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한국의 사회적 기업가 정신 개념구성에 관한 통합연구

Title
한국의 사회적 기업가 정신 개념구성에 관한 통합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Korean Social Entrepreneurship
Authors
허봉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효근
Abstract
Due to the recent economic crisis, the world has seen various social problems, including not only poverty and unemployment, but also competition, polarization, and alienation of wealth.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the field of management has been developing responsible management and a new business model, while the fields of society and welfare has been working towards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and economic inequalities. The third sector of social economy has been emerging as the alternative economy to this issue. First started in Europe and America during the 1970-80’s economic depression, social economy has been solving both social and economic tasks by valuing quality of life in Asia, South America and Africa. In Korea, the social economy emerged in the urban poor in the form of production community during the 1970’s. The beginning of the cooperative movement in the 80’s and the experience of Asian Financial Crisis of 90’s led to the expansion of institutional support, which formed the basi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 in 2007.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social enterprise as a new model of business, which can resolve the problem of poverty, unemployment caused by the failure of market economy. The manufacture and social service sectors, reflecting community’s requirements, have been stimulated by the local government to enhance community development, earning positive reviews. On the other hand,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criticized for its lack of independence caused by institutionalization limitations and sustainability issues. The social entrepreneur plays a critical role in tackling the social enterprise’s duty of pursuing both social value and market competitiveness. Thu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entrepreneurship; how social values, sought by the entrepreneur and employees, are developed; and their inner value’s essence by using mixed methods, which u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t the same time. The trust,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nd community were found as the compon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a pilot te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entrepreneurship from the employees’ point of view with six elements: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emphasized in entrepreneurship as values pursued by general profit-making enterprises as suggested by preceding studies; and trust, internal network and community, which may be emphasized as elem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unlike those pursued by profit-making enterprises, through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explore how the inner esse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proactiveness, risk-taking, trust, interoranizational networks, and community appear through the individual entrepreneur and enterprise’s activities with qualitative methods of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of social enterprises.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 on the correlations among the six elements show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trust, internal network and community have slightly negative (-) relationships with risk-taking. This means that the more the representative (executive) emphasizes trust,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nd community with properties of social values, the less the employees were to be aware of risk-taking.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verages of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men have higher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 taking than women do. This shows that males are relatively more aware of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han females are. By age,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40’s regarded CEO’s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s important, but for respondents in their 60’s, innovation, and proactiveness levels were the lowest, while trust and community levels were the highest, showing that they set a high level on CEO’s trust and community. The higher the academic degree, the higher the values of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were shown, implying that they think highly of commercial social entrepreneurship. Moreover,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highly regard community, proactiveness,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nd innovation the longer the time they were employed in the workforce.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larger the company, the more likely the employees were to recognize proactiveness and innovation of the CEO for greater economic achievements. Thus, regarding the elem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rust, internal network and community, it is shown that women have a higher awareness than men do; those whose level of education is lower and those in their 60s have a higher awareness. In contrast, it appears that men are more likely than women to have higher awareness of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which elements pursued by profit-making enterprises, than women do; those who are in their 30s and 40s and those who are more highly educated are also more likely to have higher awareness of these elements. Along with the elements presented b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found that entrepreneurs’ pursuit of moral values and philosophy for moral conduct would be the inner essence of entrepreneurship. In the community of social enterprise, the CEO and workers organically communicate through ethical actions, based on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and realize social values through trust and unity of community that stems from a relationship of love,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s. For example, a series of moral conduct of social enterprises are shown in the cases of establishing a social welfare foundation for the disabled or a library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becoming a parent for a foreign worker. These acts of morality for value by social enterpris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commercial enterprises or profit-making enterprises, can be shown to be long-recognized actions shared among the members of a community. Manifestation of social values of enterprises, such as those for the disabled and urban poor that are alienated from society, shows the value of the proper function that restores their self-esteem. For instance, the disabled and urban poor, who have regained dignity, are creating a second value as nursing assistants through activities for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and the disabled. Furthermore, not only has development of regional businesses expanded work opportunities for the most socially vulnerable and disadvantaged in employment group, it is also mitigating local and regional problems through nursing, recuperation, sanitation and child protection services etc., as wel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Korean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identified by suggesting attribute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s economical, commercial components and uneconomical, social components. In addition, a variety of specific social value activities and inner essences were research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최근 시장경제의 실패는 세계에 빈곤, 실업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경쟁, 양극화, 소외 등의 갖가지 사회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영에서는 책임경영과 함께 새로운 기업모델을 준비하고 있으며,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 복지에서는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새로운 대안경제로 부상하고 있는 제3섹터인 사회적 경제는 경제불황과 함께 1970,80년대 유럽, 미국중심으로 시작되어 지금은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까지 국가별 지역별 중심으로 삶의 질이라는 가치를 가지고 사회, 경제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 가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경제는 1970년대 도시빈민 지역에서 생산공동체 형태로 출발해 1980년대 생협 중심의 협동조합운동이 시작되고, 1990년 말 IMF금융사태를 겪으면서 제도적 육성과 지원으로 확대되어 2007년에 이르러서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가 이루어졌다. 사회적 기업은 국가정부 차원에서 빈곤, 실업의 해결을 위한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업의 모델로 육성되고 있다. 지역의 지방자치제를 중심으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제조 및 지역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한 사회적 서비스 경제활동이 활성화되어 지역개발 향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에 정부지원의 의존으로 사회적 기업의 주체성 부재라는 지적과 함께 지속성의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기 기업가는 사회의 가치추구뿐만 아니라 시장에서의 경쟁력이라는 두가지 부담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한국적 특성은 무엇이며, 기업에서 기업가와 구성원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현되며, 그들의 내면적 가치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양적방법과 질적방법을 동시에 사용한 통합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우선 예비조사를 통해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구성요소로 신뢰, 내부관계(네트워크), 공동체의식을 발견하였다. 양적연구방법을 통해 일반영리기업에서 추구하고 있는 가치로서 기업가 정신에서 강조되고 있는 특성이라 할 수 있는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과, 영리기업에서 추구하는 바와 달리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요소로서 강조될 수 있는 신뢰, 내부네트워크, 공동체 총 6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종업원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질적방법의 심층면접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대표(임원)를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의 내면적 본질과 그들의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신뢰, 내부네트워크, 공동체의식이 기업가 개인과 기업의 활동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되었다. 양적연구 결과에서는 사회적 기업가 정신에 관한 6개의 구성요소의 상관관계에서 신뢰, 내부네트워크, 공동체와 위험감수성이 부(-)의 관계를 약하게 보이고 있어 종업원들은 대표(임원)가 사회적 가치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신뢰, 내부네트워크, 공동체의 요소를 강조할수록 위험감수성의 인식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응답자 특성별 평균비교 분석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높게 나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에서 30,40대는 대표(임원)의 혁신성, 진취성, 내부네트워크를 높게 인식하지만 60대에서는 혁신성과 진취성이 가장 낮고 신뢰와 공동체는 가장 높아 대표(임원)에 대해 다른 연령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뢰와 공동체를 높게 바라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업적 기업가 정신의 속성을 더 높게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무연수가 길수록 공동체, 진취성에서 내부네트워크와 혁신성을, 종업원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대표(임원)에 대해 경제적 성과를 위한 진취성, 혁신성의 인식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요소인 신뢰, 내부네트워크, 공동체와 관련해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학력이 낮을수록, 60대 연령에서 인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여성보다는 남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30,40대 연령에서 영리기업을 추구하는 기업가 정신의 요소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난다. 양적연구 결과에서 제시되는 요소와 함께 질적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기업가 정신의 내면적 본질은 도덕적 행위를 위한 기업가의 도덕적 가치추구로 발견되었다. 사회적 기업이라는 공동체 내에서 대표와 종업원의 상호호혜적 관계를 통해 도덕적 행위가 자연스럽게 전달되고, 관계를 통한 사랑의 감정, 타인에 대한 동정∙배려가 신뢰와 공동체의 결속을 가지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법인,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설립, 외국인 노동자의 부모가 되어주는 등 등의 사례로 알 수 있다. 이처럼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위한 도덕적 행위는 일반 영리기업과는 달리 도덕과 가치의 행위로, 오랫동안 인식되어온 공동체의 구성원이 공유하고 있는 행위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가치발현은 사회에서 소외된 장애인, 노숙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이 이들에게 자존감을 회복시켜 주는 순기능의 가치로 보여진다. 예를들어 자존감을 회복한 장애인, 노숙인들은 사회에서 간병보조사와 독거노인, 장애인을 위한 활동으로 제2의 가치창출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업을 개발하여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간병, 요양, 위생, 아동보호서비스 등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구성요소를 경제적∙상업적 요소와 비경제적∙사회적요소의 제시로 한국적 특성을 확인하고 심층면접을 통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회적 가치활동의 발현과 기업가 정신의 내면적 본질을 탐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