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NBMG) 수행 능력

Title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NBMG) 수행 능력
Other Titles
The performance on the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NBMG) task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uthors
조연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 아동이 늘면서, 언어에 어려움을 보이는 이중언어 아동 또한 늘고 있다. 그러나 표준화 검사도구로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를 평가할 경우 이들의 언어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없어, 언어 장애로 과잉 진단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대책으로 표면에 나타나는 아동의 언어 능력이 아닌 근본적인 학습 능력으로 아동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에게 부족하다고 알려진 형태소 학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NBMG)’를 한국어와 영어로 제작하여 언어발달지연 아동 선별에 효과가 있는 선별 과제인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하는 만 4세 6개월 - 만 7세 이중언어 일반 아동 30명, 단일언어 일반 아동 30명,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20명이며, 이중언어 아동에게는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orean Novel Bound- Morpheme Generalization, KNBMG)와 영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English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ENBMG)를 실시하였고, 단일언어 아동에게는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를 실시하였다. 이 세 집단의 형태소 학습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이중언어 일반 아동의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 점수,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 점수, 한국어 및 영어 수용 어휘력 점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 일반 아동, 단일언어 일반 아동,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 수행력에서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이중언어 일반 아동과 단일언어 일반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이중언어 일반 아동의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 점수는 한국어 수용 어휘력(REVT) 합산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 점수와 영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ENBMG) 점수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NBMG)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선별하는데 효과적인 과제로써,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에서 수행력이 낮을 경우 아동의 언어발달지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 점수와 영어 새로운 의존 형태소 일반화 과제(ENBMG)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면서, 언어 경험이 아닌 언어발달 기제 능력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을 지지하고, 이중언어 아동과 언어 재활사가 공유하는 한 가지 언어로 제작된 과제로 아동의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As the number of bilingual children grows, the number of children among them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learning language is also increasing. Unfortunately, the standard evaluation tool that is widely used today cannot accurately evaluated children’s learning ability, sometimes resulting in the over diagnosis of language. Thus, the demand for the more accurate evaluation tool is significantly increasing.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produced the the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NBMG) task in both English and Korean,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ability of learning morpheme, which is known to be deficient on the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nd to find out whether it is an efficient task selected for children. In this study, the age of the subjects ranged from four years and six months to seven years. Among them, there were thirty normal bilinguals, thirty normal Korean monolinguals, and twenty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For the bilinguals, both Korean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KNBMG) task and English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ENBMG) task were conducted, while for the monolinguals, 78 only KNBMG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learning ability of the three groups, we conducted One-way ANOVA. At the same time, we also conducted the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coefficient, in order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the NBMG scor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and other variants. The test result is as follows. First, for the KNBMG, the performance of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was noticeably poorer in statistics than that of bilinguals and normal Korean monolinguals. Second, for the bilingual children, there was a noticeable correlation between their KNBMG performances and REVT total scores, also between KNBMG and ENBMG performances. In conclusion, NBMG is proven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task tool for sorting out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nd a poor performance on KNBMG may reasonably lead to the suspicion of the children’s language impairment.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previous study’s argument that the NBMG performance indicates the test subject’s capacity of language development mechanism, rather than their language experience. It further suggests that measuri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rough a task created in a single language is probable, when the language is shared by the bilingual children and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