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66 Download: 0

20·30대 여성의 연하남과의 연애경험

Title
20·30대 여성의 연하남과의 연애경험
Other Titles
20s·30s Aged Women's Romantic Experience with a Younger Man
Authors
김정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여성보다 경제적·사회적으로 더 높은 위치를 차지한 남성과의 연애는 대다수의 사회에서 일반적 형태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미디어에서 연하남, 연상녀와 같은 키워드를 주제로 한 상품이 제작되고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로 연상연하커플의 증가는 통계자료로 확인되기도 한다. 사회적 트렌드로서 주목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소수로서 편견의 대상이기도 한 연하남과 연애를 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한국 사회 여성들의 체험을 통해 경험의 본질을 알아보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하의 남성과 연애를 하고 있거나, 연애 경험이 있는 20·30대 여성으로 대학원생 2명, 직장인 7명으로 모두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1~2시간 동안 1~2차례 개별인터뷰를 카페에서 실시하였다. 인터뷰 질문은 구조화하지 않은 개방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경험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다 풍부한 진술을 이끌어내기 위해 Kvale(1996)이 제안한 도입질문과 엄밀한 조사 질문 등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Miles와 Huberman(1984), 그리고 Dey(1993)가 제안한 3단계를 절충 및 수정하여 사용하여 텍스트 분석 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디어에서의 연하남의 이미지는 연상연하 커플을 바라보는 주변인들과 연상녀 당사자에게도 환상과 호기심을 갖게 하고 고정관념을 만들어낸다. 연상연하커플에 대해 일부 반감을 확인할 수 있지만, 연상녀의 또래 친구들은 연하남을 연상녀의 성취 혹은 능력으로 받아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경제적으로는 전통적 남녀의 역할 수행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이지만 외적으로는 전통적 여성성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상녀의 모습을 통해 이중적 역할 수행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 분위기와 주변인의 평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여성의 특성이 더해져 여성의 외모관리에 대한 욕구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연애를 통해 젠더적 측면의 여성성이 강화되는 경험으로 인해 외모관리에 대한 욕구가 강화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상연하 커플에 대한 주변인의 관심은 연상녀가 외적으로 외모를 가꾸게 하고 내적으로는 연하남의 취향에 맞추고자 하는 노력을 하게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연상녀 개인의 성장과 관계의 진전을 목표로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존의 결혼시장에서는 남성의 경제력과 여성의 젊음이 가장 큰 경쟁력이 되었다. 하지만 여성들의 초혼연령 상승으로 여성에게 젊음 보다 경제적·사회적 성취가 그 경쟁력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 교환가치의 변화를 가져왔다. 커플중심의 소비문화를 통해 기대하게 되는 전통적 성역할의 수행 보다는 현실적으로 경제적 활동을 더 활발하게 하고 있는 연상녀가 데이트 비용을 더 많이 부담하게 되는 변화된 형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넷째, 연상남과의 연애에서 권위적 모습과 대비되는 권위적이지 않고 상대를 인정해주는 모습이 연하남의 강점으로 판단하고 있다. 즉, 여성은 나를 책임져 줄 대상으로서의 남성이 아니라 나 개인으로서 인정해줄 남성을 연애 대상으로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 ‘연하남 트렌드’는 변화된 여성과 남성의 경제적·사회적 위치와 역할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지만 그보다 여성이 성장의 과정을 통해 얻게 된 권위주의에 대한 반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의 연하남이라는 존재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즉 동반자적 형태로서의 남녀관계를 원하는 과정에서 과도기적 형태로서 연하남 트렌드가 생성되고 소비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권위주의에 대한 반감과 이를 넘어서야하는 여성의 생각이 연하남이라는 대상으로 표현된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하남 트렌드는 단순히 연애 트렌드로서 바라보기보다 사회적으로 뿌리 깊은 남성의 권위주의와 성차별주의를 넘어서고자 하는 여성의 욕구와 나이, 학벌 등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평가하고 서열화하는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의 인식으로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In most societies, romance with a man standing higher than a woman economically and socially has been taken for granted as the general. However, products having a key word of a younger man and a older woman from media are being produced with popularity. In fact, statistical data show increase of couples of a younger man and an older woman.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experience of Korean society's women having a romantic experience with a younger man, who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kind of social trend but encountering prejudice as the social minority. 9 women in their 20s-30s who are having a love affair with a younger man or had a romantic experience, 2 graduates and 7 office workers, we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Individual 1-2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for 1-2 hours at a cafe from Dec. 2013 to May, 2014. Interview was composed of un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inducing them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and ideas freely. Also, introducing and probing questions suggested by Kvale(1996) were used to derive a great of statements. So, 4 research findings as follows were derived from the text analysis through utilization of the complemented and corrected 3 steps suggested by Miles, Huberman(1984), and Dey(1993). Firstly, an image of a younger man in media causes an old woman concerned and persons around seeing a couple of a younger man and an older woman to have an illusion and curiosity, generating a stereotype. There was certain antipathy against such a couple but it showed that peers of an older woman acknowledged a younger man as her achievement or ability. Secondly, an image of an older woman taking a role of the traditional femininity, though escaping from traditional male-female role-taking in terms of economy, showed a dual attitude of role-taking. Along with female characteristic making much of a social atmosphere and an evaluation of persons around, it showed women's stronger desire for appearance management. Besides, desire for appearance management was strengthened by experience of enhanced gender-based feminity through romance. Persons are interested in a couple of a younger man and an older woman, causing an older woman make up her face externally and endeavor to follow a younger man's taste internally. It revealed that such an effort aimed at her individual growth and improved relations. Thirdly, in the existing marriage markets, the greatest competitiveness was men's economic power and women's youth. However, as women's first marriage age increases, their economic·social achievements rather than youth are forming the competitiveness. Such a change led to a change of the traditional exchange value. Rather than the traditional gender role-taking expected from a consumption culture centered on a couple, it showed a change that an older woman who is participating actively in economic activities bears more expenses on dates. Fourthly, in a love affair with a younger man, his unauthoritative image respecting a partner is regarded as his merit.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women wanted such a man who recognized her as an individual rather than a man who took the responsibility for her as a lover. Though a 'younger man trend' may reflect changed economic·social positions and roles of men and women,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a young man seems to be an existence for woman to dissolve an antipathy against authoritarianism acquired from her growth process. In other words, in a process for pursuing a mam-woman relation as companion, trend of a younger man is being produced and consumed as a transitional form. In our society, deep-rooted antipathy against authoritarianism and women's intention to overcome seem to be expressed as an object of a younger man. Such a trend of a younger man, rather than that of a simple love affair, shall be considered as women's desire beyond men's deep-rooted authoritarianism and sex discrimination and their critical awareness on the culture to evaluate and rank others by age or academic background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