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정구-
dc.contributor.author김보경-
dc.creator김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0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052-
dc.description.abstractCoach’s leadership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port context. A good sport team is defined by a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athletes. Therefore, the intimacy between teammates affects the whole team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proposed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this study extends prior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oach’s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The research model is shown in following diagram. Methodologically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survey on 461 players in five different ball games which are rugby, basketball, football, ice hockey and volley ball. Each question was based on a 5-point Likert type sca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and super leadership have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hesion. However the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eam cohesion is not supported. The second set of hypotheses about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and super leadership on team efficacy are supported. Thir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ha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significantly. Fourth, team cohe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s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except transactional leadership. Especially team cohes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super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In case of team efficacy, it also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s four leadership styles and team performance. Above all,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super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is fully mediated by team efficacy. Finding from this study draws several implic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several leaderships simultaneously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ach leadership 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Secondly, this study weightily considers psychological factors regard as predicting team performance as preceding research. Build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is important to improve team performance, therefore team coach needs to deal with the factors importantly.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fo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results mad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five ball sport. Future researches are suggested to get broader range of samples. Second, this study measured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athletes’ response. Future research may need to pay attention to some objective response variables and indicator. Most hypotheses related transactional leadership are rejected, so future researcher should identify the clear underlying theoretical logics and mechanisms. Lastly, this study considered only two factors,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in psychological factor. More various factors are employed as mediating variables in future research.; 스포츠 상황에서의 리더십은 팀 구성원 개인의 능력 뿐 아니라 팀 전체의 성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손꼽혀왔다(Landers & Lueschen, 1974; Barrow, 1977). 코치와 선수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하여 구성된 스포츠 팀은 코치와 선수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특성을 지닌다(Zander, 1982; Pinkerton, Hinz & Barrow, 1989). 우리나라는 2002 월드컵 4강, 2012 런던올림픽 5위, 2014 아시안게임 2위에 오르며 스포츠 메가 이벤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엘리트 체육의 강국으로 도약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파벌, 폭력 코치, 성추행 파문 등 여러 불미스러운 일들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유고사상을 바탕을 둔 권위적이고 지시적인 리더십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한태준, 2005). 하지만 2002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끌었던 거스 히딩크 감독의 등장으로 기존 스포츠계의 리더십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스포츠 계에서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상황에 착안하여 여러 리더십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네 가지 리더십은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거래적 리더십과 교환관계를 초월한 리더의 카리스마를 강조하는 변혁적 리더십, 진정성을 갖춘 리더의 행동을 중시하는 진성 리더십 그리고 구성원 스스로가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지지하는 슈퍼 리더십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네 가지 리더십의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리더십의 영향력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종속변수인 팀 성과 외에도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보고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팀 응집력은 스포츠 팀 구성에 있어 가장 근본이 되며(Carron & Hausenblas, 1998), 팀 효능감은 스포츠 수행에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선수들의 집단적인 자신감으로 학문적 개념으로 최근 스포츠 수행에 있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심리요인에 집중하여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발전시켰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가 행하는 네 가지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진성 리더십, 슈퍼리더십은 모두 팀 성과 향상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우수한 성과는 팀 구성원이 인지하는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에 의해 유발됨을 보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 슈퍼 리더십을 행할수록 팀 응집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거래적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팀 응집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어 기존의 실증 연구를 지지하지 못하였다. 둘째,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이 팀 효능감에 대한 영향력은 네 가지 리더십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포츠 지도자가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진성 리더십 그리고 슈퍼 리더십을 행할수록 선수들이 인지하는 팀 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어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셋째,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이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선수들이 인지하는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은 스포츠 팀 지도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다시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은 결과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은 진성리더십과 슈퍼리더십과 팀 성과와의 관계를 완전매개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주는 이론적 시사점은 특정 하나의 리더십의 영향력을 검증하지 않고 여러 리더십의 각기 다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비교하며 선수들의 심리요인인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주장했던 스포츠 상황에 있어서 선수들의 심리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의 영향 하에서 발생하는 팀 성과에 대해 각 심리요인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먼저 우수한 성적을 위해서는 선수들의 심리요인을 중요한 관리요인으로 취급해야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심리요인을 형성함에 있어 유효하지 않는 거래적 리더십은 지양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에 따라 변수들을 측정하였다. 특히 팀 성과와 같은 결과변수를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랐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성과에 대한 측정을 보다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선수들의 심리요인으로 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만을 고려하였으나, 이 외에도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제시한 거래적 리더십과 팀 응집력에 대한 가설이 채택되지 않아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답을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축구, 농구, 배구, 럭비, 아이스하키 등 다섯 가지의 종목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각 종목의 표본의 수가 고르지 못하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이러한 표본을 보다 고르게 분포시킬 필요성이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3 A. 독립변수로서의 리더십 3 B. 거래적 리더십 4 C. 변혁적 리더십 5 D. 진성 리더십 9 E. 슈퍼 리더십 12 F. 팀 응집력 14 G. 팀 효능감 15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7 A. 연구모형 17 B. 연구가설의 설정 18 Ⅳ. 연구조사방법 32 A.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32 B. 설문지의 구성 35 C. 자료 분석 33 Ⅴ. 연구의 결과 및 해석 37 A. 연구대상 37 B. 자료 분석 방법 39 C.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9 D. 상관관계 분석 43 E. 가설검증 46 Ⅵ. 결론 및 논의 58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8 B. 시사점 60 C.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61 참고문헌 64 부록1. 설문지 72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76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팀 응집력과 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between Coach’s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Kim, Bo kyung-
dc.format.pagevii, 78 p.-
dc.contributor.examiner김성국-
dc.contributor.examiner박상찬-
dc.contributor.examiner윤정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