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Th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by Korean EFL Learners

Title
Th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by Korean EFL Learners
Other Titles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관사 습득 : 특정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Authors
남궁윤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아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 of specificity on Korean EFL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English articles are determined by definiteness in the context. However, learners make substitution errors between the and a due to the influence of specificity. This study tests the Fluctuation Hypothesis (FH; Ionin et al. 2004) by investigating Korean EFL learners’ article substitution errors in a written forced-choice elicitation task. According to Ionin et al. (2004), the Article Choice Parameter (ACP), a parameter that governs article choice, has both the definiteness setting and the specificity setting. Learners who lack articles in their native language are expected to fluctuate between the two settings because they have full access to Universal Grammar. While Ionin et al. (2004) discussed the empirical evidence of fluctuatio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 clear developmental pattern among the Korean participants was not revealed because of the overwhelming number of advanced learners. By dividing the Korean EFL learners into thre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al patterns in order to convincingly show that sufficient input will lead them to establish an appropriate setting, as predicted by the FH.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ality effect of English articles, which is the tendency to use the more accurately than a, as reported in previous empirical studies (e.g. Robertson 2000; White 2003; Lardiere 2004, 2007; Zdorenko & Paradis 2008; García-Mayo 2009). The examination of the directionality of articles provides a perspective towards L2 article acquisition based on definiteness and indefiniteness. The research hypothes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FL learners overuse a in [+definite, -specific] contexts and overuse the in [-definite, +specific] contexts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be more accurate as proficiency level increases. Second, Korean EFL learners are more accurate in using the in definite contexts than using a in indefinite contexts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be more accurate as proficiency level increases. In order to test the aforementioned hypothes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by conducting a forced-choice elicitation task.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proficiency groups (lower-advanced, upper-intermediate, and lower-intermediate groups) based on their scores on a proficiency test. The test materials in the present stud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 [+definite, +specific], (ii) [+definite, -specific], (iii) [-definite, +specific], and (iv) [-definite, -specific].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FL learners overused a in the [+definite, -specific] types and overused the in the [-definite, +specific] types. Learners differentiated between specific and non-specific noun phrases for both definites and indefinites. Moreover, learners in the lower-advanced level of English used target articles with less influence of specificity in the [+definite, -specific] type and the [-definite, +specific] type than learners in the lower-intermediate level. Second, Korean EFL leaners were more accurate in using the indefinite article a than the definite article the. This was an opposite result to the directionality of articl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proficiency level had influence on learners’ accurate use of both the in definite contexts and a in indefinite context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FH and the ACP. The developmental patterns observed in this study further support the FH, showing that learners can set the appropriate setting (i.e. definiteness) with more input. Furthermore, results of more accurate a than the suggest that definiteness may b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an indefiniteness for learners.;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성(specificity)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관사 습득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영어의 관사는 한정성(definiteness)에 의해 정관사 the와 부정관사 a로 나뉜다. 그러나 모국어에 관사가 없는 영어 학습자들은 특정성의 영향으로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서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오류를 범한다. 즉, 학습자들은 정관사 the를 [+특정적], 부정관사 a를 [-특정적] 특성과 연관시켜 관사 대체 오류를 범하는 경향이 있다. Ionin, Ko와 Wexler(2004)에 따르면, 제 2언어 학습자들은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에 완전 접근(full access)을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미적 매개변수인 관사 선택 매개 변수(Article Choice Parameter)의 한정성 설정(setting)과 특정성 설정에 모두 접근할 수 있다. Ionin, Ko와 Wexler(2004)는 이러한 학습자들의 관사 선택 경향을 변동 가설(Fluctuation Hypothesis)이라고 칭했다. 변동 가설이란 제 2언어 학습자들이 충분한 학습을 통해 영어의 한정성 설정을 확립하기 전까지 한정성과 특정성의 자질 사이에서 변동 현상을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강제 선택 과제를 실시하여 변동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Ionin, Ko와 Wexler(2004)는 한국인과 러시아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변동 현상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한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고급 수준의 학습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영어 능숙도 간의 차이를 보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영어 능숙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변동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 학습자들이 부정관사 a보다 정관사 the를 더 정확하게 사용한다는 기존 연구들(예: Robertson 2000; White 2003; Lardiere 2004, 2007; Zdorenko & Paradis 2008; García-Mayo 2009)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도 이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부정관사 a를 남용하고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정관사 the를 남용하며, 영어 능숙도가 높아질수록 두 문맥에서 보다 올바른 관사 선택을 한다.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한정적] 문맥에서 부정관사 a를 사용하는 것보다 [+한정적] 문맥에서 정관사 the를 사용할 때 더 높은 정확성을 보인다. 그리고 영어 능숙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관사 사용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강제 선택 과제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영어 능숙도 시험 점수에 따라 상하급, 중상급, 중하급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실험에서 사용한 강제 선택 과제는 네 개의 유형([+한정적, +특정적], [+한정적, -특정적], [-한정적, +특정적], [-한정적, -특정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a를 남용하고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the를 남용하였다. 즉, 실험 집단의 피험자들은 주로 특정성으로 부정관사와 정관사를 구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정적, -특정적] 문맥과 [-한정적, +특정적] 문맥에서 상하급 학습자 집단과 중하급 학습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영어 능숙도에 따른 특정성의 영향에 대한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정관사 the보다 부정관사 a를 더 올바르게 사용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와 상반된다. 상하급 학습자 집단은 원어민 집단과 같이 부정관사와 정관사의 사용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중상과 중하급 학습자들은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사용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하급 학습자 집단과 상하급 학습자 집단이 the와 a를 사용하는 데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영어 능숙도가 높아짐에 따라 학습자들이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더 올바르게 사용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제 2언어 관사 습득에서 변동 가설과 관사 선택 매개변수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어 능숙도에 따라 나타난 분명한 결과 차이는 학습자가 언어 입력(input)이 많아짐에 따라 매개 변수 내에서 올바른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변동 가설의 입장을 지지한다. 또한 정관사 the보다 부정관사 a를 더 잘 사용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주어진 문맥에서 비한정성보다 한정성을 판단하는 데 더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