions that showed news in the business sector whereas the newspapers that were widely believed to be progressive used more expressions that showed civic engagement in the political atmosphere. The production also differed. The protest in Seong-ju against THAAD deployment was encoded with sympathy in the Kyunghyang Shinmun and the Hankyoreh whereas the same issue was encoded with scorn in the Chosunilbo and Dong-a Ilbo. The regulations such as changes in the government, global politics, and nationalism and pro-chaebol sentiment affected the discourse production. Through the discursive conflicts, the newspapers constructed their social reality that supports their arguments. For instance, THAAD system was articulated with the diplomatic problem in the newspapers that opposed its installment but was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in the newspapers that backed the deployment. It was discovered that some identity would affect the regulation, which created the full circulation of cultural moment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while the articulation process had brought changes in the discourses and expansion of comprehension of the discourses, whether newspapers are providing proper public sphere to the audience is a matter of question for much of the regulation and identity were polarized. The researcher then suggested including the audiences’ consumption in the future study will enrich the understanding of discursive conflict in the public sphere.;이 연구는 문화적 경제 모델을 활용하여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뉴스 기사에서 나타나는 담론 투쟁을 이해하였다. 전통적으로 공중 관계(Public Relations) 활동은 조직의 생존을 위한 도구로 여겨져 왔다. 동시에 공중 관계 활동은 실제 사회의 권력 관계를 무시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런 비판을 극복하기 위해 학자들은 공중 관계가 사회에서 가지는 역할을 시민 사회를 위한 공론장의 제공으로 확장하기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담론적 실천을 공중 관계의 실천으로 포함하기도 하였다. 커틴과 게이더(Curtin and Gaither)는 2007년에 변화하는 공중 관계의 역할을 반영하기 위해 문화적 경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언어적 표현을 의미하는 재현, 담론의 생산을 의미하는 생산, 담론의 소비를 의미하는 소비, 담론의 생산과 소비를 규정하는 제한, 그리고 담론의 생산과 소비에서 파생되는 정체성으로 구성된다. 문화적 경제 모델을 활용하면서, 이 연구는 공론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담론의 투쟁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공중 관계가 사회에서 잘 실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부터 한국과 중국이 관계를 조정한 2017년 11월까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다섯 개 일간지에서 18,345건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신문 기사들은 사드 배치와 관련한 주요 사건을 기준으로 다섯 가지 시기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시기는 사드 배치의 필요성이 부각되던 ‘부상기’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시기에는 사드 배치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결정기’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시기는 대통령 선거가 있었기 때문에 ‘대선기’로 이름 지었다. 네 번째 시기는 사드 시스템이 조기에 반입되며 배치되는 과정을 겪었기 때문에 ‘배치기’로 명명하였다. 마지막 시기는 사드 시스템에 대해 소규모 환경영향평가가 진행되었고 중국과 한국이 서로의 관계를 파악하였기 때문에 ‘평가기’로 이름지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표현의 빈도수를 알 수 있도록 가공되었고 단어 군집의 접합을 이해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방법인 CONCOR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자는 기존의 문헌에서 언급한 것과 유사하게 각 신문사들이 각 신문사의 이념적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재현과 생산의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현에 대해서 보수적이라고 여겨지던 신문사들은 기업체나 산업체와 관련한 단어를 더욱 많이 활용하는 반면, 진보적이라고 여겨지던 신문사들은 정치의 시민 참여와 관련한 단어를 더욱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부분에서도 성주 주민의 사드 배치 반대를 보도할 때 경향 신문과 한겨레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담론을 생산하였으나 조선일보나 동아일보에서는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정권의 교체, 국제적 정치, 국가주의, 친기업정서와 같은 다양한 사회 제도적 제한들이 이러한 담론의 생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담론 갈등을 통해 신문사들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예를 들어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신문사들은 사드를 외교적 문제의 시발점으로 규정하였으나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신문사들은 사드를 국가 안보 도구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정체성의 형성이 다시 제한에 영향을 주고, 이로서 담론이 순환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자는 접합의 과정을 통해 담론에 변화를 주고 담론 이해에 확장을 가져왔으나, 신문사들이 제대로 된 공론장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진다고 결론지었다. 신문사들은 다양한 공중을 취재, 보도하여 그 공중의 공중 관계 활동을 유통함으로써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다 해야 하지만 이미 각자가 정치화된 담론만을 생산하여 양극화된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공론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한계로 신문 기사의 독자들이 담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떤 담론을 생산하는지를 파악하지 못한 것을 지적하며,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공중 관계 활동으로의 공론장에서의 담론 투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