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3 Download: 0

'저녁이 있는 삶' 은 가능한가

Title
'저녁이 있는 삶' 은 가능한가
Other Titles
Is it possible to have 'life with an evening'? : A case study of the wageworkers using 「Time Use Survey」
Authors
김정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정
Abstract
Working overtime has been and is still being a common event in the workplace in South Korea. What's more, this overtime work is generally unofficial. Although the working hour is continuously in decrease after implementing the standard 40-hour workweek system, recent research and relevant statistics indicate the fact that the workers in Korea are still suffering from working overtime.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explores whether the workers in Korea can have a life with an evening. By analyzing how their evening times are being managed and used, this article aims to addres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es socio-demographic/occup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workers (i.e., the length of working hours, the time for dinner in the weekday)? 2) In what extent the ways of using and spending time after 5pm during weekdays be different among workers with different socio- demographic/occupational backgrounds? 3) What constitutes the workers' time after 5pm and what is their time-based main activity?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worker's evening time is being constructed, as well as how working overtime influences the use pattern of the worker's evening tim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This article uses a secondary data from a survey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in 2009: 『Time Use Survey』. From this datase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over the age of 20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working hour, dinner time, time use patterns, as well as time-based main activities. Research methods such as T-test, ANOVA and Post-hoc(Scheffe)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to these methods, cross-tabulations was also used when necessary. The time use pattern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time-based agent rat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ch group showed the following differences on working hours. Male workers attended the office earlier and left later than female. The older the worker was, the earlier commute time was and the higher education level was, the later it was. Even though a rise in average earnings does not influence on the rank of attendance time, it tended to make the quitting time later. Among the nine industries except for agriculture, fish, lumber, attendance time was earliest in transportation and quitting time was in construction. Among eight occupations except for the skilled labor employed in agriculture, fish, and lumber, the employer in device, manipulating and assembling machine attended earliest while people in simple labor left the work earliest. I found out that attending early does not mean leaving early by analysis results of commute time. Workers attended the office before 9am and left around 7pm spending average about 10 hours in the workplace. Their dinner time was around 7:00~7:30 and the rate of the people who had dinner with family was different depending on groups. At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pattern of time use are as follows: The rate of paid work agents declined rapidly at 6pm. Each group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 rate declined rapidly at certain time even though it showed the difference on width of decrease and a time slot. Second, the abstract shape of the graph on the rank of free time agents showed the distinctiv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quitting time. The graph of the group who left the work early had almost bilateral symmetry while that of the group whose quitting time was late shoed the shape which has long left tail and two peaks and the former has bigger maximum. Third, the graph on the rate of unpaid labor agents wa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rather than to quitting time. The graph of the people who left the work late, who are 20s, who are over-doctor and who earn over 350 a month showed the distinctive shape compared with that of other groups in the variable. Fourth, there’s a case in which the abstract shape of moving agents’ graph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ocational factor. The rate of the moving agent in construction declined slowly after having increasing rapidly at certain time while that in accommodation and restaurant maintained similarly at every time slot. Fifth, the graph on the rate of private-maintaining agents showed the almost similar shape in every group, which maintained under 30% at every time and increased rapidly as it getting closer to midnight. In major time-based activity analysis, I found out that the rate of people who do their ‘Main job’ at 5:00-8:20, ‘Watch TV’ at 8:20-10:40 and ‘Sleep’ at 10:50-12:00 was highest. The rate of the workers who watch TV alone and the rate of who do so with family were almost similar. Through these result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difference on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variables and long labor hours not only decrease leisure times but it also has impact on the workers’lives including time use. To live in comfort and lead a high-quality life, it is essential to shorten working hours and I have to escape long hour labor to enjoy the ‘life with an evening’;한국의 임금노동자들은 야근한다는 표현보다 오늘‘도’야근한다는 말이 더 익숙한 노동환경에서 살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야근은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주 40시간제 도입이후 노동시간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노동자들이 장시간 노동을 겪고 있음을 선행 연구와 통계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노동자들에게 저녁이 있는 삶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이들의 저녁시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학적/직업적 변인에 따라 노동자의 평일 출ㆍ퇴근시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연구대상자의 저녁식사시각은 언제이며, 저녁식사 동반자는 누구인가, 셋째, 사회인구학적/직업적 변인에 따라 노동자의 평일 오후 5시 이후 시간사용패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노동자의 평일 오후 5시 이후 시간대별 주요 행동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노동자들의 저녁시간을 살펴봄으로써 장시간 노동이 이들의 저녁시간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통계청의 「2009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만 20세 이상 전일제 임금노동자의 출 ․ 퇴근시각, 저녁식사시각, 시간사용 패턴 및 시간대별 주요 행동을 조사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Scheffe)이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간사용 패턴은 시간대별 행위자비율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별 출 ․ 퇴근시각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출 ․ 퇴근시각이 빨랐다.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출․ 퇴근 시각이 대체로 늦어졌다. 월평균소득의 증가가 출근시각의 순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퇴근시각은 대체로 늦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농업,임업 및 어업과 농림어업숙련 종사자를 제외한 9개 산업과 8개 직업중에서 가장 먼저 출근하는 산업은 운수업이었으나 퇴근시각은 건설업이 가장 빨랐으며,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가 가장 먼저 출근했지만 퇴근은 단순노무 종사자가 가장 먼저 했다. 출 ․ 퇴근시각 분석 결과를 통해 일찍 출근한다고 해서 일찍 퇴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동자들이 오전 9시가 되기 전에 출근하고 7시 무렵에 퇴근하여 직장에서 평균적으로 약 10시간을 보냈다. 이들의 저녁식사시각은 대체로 7:00~7:30이었으며, 집단에 따라 식사 동반자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시간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급노동 행위자비율은 6시 근처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감소폭과 시간대에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을 뿐, 특정 시간대에 급격히 감소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둘째, 자유시간 행위자비율 그래프의 개형은 평균 퇴근시각에 따라 눈에 띄는 차이가 있었다. 퇴근시각이 이른 집단의 자유시간 행위자비율 그래프는 좌우가 대칭에 가까운 개형을 가졌지만 퇴근시각이 늦은 집단은 왼쪽 꼬리가 길고 두 개의 산봉우리가 있는 형태의 그래프를 가졌다. 퇴근시각이 빠른 집단의 자유시간 행위자비율 최댓값이 더 큰 경향이 있었다. 셋째, 무급노동 행위자비율 그래프의 개형은 퇴근시각보다는 집단별 특성 연관이 있었다. 퇴근시각이 늦은 남성, 20대, 대학원 박사과정 이상, 월평균소득 350이상인 집단의 무급노동 행위자비율 그래프는 변인 내 다른 집단의 그래프와 구분되는 형태를 띄었다. 넷째, 이동 행위자비율 그래프의 개형은 직업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건설업의 이동 행위자비율은 특정 시간대에 급증한 후에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숙박 및 음식점업의 이동 행위자비율은 전 시간대에서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다섯째, 개인유지 행위자비율 그래프의 개형은 모든 집단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행위자비율이 전 시간대에서 30% 미만으로 유지되다가 자정이 가까워질수록 급증하는 형태를 가졌다. 시간대별 주요 행동 분석에서는 5:00~8:20에는‘주 업무’, 8:20~10:40에는 ‘TV시청’, 10:50~12:00에는 ‘수면’을 취하는 노동자가 가장 많음을 확인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장시간 노동은 여가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의 시간사용을 비롯한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유로운 생활과 질 높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노동시간 단축이 필수적이며,‘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장시간 노동에서 벗어나야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