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자기결정진로개발모델(SDCDM)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기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결정진로개발모델(SDCDM)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기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the Self-Determined Career Development Model on the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주혜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현숙
Abstract
High self-determination,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and vocational preparation education are very critical for students to figure out their interest, preference, and ability, choose a job according to them, and successfully undergo a series of job maintenance after job-seeking activities. In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most of them follow a decision made by adults for them. Even the scope of opportunities for them to make a decision for themselves is very limited.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 concentrates on vocational skill training in many cases and thus relatively neglects career development and vocational preparation education. The Self-Determined Career Developmental Model(SDCDM) allow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ake leading part in a series of process to set a career and job they want as their goals and achieve them and includes all the 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education, which are essential to a successful transition. However, there is a serious shortage of research that applied SDCDM in the nat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apply SDCDM incorporating self-determination into career development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attainment degree of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and expected goals that individual students set to achieve their vocational goals. The subjects include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 at G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 multiple-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 the study,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task analysis of filling out a resume form,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nd interview, which were target tasks identified in the first-stage interview of SDCDM with each of the subject students. Before starting an intervention, the teachers and students set their expected performance rates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by using the Goal Attainment Scale(GAS) and made a plan and strategy to attain goals in the second-stage interview of SDCDM. Once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e students assessed the plans they implemented and their results in the third-stage interview of SDCDM and checked the fulfillment of expected performance rates. In addition, a maintenance test was conducted over three consecutive sessions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to se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s would be maintained or no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ll the three subject students made an about 50% increase or higher from the baseline in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rates after the application of SDCDM. Right before the intervention was ended, Subjects A and B recorded 100% and Subject C did over 80% over three consecutive sessions. Second, all the three subjects maintained their improved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rates due to the application of SDCDM at a high and stable level of average 80% or higher three weeks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Finally, all the subjects attained "expected goals" or more in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rates set by the teachers and students before the intervention based on GAS. In short, SDCDM turned out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rates and maintaining their improved level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ose improvements all met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set based on GAS. The findings imply that SDCDM is a useful model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nhance their vocational preparation skill performance through a self-regulated problem solving process of exploring a job they want to have, choosing vocational preparation skills they need to get the job on their own, and making a strategy and plan to attain their goals.;자신의 흥미와 선호, 능력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며, 구직활동 후 직업을 유지하는 일련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높은 자기결정력과 체계적인 진로개발 및 직업준비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은 대부분 성인들이 결정해주는 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고, 스스로 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조차 매우 제한되어 있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의 직업교육은 많은 경우 특정 직업기술훈련에 집중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진로개발과 직업준비교육에 소홀한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자기결정진로개발모델(Self-Determined Career Developmental Model: SDCDM)은 장애학생이 스스로 원하는 진로 및 직업을 목표로 설정하고,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모델로 성공적인 전환에 필수적인 요소인 자기결정과 진로교육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SDCDM을 적용한 연구는 국내에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 및 진로개발을 융합한 SDCDM을 활용함으로써, SDCDM이 학생의 직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개인이 목표로 설정한 직업준비기술의 수행능력 및 기대목표의 달성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G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의 중재 및 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설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직업준비기술 수행능력은 각각의 연구참여학생이 SDCDM 1단계 면담을 통해 선정한 목표 과제인 이력서 작성하기,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면접 응시하기를 과제분석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중재 시작 전 교사와 학생은 목표달성척도를 사용하여 중재 종료 후의 기대수행률을 설정하였고, SDCDM 2단계 면담을 통해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 및 전략을 수립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후, 학생은 SDCDM 3단계 면담을 통해 자신이 실행한 계획 및 결과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기대수행률 달성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재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종료 3주 후, 연속 3회기에 걸쳐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명의 연구참여학생 모두 SDCDM을 적용한 이후의 직업준비기술 수행률이 기초선 기간보다 약 평균 50% 이상 향상되었고, 중재 종료 직전에는 3회기 연속으로 연구참여학생 A와 B는 100%, 연구참여학생 C는 80%가 넘는 수행률을 나타냈다. 둘째, 3명의 연구참여학생 모두 SDCDM을 적용하여 향상된 직업준비기술 수행률이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평균 80% 이상의 높고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목표달성척도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중재 전 설정한 직업준비기술 기대수행률을 모든 학생들이 ‘기대목표’ 이상으로 달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SDCDM은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기술 수행률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수행률의 유지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향상은 목표달성척도를 통해 설정한 교사와 학생의 기대를 모두 도달하는 수준이었다. 본 연구는 SDCDM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갖고자 하는 직업을 탐색하고, 그 직업을 얻기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직업준비기술을 스스로 선택한 후,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 및 계획을 세우는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과정을 통하여 직업준비기술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모형임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