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3 Download: 0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 Modeling Using A Tablet PC on Class Particip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General Class
Authors
한승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통합교육의 활성화로 인하여 많은 장애 아동이 특수학급에 배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통합학급에서 비장애 아동과 함께 수업 받는 시간, 수업참여 기회도 확대되고 있지만,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를 위한 적절한 중재와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물리적인 통합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장애 아동은 통합학급에서 수업참여의 어려움을 가지며, 누적된 실패경험으로 자신감이 결여될 수 있고, 또래와의 상호작용 어려움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통합학급에서 장애 아동의 적극적이고 의미 있는 수업참여를 위하여 개별화된 중재가 필요할 뿐 아니라 사용하기 쉽고 변화하는 학교 상황에서도 쉽게 제공되는 융통성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는 사전에 자기점검표 기록방법을 학습한 장애 아동이 통합학급 수업 중 진동알람 손목시계가 울리면 자신의 수업참여 행동을 점검하고 기록하도록 하며,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비디오 자기 모델링 영상을 시청하여 적절한 수업참여 행동을 변별함으로써 장애 아동이 통합학급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중재 방안이다. 지금까지 여러 국외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된 자기점검법과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우리나라 통합학급에 맞게 구성하여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태블릿 PC를 실험도구로 활용함으로써 연구 참여자가 흥미롭게 중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합학급의 또래와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학습기회를 활용하고, 장애 아동의 도전행동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수업참여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며, 또래가 장애 아동을 동등한 학급 구성원으로 인식하도록 도우며, 장애 아동에게 수업참여 행동을 교수하는 기초 중재가 되도록 하여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을 연계하려 하였다.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기점검법 사전교수, 자기점검법 기록,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영상 시청으로 구성되었다.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의 구체적 실행 절차는 특수학급에서 자기점검법 기록방법을 3회기 학습한 뒤, 통합학급 수업 중 진동알람 손목시계가 울리면 자기점검표에 자신의 수업참여를 점검하고 기록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특수학급에서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비디오 자기 모델링 영상을 시청하며 수업참여 행동을 변별하고, 통합학급 수업 중 자기점검 기록 방법을 다시 한 번 안내하였다. 이후 매일 방과 후 그 날의 자기점검표를 연구자인 특수교사에게 제출하고 하교해야함을 설명하였다. 세 명의 장애 아동이 소속된 두 개의 통합학급에서 각각 분산되어 중재가 실시되었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후 연구 참여자 1, 2, 3 모두 3주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의 효과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장애 아동 모두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에 참여한 후 통합학급 수업 참여율이 기초선 기간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둘째, 세 명의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 참여율 증가는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 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 교사의 촉진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증진된 통합학급 수업 참여율이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므로 의의가 있다. 또한 장애 아동의 적극적인 통합학급 수업태도 형성과 도전행동 감소가 일어났으며, 또래들의 사용 경험이 적은 태블릿 PC를 장애 아동이 주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또래의 지지 및 장애 아동에 대한 또래의 긍정적 인식과 태도가 형성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특수교육지도사에게 의존하던 통합학급 수업지원 방식이 아닌 장애 아동 스스로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수교육 담임교사와의 적극적 협력 및 중재계획 공유가 이루어졌으며, 담임교사의 높은 중재만족도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on Class Particip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general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n 8-year-old, a 9-year-old and an 11-year-old elementar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a multiple design across subject to determine if a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tablet PC strategy would increase class participation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occurrence of class participation in the general classroom. Following baseline, the children were trained how to check self - monitoring sheet and how to watch the video self modeling using tablet PC in special classroom. Then children checked their self monitoring sheets in general classroom when their watch vibrate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raining how to check self-monitoring and watching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in the special classroom. and they checked their participation on self-monitoring sheets check in the general classroom when their watch vibrated. This was used to support the child's classroom participations.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3 weeks later after with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rate of class participation increased in all thre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 modeling using a tablet PC. Second, the rate of class participation was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are effective in enhancing class particip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room.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for applying and extending self-monitoring and video self-modeling using a tablet PC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